육경합부 ()

불교
문헌
문화재
전라북도 완주군 안심사에서 『금강반야바라밀경』 등 여섯 가지 경전을 1424년에 판각한 불교경전.
정의
전라북도 완주군 안심사에서 『금강반야바라밀경』 등 여섯 가지 경전을 1424년에 판각한 불교경전.
개설

조선 초기에 널리 독송되었던 『금강반야바라밀경』·『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대불정수능엄신주』·『불설아미타경』·『관세음보살예문』·『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등 여섯 가지 경전을 간행한 책이다. 2009년 2월 9일에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서지적 사항

사주 단변(四周單變)에 계선이 없으며, 반엽에 8항(行) 17자(字) 씩 배열하였다. 1424년(세종 6)에 판각한 경판에서 뒤에 찍어낸 것으로 권수에 변상도가 붙어 있다. 그러나 육경합부의 변상도가 아니고, 법화경 변상도인데, 아마도 새로 제본할 때 끼워 넣은 것은 것으로 추정된다.

내용

조선 초기에 널리 독송되던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대방광불화엄경입부사의해탈경계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入不思議解脫境界普賢行願品)』·『대불정수능엄신주(大佛頂首楞嚴神呪)』·『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관세음보살예문(觀世音菩薩禮文)』·『묘법연화경관세음보살보문품(妙法蓮華經觀世音菩薩普門品)』 등 여섯 가지 경전을 조선 초기 명필가인 성달생(成達生)이 서사한 것을 바탕으로 1424년(세종 6)에 안심사에서 편찬하여 간행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1424년(세종 6)에 안심사에서 편찬하여 간행된 육경합부로서 가치가 있다. 이 판본은 육경합부 가운데 가장 먼저 간행된 것으로 뒤에 육경합부을 간행할 때 저본으로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전국사찰소장 목판집』(박상국, 문화재관리국, 1987)
문화재청(www.cha.go.kr)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