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높이 154㎝. 마애여래좌상은 경주와 청도의 경계 지점에 있는 장육산 바위에 새겨진 불상으로, 평평한 바위 면에 음각선으로 간략하고 선명하게 조각하여 선묘 불화를 연상케 한다.
이 여래상은 양 손바닥을 편 채 엄지를 맞대고 포개어 배꼽 아래에 둔 선정인(禪定印: 부처가 선정할 때 짓는 수인)을 취하였고 결가부좌하였다. 몸에 비해 큰 머리, 짧은 목, 좁은 어깨를 가졌지만 무릎이 높아 안정감 있는 신체 비례를 보인다. 머리에는 낮은 육계와 중간계주를 표현하였고, 큰 얼굴에는 눈동자를 길고 도드라지게 새긴 눈, 좁은 코, 콧방울을 넘지 않는 작은 입 등을 새겨 편안하고 고요한 인상을 풍긴다. 목에는 세 줄의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착의법은 편삼(偏衫) 위에 대의(大衣)를 양어깨에 걸친 통견식(通肩式)이다. 굴곡진 가슴 근육을 W자형으로 간결하게 새긴 가슴 아래로 보이는 승각기를 리본형 띠매듭으로 묶었다. 옷 표현에 있어 잔주름을 생략하여 매우 간략하고 대범한 옷주름을 보인다. 또한 결가부좌한 두 발은 발바닥이 정면으로 보이도록 묘사되었는데, 입체형 조각을 평면에 옮긴 특징을 여실히 보여준다.
청도 장육산 마애여래좌상은 얕지만 선명한 선각기법, 간략하고 도식적인 묘사, 방형의 큰 얼굴, 편삼과 대의를 입은 변형 통견식 착의 등 조선시대 마애불상의 특징을 가진다. 그리고 선정인을 취하였고, 머리에 중간계주만 있다든가, 승각기를 띠매듭으로 묶어 표현한 점 등은 통영 안정사 금동여래좌상(고려), 예산 천방사 금동여래좌상(고려) 등과 유사하며 고려시대부터 나타나 조선 전기까지 보이는 요소이다. 즉 이 마애여래좌상은 고려시대 불상 양식이 계승된 조선 전기 불상이며 마애불상 조성 사례가 드문 조선시대 조각사와 경상도 지역 마애불 연구에 중요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