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 장산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에 있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 원삼국시대 집터와 논 및 관개시설로 구성된 경작유적.
유적
건립 시기
원삼국시대
관련 국가
마한
소재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내용 요약

천안장산리유적(天安長山里遺蹟)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에 있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 원삼국시대 집터와 논 및 관개시설로 구성된 경작유적이다. 1994년 상록골프장 건설 부지에서 확인되어 원삼국시대 집터 및 통일신라 시기의 돌덧널무덤 등이 조사되었으며, 2000년 골프장 확장 공사 과정에서 추가로 원삼국시대 주거 및 경작유구가 조사되었다. 마한 시기 논농사 등으로 영위하였던 단위 취락의 모습을 고고학 자료로 확인할 수 있는 유적으로서 주목을 받았다.

정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에 있는 한반도 중서부 지역 원삼국시대 집터와 논 및 관개시설로 구성된 경작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천안장산리유적은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 산55-1번지 일대 표고 90m 구릉 및 계곡에 자리하고 있다. 1994년 공무원연금관리공단에서 시행하는 상록골프장 건설 부지에 포함되어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가 발굴 조사하여 원삼국시대 취락의 일부를 확인하였다. 2000년 골프장 확장 공사 과정에서 기존 조사된 취락의 잔여 부분과 함께 곡간의 경작유구 등이 추가 조사되었다.

형태와 특징

원삼국시대 집터의 형태는 지역에 따라 일정한 차이가 있다. 한강 유역에는 6각형의 평면에 출입구가 달린 여(呂)자형 혹은 철(凸)자형 집터가 주종인 데 비해 경기 남부 및 충청 지역은 평면형이 사각형이고 각 모서리에 기둥이 하나씩 배치된 사주식(四柱式)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사주식 집터는 마한 집터의 특징인데, 천안장산리유적의 집터가 바로 사주식의 전형이다.

경작유구는 계곡 상단부에 둑을 막아 주1한 후 물길을 이용하여 흘러내려 적당한 곳에 보를 막아 물을 관개하는 방식인데, 양쪽 물길 사이의 평탄면을 계단식 논으로 경작하였다.

의의 및 평가

동서 방향의 산줄기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낮은 구릉은 주거 입지에 적합하고 구릉 사이 계곡은 주2이 비교적 풍부하여 논농사에 적합하다. 이러한 입지를 취락으로 선택한 시점은 대체로 논농사가 본격적으로 실시되던 청동기시대 후기 이후부터이다.

천안장산리유적 조사 내용으로 보면, 초기 철기시대 주3 문화 단계에 점유가 시작되었고, 이후 원삼국시대에 취락이 점차 확대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天安長山里遺蹟II』(충남대학교 박물관, 2012)
『天安長山里遺蹟』(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1996)
주석
주1

한곳으로 물이 모임. 또는 그렇게 모이게 함.    우리말샘

주2

물이 흘러나오는 근원.    우리말샘

주3

아가리의 단면에 원형, 타원형, 삼각형의 띠를 말아 붙인 민무늬 토기. 청동기 시대 후기에 만들어졌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