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 계산리 유적 ( )

고려시대사
유적
충청북도 영동군 계산리에 있는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건물터 유적.
이칭
약칭
계산리유적
유적
건립 시기
고려~조선시대
관련 국가
고려, 조선
소재지
충청북도 영동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영동계산리유적(永東稽山里遺蹟)은 충청북도 영동군 계산리에 있는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건물터 유적이다. 이 유적은 경부고속철도 건설용지에 편입되어 발굴 조사되었다.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건물터, 기와가마터, 우물터, 폐기와무덤터 등이 확인되었으며, 명문기와와 자기류가 다수 수습되었다. 수습된 명문와에는 ‘태평흥국 칠년(太平興國 七年)’의 연대가 각인되었으며, 해무리굽 청자완류 등과 함께 유적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정의
충청북도 영동군 계산리에 있는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 건물터 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충청북도 영동군 계산리 일대에 분포하는 영동계산리유적은 경부고속철도 건설용지에 편입되어 1999년 4월 22일부터 같은 해 7월 30일까지 약 100일에 걸쳐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형태와 특징

영동계산리유적은 얕은 구릉의 사면에 자리하고 있으며, 조사 당시 일대가 경작지로 활용되고 부분적으로 민가에 의해 점유되면서 일부 유물이 지표상에 노출된 상태였다. 발굴 조사 결과 신라 말~고려 초에 해당하는 건물터 및 기와가마터, 조선 전기에 해당하는 건물터 및 우물터가 확인되었다.

전자의 유적에서 수습된 유물로는 청자 조각을 비롯한 자기류, 명문기와(글씨가 새겨진 기와), 연꽃무늬 수막새 등이 있다. 확인된 유구 가운데 신라 말~고려 초의 건물터 무리는 명문기와를 통해 982년을 전후한 시기에 조성되어 11세기 초엽까지 존속된 것으로, 이 시기 영동 지역의 유력 세력이 머물렀던 곳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건물터 아래에서 드러난 기와가마터 2기는 위의 건물터 무리의 조성과 관련된 기와를 제작한 곳으로 추정되었다. 조선시대 건물터는 신라 말~고려 초 건물터 무리와 구릉으로 연결되는 비탈면에 자리하는데, 기와가마터 등이 폐기된 이후 그곳을 정지(整地)하여 조영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같은 시대의 유구로 건물지 전면 북측의 우물 1기가 있는데, 내부에서 수습된 귀얄 기법의 분청 등 16세기 무렵의 자기들은 건물터와 우물의 사용 연대를 확인시켜 준다.

영동계산리유적은 시기적으로 신라 말에서 조선 전기에 걸치고 있으며, 다양한 기종의 토기류와 함께 해무리굽 청자완류(靑磁盌類), 철회청자(鐵繪靑磁), 기년명(紀年銘) 기와 등 중요 유물이 출토되었다. 특히 ‘태평흥국 칠년(太平興國 七年)’이 각인된 기와 조각을 통하여 10세기 후반~11세기에 건물터와 시설들이 활용되었음을 알려 주었다.

이 유적은 통일신라기 도장무늬토기의 하한 문제, 한반도 청자 발생과 관련하여 중요한 과제 가운데 하나인 해무리굽 자기완의 시간적 위치 및 그 하한 문제 등에 대해서도 새로운 지견을 얻을 수 있게 하고 있다.

의의 및 평가

영동계산리유적은 ‘태평흥국 칠년’의 명문기와를 통해 유적의 절대연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건물의 건립 주체와 용도 등을 추정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또한 도장무늬토기의 하한 문제, 해무리굽 청자의 사용 연대 등에 대해서도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문화유적분포지도-영동군』(중원문화재연구원, 2006)
『영동 계산리유적』(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