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 권40 ( )

불교
문헌
국가유산
1728년(영조 4) 제1장과 제14~17장을 금니로 필사하여 중수한 불경.
이칭
약칭
화엄경(華嚴經) 권40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1728년(영조 4)
저자
반야(般若)
권책수
1권 1첩
소장처
부산광역시 서구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시도유형문화유산(2006년 7월 3일 지정)
소재지
부산광역시 서구 부민동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대방광불화엄경』 권40은 1728년(영조 4) 제1장과 제14~17장을 금니로 필사하여 중수한 불경이다. 반야 삼장이 한문으로 번역한 『대방광불화엄경』의 권40을 쪽으로 염색한 닥종이에 은니로 필사된 사경(제2~13장)을 1728년(영조 4)에 제1장(권수의 변상도와 본문 1, 2면)과 후반부의 제14~17장을 금니로 필사하여 중수한 사경이다. 즉 은니로 된 제2~13장은 앞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앞과 뒷부분이 없이 전해지다가 1728년에 장원이 주선하여 보완된 것으로 추정된다.

정의
1728년(영조 4) 제1장과 제14~17장을 금니로 필사하여 중수한 불경.
저자 및 편자

계빈국(罽賓國)의 삼장(三藏) 반야(般若)가 한역(漢譯)하였다.

서지사항

절첩본(折帖本) 1첩이다. 17장(張) 34절(折) 68면(面)으로 17장이 점련되어 있고, 1장이 2절 4면으로 1면은 6행 17자로 되어 있다. 광곽(匡郭)의 종류는 상하단변(上下單邊)이며, 절첩(折帖)한 책의 크기는 세로 27㎝, 가로 11.1㎝이다. 광곽의 크기가 세로 19.4㎝, 가로 10.5㎝이다. 본문이 시작하는 제3 · 4면은 금니(金泥) 위에 먹으로 겹쳐 쓰여 있다. 제1장과 제1417장까지 20면이 금니로, 제213장까지 48면이 은니(銀泥)로 필사되어 있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권말에 권말제(卷末題)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大方廣佛華嚴經普賢行願品)'과 필사기 “옹정6년 무신삼월일 중수사문장원봉행 서사비구법징(雍正六年 戊申三月日 重修沙門藏元奉行 書寫比丘法徵)”에 이어 사경(寫經)을 위해 금을 시주한〔施金施主〕 사람의 명단이 필사되어 있다. 1728년(영조 4)에 중수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금니로 한 제1장과 제1417장이 이때 조성되었고, 금사경(金寫經)한 필사자는 비구인 법징(法徵)이다. 은니로 된 제213장은 이보다 앞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앞과 뒷부분이 없이 전해지다가 1728년에 장원(藏元)이 주선하여 보완된 것으로 추정된다.

구성과 내용

본문 첫 면인 권수면(卷首面)의 권수제(卷首題) 아래에 “계빈국 삼장 반야 봉조역(罽賓國 三藏 般若 奉詔譯)”으로 저자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이로 미루어 이 『 화엄경(華嚴經)』은 40권 『화엄경』으로 완전본이 아니라 『화엄경』의 일부분인 입법계품만을 번역한 부분경(部分經)이다. 남천축(南天竺) 오다국(烏茶國)의 사자왕이 『화엄경』의 산스크리트어본을 당나라의 덕종에게 보낸 것을 반야 삼장이 798년에 한문으로 번역한 것이다.

신역 『화엄경』보다 약 100년쯤 후에 번역된 이 40권 『화엄경』에 반야가 보현의 십종대원(十種大願)과 서방정토(西方淨土) 사상을 첨가한 것은 그 의의가 크다 하겠다. 권수(卷首)의 두 면에 금니로 그린 변상도(變相圖)가 있는데, 제1면에는 대형 좌대 위에 가부좌를 한 비로자나불과 정좌를 한 다섯 보살이 합장하고 있으며, 제2면에는 단독으로 좌대 위에 여의를 든 보현보살과 그 아래에 네 보살이 정좌하여 선재동자를 맞이하고 있어 보현행원품이 설해지고 있음을 암시한다.

의의 및 평가

부산광역시 서구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도서인 『대방광불화엄경』 권40은 금니와 은니로 필사된 절첩본 사경으로 뒷부분에 있는 사성기(寫成記)를 통해 이 사경이 금니로 중수된 사성 시기, 중수자, 필사자를 알 수 있어 조선 후기 사경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국가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6년 7월 3일에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권40(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도서)

단행본

『명품 100선』(동아대학교 박물관,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