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m)

불교
개념
불교의례나 수행 과정에서 염송하는 진언의 최초 소리로 귀명 · 비로자나불 등을 상징하는 불교진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옴은 불교 의례나 수행 과정에서 염송하는 진언의 최초 소리로 귀명, 비로자나불 등을 상징하는 불교 진언이다. 옴은 a, u, m 3자의 합성어로서 각각의 글자는 생성, 유지, 완성이라는 우주 생명 현상과 우주의 신비한 능력을 상징하며, 모든 문자를 대표하여 무량한 공덕과 진언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다 머금고 있다고 한다. 성스러운 소리인 옴을 염송함에 의해 수행자의 부정한 신(身), 구(口), 의(意)가 부처님과 같이 청정한 신, 구, 의로 바뀌게 한다. 우리나라의 진언집류에서도 첫 글자는 대부분 옴자로 시작한다. 진언에서 옴자는 법신인 비로자나불을 상징한다.

정의
불교의례나 수행 과정에서 염송하는 진언의 최초 소리로 귀명 · 비로자나불 등을 상징하는 불교진언.
개설

불교에서 의식을 행하거나 수행할 때에 염송하는 진언(眞言)의 최초에 오는 소리로서, 이 옴(ॐ, oṃ, 한역 “唵”)자는 귀명(歸命), 비로자나불 등의 신성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연원 및 변천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불교에서 사용하는 언어이지만, Oṃ은 그 발생지인 인도에서 고대의 베다시대부터 사용된 신성한 소리이다. 우파니샤드의 각 장마다 그 처음이 옴으로 시작된다. 옴은 보통 Oṃ으로 표기하지만 본래는 auṃ이다. a는 비쉬뉴(viṣṇ), u는 쉬바(śiva), ṃ은 브라흐마(Brahmā)를 나타내며, a는 창조, u는 파괴, ṃ는 무(無)를 상징한다고 한다. 또는 a가 창조, u가 유지, ṃ이 파괴를 뜻하며 auṃ은 곧 온 우주의 창조와 유지와 파괴를 뜻한다고도 한다.

이 말은 우주 만유의 근본을 상징하는 말이라고 여겨졌으며, 요가 수행자가 옴이라는 소리를 반복하여 송하여 그 소리가 상징하는 자재신(自在神)을 생각하면 내관(內觀)의 힘을 얻어 질병 · 무기력 · 방일 · 태만 · 애착 · 망견 · 삼매의 경지에 들지 못하거나, 들어도 오래 머무르지 못하는 등의 모든 산란심(散亂心)을 제거할 수 있다고 한다.

내용

불교에서 진언(眞言)을 송할 때에 주로 최초에 오는 소리는 옴이며 가장 끝에 사바하(莎訶, svāhā)를 넣는 것이 일반적이다. 옴은 본래 실담(悉曇) 12운의 초(初), 중(中), 후(後)인 a,u,m 3자의 합성어로서 각각의 글자는 생성 · 유지 · 완성이라는 우주 생명 현상과 우주의 신비한 능력을 상징하며, 모든 문자를 대표하여 무량한 공덕과 진언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를 다 머금고 있다고 한다.

이에 따라 옴자는 일체 소리의 근본 · 본질 · 귀결이므로 일체 만법은 이 한 자에 귀속된다고 해석된다. 그러므로 삼라만상의 실상을 나타내는 말이요, 모든 존재를 머금고 있는 무한한 법계의 원리를 상징하는 신비한 소리이기에 우주 전개의 과정은 이 옴이라고 하는 소리에 의하여 표현되고, 그 소리로부터 우주의 무한상, 우주적 생명력 그 자체가 현상세계에 재현되는 것이다.

이러한 성스러운 소리인 옴은 이를 염송함에 의해 수행자의 부정한 신(身) · 구(口) · 의(意)를 부처님과 같이 청정한 신 · 구 · 의로 바뀌게 한다. 이 옴자에 대해서 『수호국계주다라니경』 9권에는 a,u,m을 법신(法身) · 보신(報身) · 응신(應身)의 삼신에 배당하고, 또한 ‘일체 다라니의 어머니이고, 모든 보살은 여기에서 출생하였으며, 모든 부처님들도 마찬가지이다.

곧 이것은 모든 부처와 일체 보살과 모든 다라니가 모인 곳이다’라 하여 이 옴자라는 다라니를 수행할 것을 권하고 있다. 그리고 ‘만약 보살이 이 다라니를 수지하고 증득하면 곧 그 몸이 여의보배와 같이 되고, 중생으로서 이를 보는 자는 원하는 바가 모두 만족되며, 또한 빠르게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리라’고 한다.

밀교에서는 원하는 바를 모두 만족시키며, 깨달음을 얻게 하는 이 옴자를 수행법에 다양하게 활용하였는데 예를 들면 달[月輪] 가운데에서 옴자를 관하는 것을 옴자관(唵字觀)이라 한다.

의의와 평가

조선조에 개판되어 우리나라에 유통되고 있는 진언집류에는 보통 여러 가지 진언을 한글 · 한문 · 범자(梵字)의 순서로 병기하고 있으며, 이들 진언에서 첫 글자는 대부분 옴자로 시작한다. 그들 진언에서 옴자는 진언의 중심이 되며 법신 비로자나불을 상징하고 있다.

이외에도 조선 중기 이후로 지붕의 암막새와 기와 장엄(莊嚴)에서 수미단, 범종 등의 사찰 장엄에서 옴자를 사용하였다. 특히 1560년(명종 15) 평안도 평원의 숙천(肅川)에서 간행된 『성관자재구수육자선정언해(聖觀自在求修六字禪定諺解)』와 1908년(순종 2)에 간행된 『육자대명왕다라니경(六字大明王陀羅尼經)』에서는 옴마니반메훔이라는 육자 진언에서 각각의 글자를 오방과 오불 및 금강보살에 배대하면서 옴자를 중앙의 비로자나불에 배당하고 있다.

이외에도 1824년(순조 24) 금강산 유점사(楡岾寺)에서 개판한 『조상경(造像經)』의 「금강아사리관상의궤」에서는 정수리 둥근 위에 관상하는 옴자를 신금강(身金剛)이 되도록 관상하는 방법이 설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문화유산과 문헌 등이 우리나라 불교 신행에서 옴자가 갖는 비중을 알려주고 있다.

참고문헌

『대비로자나성불경소(大毘盧遮那成佛經疏)』(일행(一行))
『수호국계주다라니경(守護國界主陀羅尼經)』(반야역(般若譯))
『密敎·コスモスとマンダラ』(松長有慶, 日本放送出版協會, 1985)
『密敎辭典』(佐和隆硏, 法藏館.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