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 청계사 대방광불화엄경소 ( )

불교
문헌
문화재
1556년에서 1564년 사이에 간행된 귀진사판과 1635년에 중각한 송광사판으로 구성된 『화엄경』 관련 불교 경전.
이칭
약칭
청계사 화엄경소(淸溪寺 華嚴經疏)
문헌/고서
편찬 시기
조선 후기
간행 시기
귀진사판(1556~1564년), 송광사판(1635년)
저자
징관(澄觀)
권책수
119권 40책
권수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䟽)
판본
목판본
표제
화엄경(華嚴經)
소장처
청계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기관
경상남도
종목
시도유형문화재(2014년 3월 20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안계길 67-182 청계사
내용 요약

하동(河東) 청계사(淸溪寺)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는 1556년에서 1564년 사이에 간행된 귀진사판과 1635년에 중각한 송광사판으로 구성된 『화엄경』 관련 불교 경전이다. 대승 경전의 하나인 『화엄경』 주본을 저본으로 당나라 징관이 소(疏)하고 여기에 송나라 정원이 주해한 것을, 귀진사에서 판각한 것과 송광사에서 중각한 것을 합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화엄종의 근본 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 사상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2014년 3월 2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정의
1556년에서 1564년 사이에 간행된 귀진사판과 1635년에 중각한 송광사판으로 구성된 『화엄경』 관련 불교 경전.
서지사항

하동 청계사 『대방광불화엄경소』는 1556년에서 1564년 사이에 간행된 귀진사 개판본 38책과 1635년 송광사에서 중각한 2책(권1~2, 권10~1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수량은 119권 40책이다.

표지 서명은 ‘ 화엄경(華嚴經)’, 권수제(卷首題)는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䟽)’, 주1는 ‘華嚴(화엄)’이다. 제책의 형태는 오침안(五針眼) 주2이며, 판식은 사주쌍변(四周雙邊), 반곽의 크기는 세로 20.9㎝, 가로 15.8㎝이다.

계선이 있고, 6행 15자로 배열되어 있다. 판심은 대흑구(大黑口)에, 상하내향(上下內向) 흑어미(黑魚尾)이고, 종이의 지질은 닥종이이며, 본문에는 한자의 약체 주3주4로 쓰여 있다.

구성과 내용

『대방광불화엄경소』는 당나라의 승려 징관(澄觀, 주5이 776년에 오대산 대화엄사의 선주각원에서 설법한 80권 『화엄경』의 내용을 787년에 집대성한 논문이다.

우리나라에는 799년에 승려 범수가 들여왔으나, 어느 시기에 유실되었다가 고려시대 대각국사 의천이 송나라에서 새긴 목판을 서진이라는 상인을 통하여 1087년에 다시 들여왔다. 이때 들어온 『화엄경소』는 징관의 해설에 대하여 송나라의 정원이 다시 주해를 한 120권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화엄경소』는 이 판본을 모본으로 하고 있다.

이 『화엄경소』는 고려에서 인출된 이후로 조선 세종 때에 일본의 청에 의하여 이 책의 목판과 밀교대장의 판목을 일본으로 보냈으며, 이후 1556년에 귀진사에서 개판되었고, 1635년에 송광사에서 중각되었으며, 1686년에 영각사에서 다시 번각되어 판각되었다. 여러 판본 중 완질로 전해 내려오는 것은 송광사에서 중각된 판본이다.

하동 청계사 소장본 『대방광불화엄경소』의 가장 큰 특징은 다음과 같다.

권6, 권14, 권38, 권47, 권50, 권96, 권120의 권말에 "가정삼십오년병진유월일 황해도서흥지숭덕산귀진사 개판(嘉靖三十五年丙辰六月日黃海道瑞興地嵩德山歸眞寺開板)" 등의 간행 기록이 확인되기 때문에 38책은 임진왜란 이전 귀진사 판본으로 확인된다.

귀진사 개판본이 아닌 2책은 1635년에 순천 송광사에서 중각된 판본으로 확인된다. 당시 귀진사 판목은 임진왜란 때에 소실되었으므로 송광사에서 중각할 때에 귀진사 판본의 결본을 보완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 권의 권말에는 간행 기록 이외에도 간행에 참여자인 시주자와 간자, 화주들이 많이 확인되며, 권6에서는 약 101명의 시주자가 확인된다. 이어 권47과 권54, 권96에도 많은 시주자와 간자 등의 명단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대방광불화엄경소』는 우리나라에서는 화엄종의 근본 경전으로 『법화경』과 함께 우리나라 불교 사상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하동 청계사 『대방광불화엄경소』는 귀진사 판이 대부분으로 국내에 전본이 드물다. 이 귀진사 판본의 간행 기록은 1556년부터 1564년까지이며, 송광사 판본은 1635년이라는 명확한 간행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각 권의 권말 사항에 많은 시주자의 명단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록들이 남아 있다. 또한 인쇄 및 보관 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학술적으로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4년 3월 20일 경상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䟽)』 귀진사판(경상남도 하동군 청계사 도서)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䟽)』 송광사판(경상남도 하동군 청계사 도서)
주석
주1

판심에 표시된 책의 이름.    우리말샘

주2

인쇄된 면이 밖으로 나오도록 책장의 가운데를 접고 등 부분을 끈으로 튼튼하게 묶어 만든 책.    우리말샘

주3

한문을 읽을 때 그 뜻이나 독송(讀誦)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달아 쓰던 문법적 요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 ‘隱(은, 는)’, ‘伊(이)’ 따위와 같이 한자를 쓰기도 하였지만, ‘亻(伊의 한 부)’, ‘厂(厓의 한 부)’ 따위와 같이 한자의 일부를 떼어 쓰기도 하였다.    우리말샘

주4

먹물로 글씨를 씀. 또는 그 글씨.    우리말샘

주5

중국 당나라의 승려(738~839). 속성은 하후(夏候). 존칭은 청량 대사(淸涼大師)ㆍ화엄 보살. 화엄종의 제4대조로, 법장(法藏)의 화엄 교학을 부흥하였다. 저서에 ≪화엄경소≫ 60권, ≪수소연의초(隨疏演義鈔)≫ 90권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남권희(한국전적문화재연구소)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