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순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중국 북만주 명동여학교와 삼일여학교의 교사, 상해애국부인회 회장 등으로 활동한 여성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이의순(李義順), 오의순(吳義順), 이의순(李義舜)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895년
사망 연도
1945년 5월 8일
본관
하빈(河濱)
출생지
함경남도 단천
주요 경력
상해한인애국부인회 대표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1995)
내용 요약

이의순은 일제강점기 중국과 러시아 연해주에서 명동여학교와 삼일여학교 교사를 지냈고, 한인독립회와 상해한인애국부인회 등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의 3·1운동 1주년 기념식을 주선하였고, 지린성 용정촌 한인 청년들과 한국의 독립 방안을 모색한 여성 독립운동가이다.

정의
일제강점기 중국 북만주 명동여학교와 삼일여학교의 교사, 상해애국부인회 회장 등으로 활동한 여성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이의순(李義橓)은 1895년 함경남도 단천(端川)에서 사회주의 독립운동가 이동휘(李東輝)의 차녀로 태어났다. 독립운동가 오영선(吳永善)의 부인이다.

주요 활동

1903년 5월 부친 이동휘가 참령(參領)으로 승진하고 강화진위대장(江華鎭衛隊長)에 임명되자 조부 이발(李發), 언니 이인순(李仁橓) 등과 함께 서울로 이주하였다.

1911년 초 이동휘가 중국 주1〔吉林省〕 주2(龍井)에서 재만(在滿) 한인을 위한 농업진흥책과 여성 교육을 강조함에 따라 2월에 명동학교(明洞學校) 병설 여학교가 증설되었다. 명동학교는 주3〔延邊〕 일대의 한인 사회에서 처음 설치된 근대적 여성 교육기관이었다. 같은 해 가을 함경북도 성진(城津)에서 살다가 부친을 따라 두만강을 건너 지린성 국자가(局子街)로 이주하여 명동학교 병설 여학교의 교사로 활동하며 학생들의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또한, 인근 마을에 야학을 설치하고 부흥사경회(復興査經會)도 개최하였다.

1918년 가을 이동휘의 지시에 따라 이의순은 주4 주5로 이주하여 신한촌(新韓村) 삼일여학교에서 교사로 활동하였다. 애국지사 채성하(蔡聖河)의 맏딸 채계복(蔡啓福)과 함께 부인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고, 1919년 3월 부인회가 한인독립회로 명칭이 바뀔 때 회장에 선출되었다. 10월경에는 당시 한인독립회의 회원은 50명이었다. 또한, 미래의 독립전쟁에서 활동할 간호부의 양성을 위하여 조선인적십자회를 조직하여 활동하였다.

1919년 5월 지린성 용정촌흥업회사에서 김연수(金演洙) · 안창만(安昌萬) · 이창래(李昌來) 등과 함께 상업에 종사하는 청년 10여 명을 규합하여 용정촌 한인에게 독립운동 지원 문제, 상무회(商務會)와 조선인거류민회의 개선 방안 문제를 의론하였다. 1920년 3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린 3 · 1운동 기념식에서 이혜주(李惠柱) · 채계복 등과 함께 부인회를 조직하여 재러한인들의 독립 행진을 주선하였다. 이때 2만 명의 한인이 모여 만세 삼창을 하고 거리를 행진하였다.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출범하여 이동휘가 국무총리에 선임되어 상하이로 진출하자, 1920년 조부 이발과 함께 상하이로 이주하였다. 그 후 임시정부와 결별하고 다시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간 이동휘와 달리, 계속 상하이에 남아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30년 8월 상하이 인성학교(仁成學校) 교장 김두봉(金斗奉)의 처 조봉원(趙奉元) 등과 함께 임시정부 외곽 단체인 상해한인애국부인회를 개조하여 좀 더 급진적인 상해한인여성동맹을 조직하려 하였다. 이것이 여의치 못하자 젊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상해여자청년회를 조직하였다. 1932년 상해한인애국부인회의 대표인 집사장(執事長)을 맡았다.

상훈과 추모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반병률, 『임시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성재 이동휘 일대기』(범우사, 1998)
정요섭, 『한국여성독립운동사』(일조각, 1974)
『일제침략하 한국36년사』 4(국사편찬위원회, 1969)

논문

박환, 「러시아지역 대한적십자회 지회의 조직과 주요 구성원」(『숭실사학』 45, 숭실사학회, 2020)
김성은, 「상해 임정 시기 여성독립운동의 조직화와 특성」(『여성과 역사』 29, 2018)
주석
주1

중국 만주 지방에 있는 성. 성도(省都)는 장춘(長春).    우리말샘

주2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변 조선족 자치주에 있는 도시. 상업 중심지이며 강하천이 많아 주변 농경지에서 농업이 활발하다.    우리말샘

주3

중국 길림성(吉林省) 동부에 있는 자치주. 조선 말기에 우리나라 사람들이 이주하여 개척한 곳으로, 주민의 3분의 1 이상이 조선족이다. 1952년 자치구가 설립되었다가 1955년에 자치주로 바뀌었다. 6개의 시(市), 2개의 현(縣)이 있다. 주도(州都)는 연길(延吉), 면적은 4만 2700㎢.    우리말샘

주4

러시아의 동남쪽 끝에 있는 지방. 우리나라 동해에 접하여 있으며 두만강을 사이로 우리나라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아연ㆍ석탄 따위의 지하자원이 많고 나무를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하였다. 중심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면적은 16만 5900㎢.    우리말샘

주5

러시아 시베리아 동남부, 동해 연안에 있는 항구 도시.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동쪽 종착점이며 러시아 함대의 기지가 있다. 기계ㆍ차량ㆍ조선ㆍ제재ㆍ제유 따위의 공업도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집필자
오영섭(경희대학교 한국현대사연구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