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해윤 ()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1906년 노응규 의진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하였으며, 1907년 이은찬 의진에서 참모로 활동한 의병장.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4년
사망 연도
1909년 11월 30일
본관
영월(寧越)
출생지
강원도 영월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96)
내용 요약

엄해윤은 대한제국기 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노응규 의진과 이은찬 의진에서 각각 선봉장과 참모로 의병 활동에 참가하였다. 일제 경찰에 체포된 후에는 경성감옥에서 탈옥을 결행하였으나 실패하고, 교수형을 선고받아 순국하였다.

정의
대한제국기 1906년 노응규 의진에서 선봉장으로 활약하였으며, 1907년 이은찬 의진에서 참모로 활동한 의병장.
인적 사항

엄해윤(嚴海潤)은 1863년 강원도 영월군(寧越郡) 부내면(府內面) 행정리(杏亭里)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영월(寧越)이다. 직업은 의원(醫員)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요 활동

1905년 을사늑약(乙巳勒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경상남도 진주(晋州)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던 의병장 노응규(盧應奎)가 1906년 가을 충청북도 황간(黃澗)에서 재차 의병을 일으키자 이에 참여하여 선봉장(先鋒將)이 되었다.

엄해윤은 무기 구입과 제조 및 훈련을 담당하였으며, 군비(軍備)가 갖춰지자 철도 등 일제의 군용 시설을 파괴하고 적의 주1을 섬멸하였으며, 각 지역의 주2과 연계한 대규모의 작전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간계에 속아 1907년 1월 노응규를 비롯하여 서은구(徐殷九) · 노공일(盧公一) · 김보운(金寶雲) · 오자홍(吳自弘) 등과 함께 친일 순사(巡査) 이연직(李淵直)에게 체포되었다. 이들은 검사의 심문에 강경한 태도와 답변으로 항일 주3의 대의를 주장하며 절개를 굽히지 않았다.

1907년 7월 서은구 · 노공일과 함께 황해도 장연군(長淵郡) 백령도(白翎島)로 7년 주4을 받아 유배되었으나, 광무황제(光武皇帝, 고종)의 특사로 곧 풀려났다. 1908년(융희 2) 11월경부터 의병장 이은찬(李殷贊) 의진의 참모로 지내면서 경기도 양주 · 포천 · 연천 등지에서 활약하였다. 이은찬 의진에서 이종협(李鍾協)의 1대가 분리되자, 같은 해 12월 이종협 의진의 참모로 들어가 황해도 금천(金川) · 토산(兎山) 등지에서 활동하던 중에 체포되어 투옥되었다.

1909년 4월 13일 경성감옥 10번 방에 투옥 중 비바람이 부는 틈을 타 함께 수감되어 있던 유문재(柳文在) · 유현서(柳鉉西) · 오남석(吳南石) · 이성팔(李聖八) 등과 주5을 모의하고 일본인 간수를 폭행하고 탈옥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9월 20일 대심원(大審院)에서 탈옥 정황이 인정되어 강도 및 주6 도주죄로 교수형을 받고 1909년 11월 30일 순국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6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원도사-의병·독립운동』 20(강원도사편찬위원회, 2017)
『독립유공자공훈록』 14(국가보훈처, 2000)
『독립운동사』 1(국가보훈처, 1970)

판결문

「判決文」(大審院, 1909. 10. 18.)
「判決文」(京城控訴院, 1909. 9. 17.)
「判決宣告書」(平理院, 1907. 5. 18.)
주석
주1

적의 형편이나 지형 따위를 정찰하고 탐색하는 임무를 맡은 병사.    우리말샘

주2

의병 부대

주3

도둑을 침. 또는 적을 토벌함.    우리말샘

주4

구형(九刑) 가운데 죄인을 귀양 보내던 형벌. 죽을 때까지 유배지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감형되거나 사면되는 경우도 있었다. 죄의 가볍고 무거움에 따라 장소의 멀고 가까움이나 주거지의 제한 정도에 차등을 두었다.    우리말샘

주5

죄수가 빠져나가기 위하여 옥을 부숨.    우리말샘

주6

감옥에 갇힌 죄수.    우리말샘

집필자
황민호(숭실대학교 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