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쾌복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대구사범학교 학생의 항일 비밀결사인 다혁당 당수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백인(百忍)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1년 2월 2일
사망 연도
2009년 12월 19일
출생지
경상북도 칠곡
주요 경력
광복회 회장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1963)
내용 요약

권쾌복은 일제강점기에 대구사범학교 재학 중 항일 비밀결사 다혁당(茶革黨)을 결성하고 당수(黨首)로 추대되었다. 다혁당은 독서와 토론을 통해 학생들에게 항일 의식을 고취하였으며, 각 분야에서 수재 양성 교육을 통해 독립운동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목표로 활동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대구사범학교 학생의 항일 비밀결사인 다혁당 당수로 활동한 독립운동가.
가계 및 인적 사항

권쾌복(權快福)은 1921년 2월 2일 경상북도 칠곡군 인동명(仁同面) 시미동(侍美洞,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시 시미동)에서 권상근(權相瑾)의 3남으로 태어났다. 호는 백인(百忍)이다. 일제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을 당시 기록에 따르면, 신장은 163㎝였으며, 보통 정도의 체격이었다고 한다. 어려서 밀양(密陽)으로 이주하여 밀양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였으며, 1937년 대구사범학교에 입학하였다.

주요 활동

1939년 7월 대구사범학교 학생들이 왜관철교 복선화 작업에 동원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조선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들 간의 충돌이 있었고, 이를 일방적으로 부당하게 처리한 일본인 교사들을 구타한 왜관사건(倭館事件)이 발생하자 배학보(裵鶴甫) · 조강제(趙崗濟) · 최영백(崔榮百) 등과 함께 왜관심상소학교 앞 낙동강 백사장에서 사건의 진상과 그 대책을 논의하였다. 이후 교내에서 비밀결사 백의단(白衣團)이 결성되자 이에 가입하여 활동하였다. 백의단은 우리나라의 역사와 문학에 관한 서적과 잡지를 읽고 토론하는 등 학생들의 민족의식 고취에 힘을 기울였던 비밀결사이다.

1941년 2월 15일에는 저녁 유흥수와 이주호의 하숙집에서 배학보 · 조강제 · 이홍빈 · 문홍의 등과 함께 다혁당(茶革黨)을 조직하였다. 당은 산하에 총무부 · 학술부 · 문예부 · 연구부 · 경기부 등의 부서를 두고 학생들에 각 분야에서 수재(秀才) 교육을 시켜 독립운동의 역량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었다. 당의 명칭은, 영웅은 다색(茶色)을 좋아하며, 혁(革)은 혁명을 의미하는 뜻에서 다혁당으로 정하였다고 한다.

다혁당이 결성되자 권쾌복은 학생들의 추대로 당수(黨首)가 되어 예술부장으로 활동하였으며, 학내에서 차별을 없애는 방법을 마련하고자 노력하였다. 당이 결성된 것은 백의단이 결성된 후에 별다른 활동을 전개하지 못하고 선배들이 졸업하게 되자, 백의단을 해체하고 이미 결성되었던 비밀결사 문예부 및 연구회와 조직을 통합해 그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 것이었다.

그러나 1941년 7월 학교를 졸업하고 충청남도 홍성(洪城)에서 주1로 활동하던 정현(鄭鉉)이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내용의 수업이 문제가 되어 일제 경찰의 조사를 받는 과정에서, 그의 집에서 대구사범학교 학생들의 독서회 모임인 윤독회(輪讀會)에서 발간한 잡지 『반딧불』이 발각되면서 당의 존재가 드러나게 되었다.

이후 그해 11월까지 학부형 교사 등을 포함해 300여 명의 관련자가 검거되고 이 가운데 34명이 재판에 회부되었다. 재판에서는 5명이 징역 5년, 2명이 징역 3년, 27명이 징역 2년 6월 등의 형을 선고받았으며, 투옥된 학생 중 박재민 · 강두안 · 박찬웅 · 정세파 · 서진구 등은 극심한 영양실조와 고문 후유증으로 옥사하였다. 이때 권쾌복도 체포되어 대전경찰서로 이송되었으며, 2년여 동안 미결수로 복역하면서 경찰의 취조 과정에서 가혹한 고문을 당하였다.

1943년 11월 대전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3년 형을 선고받고 상고하였으나, 1944년 3월 23일 형이 확정되었다. 대전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으며, 8 · 15광복이 되자 다음 날인 1945년 8월 16일 가출옥 형식으로 석방되었다. 1996년 제14대 광복회 회장에 선출되어 활동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수여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유공자 증언자료집(권쾌복)』Ⅰ(국가보훈처, 2002)
『독립유공자공훈록』 6(국가보훈처, 1988)
『독립운동사자료집』 13(국가보훈처, 1986)
『일제침략하한국36년사』 12(국사편찬위원회, 1976)
김승학, 『한국독립사』(독립문화사, 1965)

논문

허종, 「일제하 전시체제기 대구지역 학생운동의 전개와 성격 –항일비밀결사를 중심으로」(『대구사학』 110, 대구사학회, 2013)
허종, 「일제강점기 후반 대구사범학교의 학생운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06)

판결문

「예심종결서」(고등법원 형사부, 1944. 3. 23.)
주석
주1

일제강점기에, 초등학교의 교원(敎員)을 이르던 말.    우리말샘

집필자
황민호(숭실대학교 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