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환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후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하였고, 소년모험단, 대한독립군비단, 적기단 등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이칭
이명
이홍파(李洪坡), 이승(李承)
아명
칠성동(七星童)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9년 3월 4일
사망 연도
1973년 5월 19일
출생지
함경남도 홍원
대표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2006)
내용 요약

이민환은 일제강점기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후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로 망명하여 무장 독립운동 단체인 소년모험단에서 활동하였다. 대한독립군비단 등에서 활동하며, 국내외 독립운동을 전개하였으며, 적기단에서 활동하며 블라디보스토크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1928년부터 한글신문 『선봉』 발간에 참여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1919년 3·1운동에 참여한 후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하였고, 소년모험단, 대한독립군비단, 적기단 등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인적 사항

이민환(李珉煥)은 1899년 3월 4일 함경남도 홍원군 경포면(景浦面) 남양리(南陽里)에서 태어났다. 이명은 이홍파(李洪坡) · 이승(李承)이고, 아명은 칠성동(七星童)이다.

주요 활동

1917년 함경남도 홍원(洪原)에서 마을 사람들에게 행패를 부리던 조선인 순사를 처단하고 북간도로 망명하였다. 1919년 3 · 1운동에 참가하였고 러시아 주1 주2에서 소년모험단(少年冒險團)을 조직하여 항일 무장투쟁을 위한 군자금 모집과 무기 구매, 운반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1921년 여름 국내로 잠입하여 함경남도 일대에서 대한독립군비단(大韓獨立軍備團)의 국내 거점 마련과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던 중 같은 해 12월 함흥(咸興)에서 체포되어 징역 5년 형을 선고받았다. 군비단은 주3 지역 장백현(長白縣)을 근거지로 활동하던 독립군단으로, 비교적 국경을 쉽게 넘나들 수 있는 지리적 이점을 이용하여 국내 진격 후 일제 경찰의 근거지를 파괴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이민환은 서대문형무소를 거쳐 청진형무소에 수감되었다가 1922년 8월 탈옥에 성공하여 러시아 연해주로 망명하여 임병극(林炳極)의 유격부대에 참가하였다.

1923년 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된 적기단(赤旗團) 결성대회에 참석하여 부단장이 되었는데, 적기단은 1922년 소련의 극동위원회 고려부(高麗部)에서 활동하던 이동휘(李東輝)고려공산당 상하이파 계열이 조직한 항일 단체였다.

1923년 블라디보스토크 고려부에서 개최한 국치기념일(國恥紀念日) 행사에서 강연을 통해 운집한 한인들에게 독립 의식을 고취하기도 하였으며, 1927년까지 적기단의 간부로 활동하였다. 1928년 러시아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대표적인 한글 신문인 『 선봉(先鋒)』 신문사에서 근무하며 항일 의식을 고취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6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유공자공훈록』 17(국가보훈처, 2009)
강만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창작과비평사, 1996)
『한국독립운동사자료집-홍범도 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5)
주석
주1

러시아의 동남쪽 끝에 있는 지방. 우리나라 동해에 접하여 있으며 두만강을 사이로 우리나라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아연ㆍ석탄 따위의 지하자원이 많고 나무를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하였다. 중심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면적은 16만 5900㎢.    우리말샘

주2

러시아 시베리아 동남부, 동해 연안에 있는 항구 도시. 시베리아 횡단 철도의 동쪽 종착점이며 러시아 함대의 기지가 있다. 기계ㆍ차량ㆍ조선ㆍ제재ㆍ제유 따위의 공업도 발달하였다.    우리말샘

주3

백두산 부근에서 시작하여 단둥(丹東)에 까지 이르는 압록강 유역의 만주 지방.    우리말샘

집필자
황선익(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