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책 ()

목차
관련 정보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표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표지
출판
개념
종이에 필사되거나 인쇄된 내용물을 묶어 장황한 형식의 책. 제책 · 제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종이에 필사되거나 인쇄된 내용물을 묶어 장황한 형식의 책. 제책 · 제본.
개설

장책(粧冊)은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된 내용물을 일정한 차례로 잇거나 겹쳐 꿰매고 철하여 장황하는 것을 말한다. 필사본, 목판본, 활자본 등 도서 간행이 활발해지면서 보다 튼튼하고 쉽게 볼 수 있도록 정리하여 묶는 다양한 장책법이 고안되었다.

연원 및 변천

책의 기원은 죽간(竹簡)과 목독(木牘)을 편철하여 사용한 것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죽간이나 목독에 글 내용을 써서 편철하는 방법으로는 횡련식(橫連式)과 중적식(重積式)이 있다. 횡련식은 가볍고 작은 대와 나뭇조각의 위아래를 마치 대발 엮듯이 끈으로 잇달아 엮은 것이다. 중적식은 크고 무거운 나뭇조각의 위쪽에 한 개의 구멍을 뚫고 끈으로 꿰뚫어 중적의 상태로 체계 있게 엮은 것이다. 끈은 노, 실 같은 재료를 사용하는데, 무거운 나뭇조각을 엮는 중적식에는 가죽끈이 많이 쓰였다. 오늘날 통용되고 있는 책(冊)은 두 번째 중적식으로 엮어진 책(策)의 형태를 말한다.

내용

필사본, 목판본, 활자본 등 도서 간행이 활발해지면서 내용물에 따라 또는 물리적으로 보다 튼튼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장책 방법이 생겨났다. 장책의 종류에는 선장(線粧), 호접장(胡蝶粧), 포배장(包背粧)이 있다.

호접장은 인쇄면이나 필사한 면의 낱장 본문이 마주보도록 가운데를 접고 판심 부분의 뒷면에 풀을 칠하여 여러 장을 이어 붙인 뒤 하나의 표지를 반으로 접어 안쪽에 붙여 만든 형태로, 책장을 넘기면 글자면과 안쪽의 백지면이 차례로 보인다. 호접장을 확인할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은 가운데 판심제와 어미가 반으로 갈라지지 않고 펼쳐지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현전하는 호접장의 예로는 1988년 보물로 지정된 기림사 비로자나불복장전적인 『대방광불화엄경소(大方廣佛華嚴經疏)』와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 등이 있다.

포배장은 호접장과 반대로 인쇄면 또는 필사한 면의 판심 가운데가 밖으로 나오도록 접어 가지런히 차례로 모아 두꺼운 종이로 싼 형태이다. 이 경우 낱장을 합쳐 책을 만들면 가운데 판심제와 어미가 반으로 접혀 책의 바깥쪽으로 나온다. 현전하는 예로는 『동국정운(東國正韻)』 등이 있다.

선장은 인쇄면이나 글자면의 중간 판심을 접어서 차례대로 겹쳐서 오른쪽의 책등 부분을 실로 엮은 것이다. 우리나라의 책은 엮는 방식이 중국이나 일본과 차이가 있다. 일본과 중국의 선장본은 크기가 작은 것은 엮는 구멍을 4개로 하고, 책의 크기가 커지면, 6개~8개로 엮는 구멍이 늘어난다. 우리나라는 책의 크기와 관계없이 주로 책등에 다섯 개의 구멍을 뚫어 엮는 오침안정법(五針眼釘法)으로 장책하였다. 또 황벽으로 염색한 종이를 여러 겹 배접하여 튼튼하게 만들고, 밀랍을 바르고 능화문을 찍어 표지를 만들었다. 황벽 염색은 방충 효과가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으며, 밀랍을 바르면 습해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장과 포배장은 겉표지를 연결하는 방법이 다르다. 책 몸통에 표지를 풀로 붙이면 포배장, 구멍을 뚫어 실로 엮으면 선장이 된다. 포배장의 표지는 선장 표지에 비하여 연결 부위가 약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거나 사용을 많이 하면 분리되거나 벗겨지기 쉽다.

참고문헌

『서지학개론』(서지학개론 편찬위원회, 한울아카데미, 2004)
『한국서지학』(천혜봉, 민음사, 1997)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