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첩 ()

목차
관련 정보
회화
개념
그림을 일정한 간격으로 접어 첩으로 꾸민 장황 형식의 서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화첩은 그림을 일정한 간격으로 접어 첩으로 꾸민 장황 형식의 서적이다. 긴 두루마리를 말고 펼 때의 번거로움을 보완하여 첩의 형태로 꾸민 것이다. 화첩은 크기가 작고 간편하여 휴대와 열람이 간편하다. 대체로 한 화첩에 10점에서 30점 정도의 그림이 들어간다. 우리나라에서는 조선 시대에 화첩이 크게 성행했다. 개인 화첩의 경우 대부분 동일 주제와 화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작가의 작품 경향과 특징을 집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강세황의 「송도기행첩」, 정선의 「장동팔경첩」, 김홍도의 「풍속화첩」 등이 있다.

목차
정의
그림을 일정한 간격으로 접어 첩으로 꾸민 장황 형식의 서적.
개설

첩은 두루마리의 단점을 보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접어 만든 장황 형태이며, 화첩(畫帖)은 그림을 첩의 형태로 꾸민 것이다. 두루마리는 한번 펼치면 전체를 다 보아야 하고, 중간 부분을 보고자 할 때 전체를 풀고 말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많은 내용을 기록하려면 두루마리 지름이 크게 불어나고 여러 권으로 분책할 경우에는 보관에도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첩은 한 장의 길이가 길어 처음부터 끝까지 전체 면을 펼치거나, 건너뛰어 읽을 때 말고 펴는 번거로움을 보완하고자 고안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내용

화첩은 그림의 감상과 보관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접어 만든 장황 형태로, 족자나 두루마리에 비하여 크기가 작고 간편하여 휴대와 열람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첩의 종류에는 한 면씩 돌리면서 펼쳐 보고 한 둘레가 끝나면 다시 시작되는 경절장(經折粧)과 경절장의 뒷면을 두 면씩 붙여 두 쪽씩 펼쳐 가며 볼 수 있는 선풍엽장(旋風葉粧)이 있다.

경절장은 절첩이라고도 하며 고려시대의 불경이나 사경에서 주로 볼 수 있다. 보통 본문이 긴 목록에는 경절장첩을 하였다. 가로로 긴 폭을 일정한 간격으로 중첩하여 접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한 면씩 열어 볼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첫번째 면과 마지막 면에 표지를 붙인다. 열람하고 싶은 부분만 간편하게 펴서 볼 수 있고, 모두 포개면 납작한 형태로 되어 휴대하기 편리하다.

선풍엽은 여러 종이를 이어서 하나의 면으로 만든 절첩이나 경절장과는 달리 반씩 접은 낱장들을 풀로 연결해서 펼쳤을 때 두 면씩 보이도록 만든 것이다. 표지를 경절장처럼 첫번째 면과 마지막 면에 각각 따로 붙이거나 하나로 싸는 방법이 있는데 한 장으로 표지를 만드는 경우 접힌 곳을 풀로 붙여 튼튼히 하기도 한다. 선풍엽의 그림 면은 반으로 접어 양면에 붙이거나 단면에 한 장씩 붙인다. 가장자리는 색지나 비단을 붙이는데 이는 그림에 직접 손이 닿지 않도록 하여 그림을 보호하기도 하며, 그림을 꾸며 장식하는 효과가 있다.

이미 그려진 그림을 수장자의 취향에 따라 작가별 · 소재별로 엮기도 하고, 그림이 그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화첩으로 꾸며진 경우, 보통 같은 주제나 소재의 그림을 그려 넣었으며, 습작용 소묘만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대체로 한 화첩에 10점에서 30점 정도의 그림이 들어가며, 화면이 작을 경우 화폭의 원상태대로 꾸미고, 큰 경우에는 반을 접은 상태로 장황한다.

화첩 장황은 중국 송나라 때부터 문인들의 취향과 밀착되어 발전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시대에 크게 성행하였다. 개인 화첩의 경우 대부분 동일 주제와 동일 화법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 작가의 작품 경향과 특징을 집중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대표적인 화첩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강세황(姜世晃)의 「송도기행첩(松都紀行帖)」, 안견(安堅)의 작품으로 전해지는 「사계산수도화첩(四季山水圖畫帖)」, 정선(鄭敾)의 「장동팔경첩(壯洞八景帖)」, 김홍도(金弘道)「풍속화첩(風俗畫帖)」, 임희수(任希壽)의 「초상화첩(肖像畫帖)」 등과,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정선의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 신윤복(申潤福)「신윤복필 풍속도화첩(申潤福筆風俗圖畵帖)」 등이 있다.

참고문헌

『배첩장』(국립문화재연구소, 민속원, 2013)
『꾸밈과 갖춤의 예술, 장황』(국립고궁박물관, 200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