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필 경교명승첩 ( )

회화
작품
국가유산
조선 후기, 화가 정선이 한강변의 명승지를 그린 진경산수화 시화첩.
작품/서화
창작 연도
1741~1759년
작가
정선(鄭敾)
소장처
간송미술문화재단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정선 필 경교명승첩(鄭敾 筆 京郊名勝帖)
분류
유물/일반회화/산수화/산수화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7년 12월 26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선 필 『경교명승첩』은 조선 후기, 화가 정선이 한강변의 명승지를 그린 진경산수화 시화첩이다. 정선이 60대 후반 양천현령으로 근무할 때 주로 한강변 명승을 그린 것을 바탕으로 한다. 친구 이병연과 시와 그림을 서로 바꾸어 보여주자는 약속에 의해 그려졌다. 정선의 진경산수화 중 기념비적인 작품이다.

정의
조선 후기, 화가 정선이 한강변의 명승지를 그린 진경산수화 시화첩.
제작 배경

정선(鄭敾, 16761759)은 65세 때인 1740년 말부터 1745년 초까지 양천현령으로 근무하였다. 현령 근무 초기 친구 이병연(李秉淵, 16711751)과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 즉 이병연은 시를 짓고 정선은 그림을 그려 서로 바꾸어 보기로 약속하였다. 이에 따라 1740년 세밑부터 1741년 동짓달까지 만 1년간 이병연의 서찰과 정선의 그림들을 중심으로 하고, 여기에 그 후에 추가로 그려 보완한 작품들을 합장한 것이 『경교명승첩』이다.

내용

현재 2권 중 상권 20폭에는 그림이 19폭, 하권 22폭에는 그림이 14폭이 실려 있다. 상권에 실린 그림은 독서여가, 녹운탄(綠雲灘), 독백탄(獨栢灘), 우천(牛川), 미호(渼湖, 2점), 광진(廣津), 송파진(松坡津), 압구정(狎鷗亭), 목멱조돈(木覓朝暾), 안현석봉(鞍峴夕烽), 공암층탑(孔巖層塔), 금성평사(錦城平沙), 양화환도(楊花喚渡), 행호관어(杏湖觀漁), 종해청조(宗海廳潮), 소악후월(小岳候月), 설평기려(雪坪騎驢), 빙천부신(氷遷負薪) 등이다.

하권에 실린 그림은 인곡유거, 양천현아(陽川縣衙), 시화환상간(詩畵換相看), 홍관미주(虹貫米舟), 행주일도(涬幸洲一棹), 창명낭박(滄溟浪泊), 은암동록(隱岩東麓), 장안연우(長安烟雨), 개화사(開花寺), 사문탈사(寺門脫簑), 척재제시(惕齋題詩), 어초문답(漁樵問答), 고산상매(孤山嘗梅), 장안연월(長安烟月) 등이다. 작품들 외에 이병연의 서찰들, 정만수의 서간과 심환지의 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일부 그림의 옆에는 정선이 쓴 이병연의 시구가 적혀 있다.

형태 및 특징

비단 바탕에 수묵담채로 그렸으며, 화첩 형태이다. 크기는 세로 27.4㎝, 가로 27.4㎝이다.

의의 및 평가

『경교명승첩』에 수록된 그림들은 한강변 명승지를 그린 대표적 진경산수화로서 의의가 깊다. 지금은 도시 개발 등으로 파괴된 한강의 원래의 모습을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인 것이다. 또한 회화적으로도 정선의 원숙한 진경산수화풍의 다른 일면을 잘 보여준다. 정선의 금강산 그림에서 주로 보이는 수묵의 강렬한 필묵 대신 청록, 혹은 연한 담채 등을 잘 구사하여 한강변 실경의 서정적 아름다움을 잘 표현했으며, 동시에 이병연의 시와 함께 한국적 시화 일치의 경지를 잘 보여주는 명작이다. 2017년 12월 2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최완수, 『겸재 정선』 전3권(현암사, 2009)
최완수, 『겸재의 한양진경』(동아일보사, 2004)
최완수, 『겸재 정선 진경산수화』(범우사, 1993)

논문

김가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에 대한 재고: 경교명승첩의 시거화래지약을 중심으로」(『미술사와 시각문화』 23,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