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방직주식회사 ()

의생활
단체
1917년, 일본 자본에 의해 부산에 설립된 기계제 면방적 회사.
이칭
이칭
조선방직, 조방
단체
설립 시기
1917년
해체 시기
1968년
설립자
마고시 쿄헤이[馬越恭平]|노다 우타로[野田卯太郞]|야마모토 조타로[山本條太郞]
설립지
부산부 범일정 700번지(현 부산광역시 동구)
소재지
부산광역시 동구
내용 요약

조선방직주식회사는 1917년, 일본 자본에 의해 부산에 설립된 기계제 면방적 회사이다. 면화의 재배 및 매매, 면사(綿絲)나 면포(綿布)의 방직 · 판매 및 면업을 비롯한 유사 사업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 설립된 이후 1969년까지 존립하였다. 조선방직주식회사는 우리나라 면방업의 효시로, 실과 면의 매수에서부터 방적 · 염색 · 나염 · 피복에 이르는 일관된 생산 체제를 구축하였다. 현재까지도 회사가 있었던 범일동 일대를 ‘조방 앞’이라 통칭하고 있다.

정의
1917년, 일본 자본에 의해 부산에 설립된 기계제 면방적 회사.
설립 목적

조선방직주식회사(朝鮮紡織株式會社)는 주1의 재배와 매매, 주2주3주4 ‧ 판매, 주5과 관련한 사업에 대한 투자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변천 및 현황

조선방직주식회사는 일제강점기인 1917년 2월에 일본 도쿄에서 노다 우타로[野田卯太郞], 마고시 쿄헤이[馬越恭平], 야먀모토 조타로[山本條太郞]가 설립 계획을 수립하였고, 같은 해 11월에 부산부(釜山府) 범일정(凡一町) 700번지(현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에 설립되었다.

조선방직주식회사의 조업은 1922년부터 시작되었으나 1923년에 화재가 발생하였고 그로 인한 대규모 자산 손실을 겪은 후 공장 재건에 착수하여 1925년부터 조업을 재개하였다. 1926년에는 가장 널리 재배되는 목화의 품종인 주6의 매수권(買收權))을 확보하고 경상남도 지역에 조면 공장(繰綿工場)을 건설하였다. 연이어 경상북도 지역 면화의 매수권을 획득하고 대구 공장을 비롯하여 공장 증설을 적극적으로 진행하였다. 1935년에는 부산에 주7 공장 건설에 착수하여 인견포(人絹布)를 생산하였으며, 같은 해에 기계제 염색 공장도 건설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하원준이 조선방직의 초대 관리인으로 선임되어 1945년부터 재가동되었다. 2대 관리인인 최사열이 1946년에 ‘한일실업공사’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으나 이듬해 3대 관리인인 정명석이 다시 ‘조선방직공사’로 개칭하였다. 1948년에는 정호종이 사장으로 취임하면서 회사의 이름을 본래의 명칭인 조선방직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

1951년에는 이승만 정부에 의해 강일매(姜一邁)가 새 관리인으로 부임하였으나, 조선방직의 관리인이었던 정호종을 비롯하여 경영진을 포함한 20명을 구속한 ‘조방 사건’이 발생하였다. 조방 사건으로 기존 경영진이 배제된 후 조선방직은 일시적으로 국영 기업이 되었다가, 1955년에 강일매에게 주9되었으나 방만한 경영으로 회사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다. 한국전쟁 때인 1951~1952년에는 조선방직 노동자들이 사장인 강일매의 퇴진을 요구하는 ‘조방 파업’이 발생하였다. 1956년에는 정재호가 부산의 조선방직을 비롯하여 대구의 삼호방직, 대전의 대전방직 등 3개사를 인수하였으나, 1968년에 막대한 부채를 안은 채 부산시가 인수하였다. 1969년에는 부산시에서 법인 청산 절차를 밟아 조선방직주식회사를 공식적으로 해산하였다.

주요 활동

조선방직주식회사는 1925년 조업 재개 이후 제품 개량, 상표 개발, 인지도 제고를 적극적으로 도모하여 1928년 무렵에는 조선 면사포(綿絲布) 시장의 25%를 장악하였다. 그리고 그 당시에 개발된 도요타[豊田, トヨタ] 자동 주10 443대를 도입하여 생산비를 절감하였다. 그러나 1930년에는 조선방직주식회사의 노동자들이 장시간의 노동, 저임금, 폭력적인 탄압으로 인해 대대적인 파업을 단행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주11 4만 720추, 주12 6,760추, 주13 1,232대, 인견 직기 319대, 주14 직기 25대 등의 설비와 전국 17개 지역에 설치한 조면 공장을 비롯하여 2차 가공 공장으로 대구 주15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실과 면의 매수에서부터 방적 ‧ 염색 ‧ 나염 ‧ 피복에 이르는 일관된 생산 체제를 구축하였다.

의의 및 평가

조선방직주식회사는 우리나라 면방업(綿紡業)의 효시이다. 1969년 조선방직주식회사가 해산된 이후 현재까지도 회사가 있었던 범일동 일대를 ‘조방 앞’이라 부른다는 점에서 오늘날까지도 그 영향이 남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태현, 『부산 기업사』(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2004)

논문

서문석, 「1960년대 대표적 귀속기업체, 조선방직 부산 공장의 몰락」(『경영사학』 59, 한국경영사학회, 2011)
이창규, 「부산 조선방직 쟁의 행위에 따른 노동법 제정에 관한 연구」(『향도부산』 32,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16)
정안기, 「식민지기 조선인 자본의 근대성 연구: 경성방직(주)과 조선방직(주)과의 비교 시점에서」(『지역과 역사』 25, 부경역사연구소, 2009)

인터넷 자료

부산역사문화대전: 「조선방직」(http://busan.grandculture.net)
주석
주1

아욱과의 한해살이풀. 원줄기는 높이가 60cm 정도이고 잔털이 있고 곧게 자라면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가을에 흰색 또는 누런색의 오판화(五瓣花)가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열매는 삭과(蒴果)를 맺으며 씨는 검은색이고 겉껍질 세포가 흰색의 털 모양 섬유로 변한다. 솜털을 모아서 솜을 만들고 씨는 기름을 짠다. 우리말샘

주2

솜에서 자아낸 실. 우리말샘

주3

목화솜으로 만든 실로 짠 천. 우리말샘

주4

실을 뽑아서 천을 짬. 우리말샘

주5

실을 뽑거나 천을 짜는 일, 염색, 가공 따위를 포함하는 일체의 면사ㆍ면직 공업. 우리말샘

주6

목화의 대표적인 품종 가운데 하나. 세계적으로 가장 보편적인 종으로 야생종과 재배종이 있다. 미국이 원산지로 소출이 많으며 섬유가 길어서 옷감용으로 좋다. 우리말샘

주7

사람이 만든 명주실로 짠 비단. 우리말샘

주9

국가 또는 공공 단체의 재산을 개인에게 팔아넘기는 일. 우리말샘

주10

사람의 손을 빌리지 않고 동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옷감을 짜는 직기. 우리말샘

주11

실을 만들어 내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방사기, 타면기, 소면기, 정방기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2

몇 가닥의 실을 꼬아서 다시 한 가닥의 실을 만드는 기계. 우리말샘

주13

무명실 따위로 천을 짜는 기계. 우리말샘

주14

털 따위로 짜서 깔거나 덮을 수 있도록 만든 요. 우리말샘

주15

면사나 모사로 신축성이 있고 촘촘하게 짠 천. 속옷, 장갑 따위를 만드는 데에 쓴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