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향염직물명칭유휘 ()

의생활
문헌
1915년, 일본인 요시나가 히코타로[吉永彦太郞]가 조선에서 사용되고 있는 염직물 품종의 명칭과 특징을 8년 동안 조사하여 수록한 글.
문헌/도서
저술 시기
일제강점기
간행 시기
1915년 3월 1일
저자
요시나가 히코타로[吉永彦太郞]
출판사
조선총독부
내용 요약

「조선향염직물명칭유휘」는 1915년 일본인 요시나가 히코타로[吉永彦太郞]가 조선에서 사용되고 있는 염직물 품종의 명칭과 특징을 8년 동안 조사하여 수록한 글이다. 이 글은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조선휘보(朝鮮彙報)』 1915년 3월호에 실려 있다. 글의 서문에 따르면 주로 서울 시내의 주단포목상을 상대로 하여 조사 · 수록하였다. 이 글을 통하여 20세기 초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었던 400여 종에 이르는 염직물 품종의 명칭과 이칭, 원산지, 섬유 소재, 직물 조직, 제직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정의
1915년, 일본인 요시나가 히코타로[吉永彦太郞]가 조선에서 사용되고 있는 염직물 품종의 명칭과 특징을 8년 동안 조사하여 수록한 글.
저자

저자는 일본인 요시나가 히코타로[吉永彦太郞]이며, 공업전습소(工業傳習所)의 기수였다. 1907년(광무 11)에 일제 통감부(統監府)의 주도로 설립된 공업전습소는 근대 공업 기술 교육 기관으로, 목공(木工), 토목(土木), 응용화학(應用化學), 금공(金工), 도기(陶器), 염직(染織) 등 여섯 개의 과를 설치하여 한국 전래 수공업의 기술을 전습하였다.

구성과 내용

「조선향염직물명칭유휘(朝鮮向染織物名稱類彙)」는 1915년 일본인 요시나가 히코타로가 조선에서 사용되고 있는 염직물 품종의 명칭과 특징을 8년 동안 조사하여 수록한 글이다. 이 글의 서문에 따르면 주로 서울 시내의 주단포목상을 상대로 하여 조사 ‧ 수록하였다. 저자는 글의 서문에서 관련 업계에 참고가 되고자 염직물의 종류를 수집하는 데에 힘썼지만, 한 권의 참고서도 없고 한 사람의 선배도 없이 능숙하지 않은 조선어로써 조사 ‧ 수록한 것이기 때문에 착오가 없다고 하기는 어렵다고 밝히고 있다.

이 글은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조선휘보(朝鮮彙報)』 1915년 3월호에 실려 있다. 『조선휘보』는 일제강점기 때 조선총독부에서 간행한 월간지이다. 이 책은 1915년부터 1920년까지 『조선휘보』라는 이름으로 발행되었으며, 그 이전인 1911년 6월호부터 1915년 2월호까지는 『조선총독부월보(朝鮮總督府月報)』라는 이름으로 발행되었고, 1920년 7월호부터는 『조선(朝鮮)』으로 개명되었다.

이 글에서는 염직물의 품종을 크게 주(紬), 단(緞), 초(綃), 나(羅), 사(紗), 저(苧), 포(布), 목(木), 융(絨), 기타로 분류하고, 각각을 다시 면직물(綿織物), 주1, 주2, 주3, 주4 등으로 세분하였다. 이 글을 통하여 20세기 초 우리나라에서 주6되고 있었던 400여 종에 이르는 염직물의 명칭과 주5, 원산지, 섬유 소재, 직물 조직, 제직 특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조선향염직물명칭유휘」는 20세기 초 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었던 염직물 품종의 명칭과 이칭, 원산지, 섬유 소재, 직물 조직, 제직 특성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 근‧현대 복식사, 염직사의 사료로서 가치가 크다.

참고문헌

논문

이은진,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인터넷 자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근현대잡지자료: 「조선휘보」(http://db.history.go.kr/id/ma_030_0010_0280)
문화재청 문화재도서 간행물 다운로드: 「공업전습소」(http://116.67.83.213:18080/streamdocs/view/sd;streamdocsId=72059262474729569)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조선」(https://folkency.nfm.go.kr/kr/topic/detail/2811)

기타 자료

『조선휘보(朝鮮彙報)』(1915.03.01.)
주석
주1

삼실이나 아마실 따위로 짠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명주실로 짠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털실로 짠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두 가지 이상의 실을 섞어서 짠 직물. 우리말샘

주5

달리 부르는 명칭. 우리말샘

주6

‘시중 판매’를 줄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