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모본(臨模本)을 엄밀하게 정의하자면 임본(臨本)과 모본(模本)의 합성어로 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임모본은 임본을 의미한다. 임모본의 임(臨)자는 보이는 대로 베끼는 것을 말한다. 이 방법은 필사자가 원본을 마주보고 자유롭게 손으로 흉내내어 옮기는 방법으로, 고대부터 가장 보편적인 복제의 방법이었다. 임모는 원본의 글씨를 모방하여 베껴 쓰는 것이지만, 글씨를 배우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임모는 서법을 익히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서첩 등의 원본을 옆에 두고 이를 자세히 보면서 베끼는 방식이다.
문헌 기록에서 임사와 임모를 사용한 두 가지 사례를 모두 찾을 수 있다. 임사의 사례로 『중종실록(中宗實錄)』 1534년 6월 20일 기사에 시강원(侍講院) 관원들이 동궁(東宮)에게 서연에서 익히는 경전과 사서의 내용을 때때로 베껴 써보기[臨寫]를 권하였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때 임사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후자의 사례로는 『월정선생집(月汀先生集)』의 기사에서 자암(自庵) 김구(金絿)의 글씨를 베껴쓴[臨模] 서첩이 있다는 내용에서 ‘임모’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임사는 글씨의 형태를 모방하는 단계보다는 글의 내용을 그대로 베껴쓰는 의미가 강한 반면, 임모는 글씨의 형태와 서풍, 서체 등을 모방하여 그대로 베껴쓴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글씨를 베끼는 또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진 책인 모사본(模寫本)은 대상 작품인 원본 위에 반투명의 얇은 종이를 얹고 원본을 투사하여 베끼는 방식인 반면, 임모본은 원본을 자세히 관찰하여 손으로 자유롭게 옮겨쓰는 방식으로, 베끼는 필사자의 눈과 손을 동시에 훈련시킬 수 있다. 임모의 수준이 높아지면 원본의 수준을 구별하는 안목이 생기게 되고, 복본(複本)이나 위작(僞作) 등을 만들 수 있을 정도로 붓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임모의 방법와 단계는 크게 세 종류가 있다. 첫 번째는 형임(形臨)의 단계이다. 이는 법첩(法帖) 등의 원본 글씨를 관찰하여 글씨의 모양과 형태를 본떠 그대로 쓰는 모방의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의임(意臨)으로, 필체를 터득하여 글씨를 쓴 이의 의도와 글씨가 지니는 정신을 느끼고 배우는 단계이다. 세 번째는 배임(背臨)의 단계이다. 글씨의 모든 것을 스스로 외워 원본의 서풍을 연습하되, 자신의 취향과 의도를 더 보태 써내는 창작의 단계이다. 글씨를 보며 베끼는 임모 방식은 형임(形臨), 의임(意臨), 배임(背臨) 등 각 방법에 따라 다른 형태의 임모본이 만들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