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기완 ()

정치
인물
대한민국의 시민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인이자 시문학가 및 소설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33년
사망 연도
2011년
본관
수원(水原)
출생지
황해도 은율군 장련면 동부리
주요 저서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자주고름 입에 물고 옥색 치마 휘날리며
주요 경력
대통령선거 후보,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 부의장, 전국노동조합협희외 고문
관련 사건
와이더블유씨에이 위장결혼식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백기완은 대한민국의 시민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인이자 시문학가 및 소설가이다. 1964년 한일협정 반대운동에 참여한 이래 반독재 민주화 운동과 통일운동, 노동운동 등에 참여하였다. 1987년 13대와 1992년 14대 대통령 선거에 무소속 민중 후보로 출마하기도 하였다. 그의 시 「묏비라니」는 한국을 대표하는 저항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의 모태가 되었다.

정의
대한민국의 시민운동가, 통일운동가, 정치인이자 시문학가 및 소설가.
인적사항

1933년 황해도 은율군 장련면 동부리에서 아버지 백홍렬과 어머니 홍억재 사이의 3남 2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할아버지 백태주는 1919년 3·1운동에 태극기(太極旗)를 제작하여 배포하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1922년 장연농민공제회(長淵農民共濟會)의 초대 회장으로 재임하였고, 1923년 조선민립대학설립기성회(朝鮮民立大學設立期成會) 장련 지부 설립에도 참여하였다. 아버지 백홍렬은 『동아일보』『조선일보』 기자로 재직하였다.

주요 활동

백기완(白基琓)의 정치 활동은 1964년 한일협정 반대운동에서부터 본격화되었다. 1972년 7월 백범사상연구소(白凡思想硏究所)를 설립하여 『항일민족론』, 『백범어록』을 출간하여 김구(金九)의 사상 연구와 보급에 힘썼다. 1973년 12월 24일 서울 YMCA에서 장준하(張俊河), 함석헌(咸錫憲) 등과 함께 유신 철폐를 위한 100만인 서명 ‘개헌청원운동본부(改憲請願運動本部)’를 발족하였으나 1974년 1월 8일 공표된 「대통령 긴급조치 1호」를 위반하였다는 혐의로 장준하와 함께 구속되었다가 1975년 2월에 가석방되었다. 1979년 11월 24일 직선제(直選制) 대통령 선거를 요구하는 ‘ YWCA 위장결혼식 사건’으로 계엄령(戒嚴令) 위반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 받고, 복역 중 1981년 3·1절 특사로 석방되었다. 1985년 창립된 민주통일민중운동연합(民主統一民衆運動聯合)의 서울 지부 의장과 본부 부의장을 지냈다.

1987년 13대 대통령 선거에서 재야 운동권 세력 일부의 추대로 독자 민중후보(民衆候補)로 출마하였다. 이 선거에서 ‘민중후보연립정부안(民衆候補聯立政府案)’을 제안하며 김대중(金大中), 김영삼(金泳三) 두 후보의 단일화를 촉구하였으나 실패하였고 후보직을 중도에 사퇴하였다. 1990년 1월 전국노동조합협의회이 결성되자 고문직을 맡았다. 1992년 재야 운동권의 추대를 받아 민중후보로 1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낙선하였다.

이후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 노동운동 및 시민운동을 왕성하게 전개하였으며, 2000년 ‘너도 나도 일하고 올바르게 잘살자’는 노나메기 운동을 제창하였다. 이 운동은 그의 사후 백기완노나메기재단(2022년 2월)으로 계승되었다.

학문과 저술 · 사상과 작품

백기완은 다수의 시집, 평론집, 수필집, 이야기집으로 널리 알려졌다. 1979년 ‘YWCA 위장결혼식 사건’으로 구속 수감되었을 때 지은 장편시 「묏비나리」는 대표적 민중가요 「임을 위한 행진곡」의 모태가 되었다. 그 외 대표작으로 옥중 시집 『젊은 날』(1982)를 비롯해 『자주고름 입에 물고 옥색치마 휘날리며』(1979), 『장산곶매 이야기 1, 2』(1993), 『백기완의 통일이야기』(2003), 『부심이의 엄마생각』(2005),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2009) 등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백기완, 『사랑도 명예도 이름도 남김없이: 나의 한살매』 (한겨레출판, 2009)
백기완노나메기재단 엮음, 『백기완이 없는 거리에서』 (돌베개, 2022)

논문

임진택, 「불쌈꾼 백기완의 한 살매」 (『창작과 비평』 49-2, 창비, 2021)
조희연, 「백기완 선생을 보내며, 그의 삶과 투쟁을 돌아본다」 (『황해문화』, 새얼문화재단, 2021)
황광우, 백기완, 「인물연구: 민중후보 백기완의 일대기」 (『월간 길을 찾는 사람들』 92-12, 사회평론,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