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 ()

자연지리
개념
계절 혹은 월별 평균값이 평년값에서 크게 벗어나는 상태가 지속되는 현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상기후는 계절 혹은 월별 평균값이 평년값에서 크게 벗어나는 상태가 지속되는 현상이다. 평년보다 기온이 상당히 높거나 낮은 계절 또는 강수량이 이례적으로 많거나 적은 계절은 그 영향이 농업 등 주민 생활에 반영된다. 개화시기에 기온이 낮으면 과일 농사가 흉년이 될 수 있고 평년 강수량보다 적은 상태가 지속되면 가뭄 피해를 겪는다.

정의
계절 혹은 월별 평균값이 평년값에서 크게 벗어나는 상태가 지속되는 현상.
발달 원인

이상기후(異常氣候)는 산업혁명(産業革命) 이후 지속적인 지구온난화(地球溫暖化), 엘니뇨(El Niño)라니냐(La Niña) 현상으로 인한 대기 변동성 증가, 북극의 주2과 북극진동(北極振動)으로 인한 주3 지역의 겨울철 주4 발생 등에 의해 발달할 수 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은 전 세계적으로 발생빈도, 강도, 지속기간, 공간분포가 변화하며 매해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한다. 주요 해양변동(海洋變動) 현상인 엘니뇨와 라니냐도 2∼7년 주기로 불규칙하게 발생하면서 주5과 이상기후 출현 가능성을 높이고 지역과 계절에 따라 다양한 기상재해를 발생시킨다. 북극의 이상고온 현상은 최근 중위도(中緯度) 겨울철 한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북극의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높은 이상고온 현상이 장기간 지속되면서 북극의 한랭한 공기를 차단시켜 주는 제트기류(jet氣流, jet 주8라는 강풍대(强風帶)가 점차 느슨해지고, 그로 인해 북극에 차단되어 있던 한랭한 공기가 중위도까지 내려오면서 북반구 지역에 한파와 주9이 발생한다.

이상기후가 한반도에 미치는 영향

한반도에서는 기온 상승과 함께 매년 여름철 폭염(暴炎, 일최고기온 33.0℃ 이상)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2018년에 우리나라의 폭염일수가 31.4일로 평년(1990∼2020년)에 11.0일 발생하는 것보다 높은 수치를 보이며 4,526명의 주11가 발생하였고 48명이 사망하였다. 겨울철에도 한파(일최저기온 -12.0℃ 이하)의 영향으로 2010년 23.0일이라는 최장기간 한파가 출현하며 2조 3,000억 원이라는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여름철 강수(降水)의 경우 우리나라의 최근(1990∼2020년) 극한 강수(1시간 최다 강수량 30㎜ 이상)일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제주도 남부와 남해안 지역에서는 이상강수인 극한 강수량이 많고 극한 강수강도가 강한 반면 경상도 내륙과 동해안에서는 극한 강수강도가 약하고 발생빈도도 적다. 따라서 지역별로 홍수와 가뭄을 대비할 수 있는 다양한 수자원 관리 대응책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연옥, 『기후학개론』(정익사, 1999)
이승호, 『기후학』(푸른길, 2021)
『2019년 이상기후 보고서』(기상청, 2020)

논문

박인기, 서명석, 「우리나라에서 누적시간 및 극한 수준별 극한강수 특성의 최근(1991~2020년) 현황 및 변화 경향」(『기후연구』17,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22)
최홍준, 김정용, 최영은, 허인혜 외, 「신평년(1991~2020년)에 기반한 우리나라 최근 기후특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대기』33, 한국기상학회, 2023)
주석
주1

18세기 후반부터 약 100년 동안 유럽에서 일어난 생산 기술과 그에 따른 사회 조직의 큰 변화. 영국에서 일어난 방적 기계의 개량이 발단이 되어 1760~1840년에 유럽 여러 나라에서 계속 일어났다. 수공업적 작업장이 기계 설비에 의한 큰 공장으로 전환되었는데, 이로 인하여 자본주의 경제가 확립되었다. 우리말샘

주2

월평균 기온의 정규 분포에서 평균값으로부터 편차가 표준 편차의 두 배 이상으로 높은 기온. 우리말샘

주3

적도를 경계로 지구를 둘로 나누었을 때의 북쪽 부분. 우리말샘

주4

겨울철에 기온이 갑자기 내려가는 현상. 한랭 기단이 위도가 낮은 지방으로 이동하면서 생긴다. 우리말샘

주5

지난 30년 동안에 관측되지 않았을 만큼 현저하게 다른 기상. 또는 일반적으로 여느 해보다 두드러지게 다른 기상 현상. 우리말샘

주6

기온이나 강수량 따위가 정상적인 상태를 벗어난 상태. 우리말샘

주7

비, 바람, 눈, 가뭄, 벼락, 우박 따위의 기상 현상으로 생기는 재해. 우리말샘

주8

대류권의 상부 또는 성층권의 하부에서, 좁은 영역에 거의 수평으로 집중하는 강한 기류. 최대 풍속이 100m/s를 넘는 일도 있다. 북반구의 경우, 겨울에는 북위 30도 부근에 있고 여름에는 45도 부근까지 북상한다. 우리말샘

주9

아주 많이 오는 눈. 우리말샘

주10

매우 심한 더위. 우리말샘

주11

온열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우리말샘

주12

남쪽에 있는 해안. 우리말샘

주13

농업, 공업, 발전용 따위의 자원이 되는 물.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