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곤체의 ()

과학기술
문헌
1605년에, 마테오 리치(利瑪竇)와 이지조(李之藻)가 클라비우스의 『사크로보스코 천구론주해』 등에 근거하여 한역한 서양 천문학 개설서.
문헌/고서
간행 시기
1605년(선조 38)
저자
클라비우스
편저자
마테오 리치, 이지조
권책수
3권 1책
권수제
건곤체의(乾坤體義)
판본
사고전서본
표제
건곤체의(乾坤體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건곤체』의는 마테오 리치[利瑪竇]와 이지조(李之藻)가 클라비우스의 『사크로보스코 천구론주해』 등에 근거하여 한역한 서양 천문학 개설서이다. 아리스토텔레스 우주 구조론을 비롯해 프톨레마이오스 천동설로 대표되는 서양 중세의 천문학 이론이 이 저술을 통해 중국에 번역·소개되었다. 간행년은 1605년으로 추정되나 이설(異說)이 존재하며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아시아 전통적 ‘천원지방설’에 상반되는 ‘지원설(地圓說)’, 기하학적 일월식의 원리, 구중천설(九重天說) 등을 개설적으로 서술하여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정의
1605년에, 마테오 리치(利瑪竇)와 이지조(李之藻)가 클라비우스의 『사크로보스코 천구론주해』 등에 근거하여 한역한 서양 천문학 개설서.
저자 및 편자

역자(譯者)는 이탈리아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Matteo Ricci, 利瑪竇, 주22와 중국인 이지조(李之藻, 15651630)로, 마테오 리치가 구술하고 이지조가 받아 적었다.

서지사항

현재 통용되는 판본은 주1본으로 필사본이며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초간본에 대해서는 1605년(선조 38)에 간행되었다는 설이 있지만 실물이 확인되지는 않았다. 또 어떤 이유에서인지 이지조 본인이 1627년(인조 5)경에 편찬한 『천학초함』에도 수록되지

공역자(共譯者)주2인 이지조의 이름은 사고전서본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1607년(선조 40)~1608년(광해군 즉위년) 마테오 리치가 자신의 일기에서 이지조가 클라비우스의 『천구론주해(天球論註解)』를 이미 완역하였다고 밝혔고, 『건곤체의(乾坤體義)』의 하권 「용고도의(容較圖義)」을 독립적으로 1614년(광해군 6)에 단독 출판한 『원용교의(圜容較義)』(1614)에 ‘利瑪竇 授, 李之藻 演’이라고 명기되어 있기 때문에 이지조를 『건곤체의』의 공역자로 단정해도 틀림은 없다.

일본에는 『세이카도분코(靜嘉堂文庫)』 소장본이 있는데 이 또한 사고전서본에 따른 것이다.

주요한 저본은 독일 출신의 예수회사이자 저명한 수학자 겸 천문학자로, 1583년(선조 16)에 반포된 그레고리오력 주3의 중심인물이었던 크리스토프 클라비우스(Christoph Clavius, 1538~1612)가 13세기의 천문학 개설서 『사크로보스코 천구론(Tractatus de Sphaera)』에 대해 다량의 주석을 부가한 『사크로보스코 천구론주해(天球論註解, In Sphaeram Ioannis de Sacrobosco Commentarius, 1570년 초판)』이다. 마테오 리치가 번역에 사용한 것은 아마도 1585년(선조 18) 판이거나 그 이전 판본으로 판단된다.

편찬 및 간행 경위

『건곤체의』의 편찬과 간행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하지만 상권의 내용 중 아리스토텔레스 주4을 다룬 「사원행론(四元行論)」의 일부를 제외한 전문(全文)이 이지조가 1602년(선조 35)에 간행한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주5으로 실려 있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듯이, 늦어도 1602년에는 이미 번역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하권 「용고도의(容較圖義)」를 독립적으로 간행한 『원용교의』의 이지조 서문에 의하면 하권의 번역이 완성된 것은 대략 1608년의 일이다.

처음에 마테오 리치가 『건곤체의』 번역의 저본으로 사용한 클라비우스의 『천구론주해』는 초판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 초판본에는 『건곤체의』의 하권에 해당하는 등주도형론(等周圖形論)이 실려 있지 않다. 이 등주도형론은 『천구론주해』의 1585년 제3판에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클라비우스는 1604년(선조 37)에 『실용기하학(Geometria Practica)』를 간행하면서 등주도형론을 『천구론주해』에서 삭제하고, 『실용기하학』 제7장에 옮겨 실었다. 이 『실용기하학』이 중국에 도착한 것이 1607년경으로, 『건곤체의』의 하권 「용고도의」의 내용이 1614년에 『원용교의』라는 제명으로 『측량법의』 등과 함께 수학 저작으로서 간행된 배경의 하나로 추측된다.

구성과 내용

상권은 프톨레마이오스 주6의 기본 개념을 설명한다. (1) 하늘도 땅도 구체이다, (2) 지구와 주7의 별들 간의 거리와 크기, (3) 아리스토텔레스의 구중천(십일중천)설, (4) 주8 등이 소개되어 있는데, 그 중 마지막 사원소설을 제외한 나머지 전문은 이지조가 1602년에 간행한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의 명문(銘文)과 동일하다.

(1)절에서는 땅이 구체이고 우주의 중심이며, 주9가 남북극의 두 극을 갖고 있으므로, 매 250리를 북상할 때마다 위도가 1도씩 높아진다는 1도차=250리라는 명제가 제시되었다. 다만 이 수치는 실측치가 아니라 『천구론』에 주어진 700 주10의 값을 8 스타디아=1리의 비율로 환산한 값이다. 참고로 청대에는 이 값이 1도차=200리로 수정되었다. 지구가 구체이므로 주11이 존재하고, 한대-온대-열대라는 기후대가 존재하며, 북경은 위도가 40도로 북반구에 속하는데 남반구의 희망봉은 북경과 비슷한 위도이지만 계절이 정반대라고 소개한다.

(2)절에서는 달의 크기와 지구로부터의 거리, 태양의 크기와 지구로부터의 거리 등이 설명되어 있는데, ‘태양의 크기는 대략 지구의 166과 3/8배’라고 하는 마우롤리코(Francesco Maurolico, 1494~1575)의 저작 『우주지(宇宙誌, Cosmographia)』의 값이 주어져 있다.

(3)절에서는 구중천의 공전 주12 등이 주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천구는 이른바 양파 같은 구조로 달-수성-금성-태양-화성-목성-토성-항성의 여덟 겹의 성천(星天)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9천이 종동천(宗動天, primum mobile)으로 지구의 자전을 담당한다. 이것이 구중천의 구조인데 클라비우스는 이를 확장하여 종동천을 제10천으로 하고, 제9천을 무성수정천(無星水晶天)이라고 명명하여, 이로써 주13와 트레피데이션(trepidation) 현상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마지막 제11천은 최고천(Coelum empyreum)으로 ‘정천(靜天)’ 혹은 ‘광천(光天)’ 등으로 불렸는데 천문학적 기능을 갖지 않는 순수한 기독교적 창조물에 지나지 않는다.

(4)절의 「사원행론」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원소설을 소개하였으며, 이로써 중국의 주14을 비판하였다. 이어서 히포크라테스의 주15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기상(氣象) 삼역설이 간단히 소개되어 있다.

중권의 내용은, (1) 태양은 지구보다 크고, 지구는 달보다 크다, (2) 태양이 지구보다 큰 것을 논함, (3) 지구가 달보다 큰 것을 논함, (4) [부록] 서광계가 지구가 구체임을 논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체 거리 측정을 위한 기하학적 방법을 논하고, 태양광에 의한 지구 그림자가 갖는 원뿔형에 대한 주16 고찰을 이용하여 태양과 지구 및 달의 크기를 논했다.

여기에 소개된 광학 명제는 여섯 가지이다. (1) 물체는 멀어질수록 작게 보인다. (2) 빛의 비춤(광선)과 눈의 시선은 직선이다. (3) 원추체의 밑은 원형이고, 밑과 평행한 절단면은 모두 원형이고 밑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진다. (4) 구형의 주17가 동일한 크기의 구형 수광체(受光體)를 비출 경우, 수광체의 절반을 비추며 그림자는 평행하게 나아간다. (5) 광체가 크고 수광체가 작을 경우, 수광체의 절반 이상을 비추고, 그 그림자는 수렴한다. (6) 광체가 작고 수광체가 클 경우, 수광체의 절반 이하를 비추고 그 그림자는 발산한다.

이러한 광학 명제를 이용하여 주18 현상의 종종 특징을 설명하고, 이를 근거로 ‘지구는 태양보다 작고, 달보다 크다.’는 결론을 얻는다. 비교적 짧은 논술이지만, 유클리드의 광학서 등을 이용하여 클라비우스의 『천구론주해』와 비교해도 상당히 격조 높은 서술 형식을 취하고 있다. 클라비우스의 『천구론주해』 이외에 다른 참고문헌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이유이다. 중권의 권말에는 하늘도 땅도 둥글다는 ‘천원지원설(天圓地圓說)’을 받아들인 서광계(徐光啓)가 중국의 경전에서 일부 ‘지원설’로 설명될 수 있는 내용을 거론하며, 주19의 미비를 평하고, 주비(周髀)의 ‘천원지방설’을 비판하는 「서태사지원삼론(徐太史地圜三論)」을 첨부하였다.

하권은 「용교도의(容較圖義)」라고 하여 여러 가지 등주도형(等周圖形, isoperimetric figure)의 면적과 주20을 비교함으로써 원의 면적과 구의 체적이 등주도형 중에서 최대가 됨을 수학적으로 증명한다. 원운동이 가장 이상적인 운동이고 구체가 가장 이상적인 도형이라는, 다시 말해서 “자연은 가능한 한 언제고 최선을 이룬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적 관점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내용이다. 원래의 『사크로보스코천구론』에는 없는 내용으로 클라비우스가 4세기의 그리스 수학자 파푸스(Pappus of Alexandria)의 저작으로부터의 발췌하여 제3판(1585)부터 주석으로 첨부하였다.

의의 및 평가

중국 천문역법(天文曆法)은 그 특성상 천체 운동의 주기성에 기초해서 그 운동의 관측치를 구한 후, 주로 대수적(代數的)인 알고리즘을 구사해 천체 운행을 예측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서양의 아리스토텔레스적인 구중천설과 같은 형이상학적 우주론(宇宙論) 혹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과 같은 기하학적 모델을 굳이 요하지 않는다.

명말(明末)에 마테오 리치 등 예수회 선교사에 의해 중국에 전해진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론과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 체계는 ‘하늘도 땅도 둥글다’는 ‘지원설(地圓說)’로 인해 큰 지적 충격을 주었으며, 역으로 중국 전통의 우주론이라고 할 수 있는 주21과 혼천설(渾天說)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야기시켰다. 이러한 지적 충격은 청대에 이르러 ‘ 서양과학 중국 기원설(西學中源說)’로까지 발전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건곤체의(乾坤體義)』
『The Sphere of Sacrobosco』

단행본

安大玉, 『明末西洋科學東傳史』 (知泉書館, 2007)
Lynn Thorndike, The Sphere of Sacrobosco and Its Commentato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9)
Henry Bernard, S.J., Matteo Ricci’s Scientific Contribution to China. (Hyperion Press, 1973)

논문

今井溱, 乾坤体義雑考. (『明清時代の科学技術史(再刊本)』, 朋友書店, 1997)
주석
주1

중국 청나라 건륭제의 명에 따라 건륭 37년(1772)에 시작하여 1782년에 완성한 중국 최대의 총서(叢書). 궁중에서 소장하고 있던 서적 외에 전국의 민간에 소장된 서적을 골라 모아서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네 부문으로 나누었다. 7부(部)를 작성하여 여러 서고에 나누어 보관하였다. 우리말샘

주2

번역 작업에 함께 참여한 사람. 우리말샘

주3

역법(曆法)을 고침. 우리말샘

주4

물, 불, 흙, 공기가 만물을 구성하는 네 가지 기본 요소라고 주장하는 학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엠페도클레스, 아리스토텔레스 등이 주장하였다. 우리말샘

주5

쇠붙이와 돌, 살림살이에 쓰는 그릇 따위에 새겨 놓은 글. 우리말샘

주6

우주의 중심은 지구이고, 모든 천체는 지구의 둘레를 돈다는 학설. 근대 천문학이 발달하지 않은 16세기까지 세계적으로 널리 받아들여졌으나, 오늘날에는 비과학적인 학설임이 증명되었다. 우리말샘

주7

하늘을 아홉 방위로 나누어 이르는 말. 중앙을 균천(鈞天), 동쪽을 창천(蒼天), 서쪽을 호천(昊天), 남쪽을 염천(炎天), 북쪽을 현천(玄天)이라 하고 동남쪽을 양천(陽天), 서남쪽을 주천(朱天), 동북쪽을 변천(變天), 서북쪽을 유천(幽天)이라 한다. 우리말샘

주8

물, 불, 흙, 공기가 만물을 구성하는 네 가지 기본 요소라고 주장하는 학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인 엠페도클레스, 아리스토텔레스 등이 주장하였다. 우리말샘

주9

천체의 시위치(視位置)를 정하기 위하여 관측자를 중심으로 하는 무한 반경의 큰 구면(球面). 모든 천체가 실제 거리와는 관계없이 이 구면 위에 투영되어 있는 것으로 본다. 우리말샘

주10

간접 거리 측량 방법의 하나. 트랜싯(transit) 망원경에 그어진 스타디아선 사이에 낀 표척의 길이와 연직각에 의하여 두 점 간의 수평 거리와 고저차를 간접적으로 구하는 측량 방법이다. ⇒규범 표기는 미확정이다. 우리말샘

주11

지구 위의 한 지점에 대하여, 지구의 반대쪽에 있는 지점. 이 두 지점은 기후가 정반대이고 12시간의 시차가 난다. 우리말샘

주12

한 천체(天體)가 다른 천체의 둘레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 우리말샘

주13

천체의 작용에 의하여 지구 자전축의 방향이 조금씩 변하는 현상. 이 때문에 천구(天球)의 적도와 황도가 변하고, 그에 따라 춘분점이 해마다 조금씩 달라진다. 우리말샘

주14

우주나 인간 사회의 모든 현상 및 만물의 생성 소멸을 음양과 오행의 소장(消長), 변천으로 설명하려는 이론. 중국 전국 시대에 각각 성립된 음양설과 오행설이 한나라 때에 합쳐진 세계관으로, 특히 역법과 결합하여 중국, 한국, 일본의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끼쳤다. 우리말샘

주15

그리스 의학 사상의 하나. 혈액, 점액, 황담즙, 흑담즙의 네 종의 체액량의 균형이 흐트러지는 것이 병의 원인이라는 설이다. 이 설에 따르면 병과 자연의 힘이 싸우면서 부족한 체액의 분비가 활발해지고, 소변, 대변 등으로 지나친 체액이 배설됨으로써 이 네 체액이 원래대로 조화되면 병은 회복된다. 우리말샘

주16

빛의 물리적 성질을 갖는. 또는 그러한 것. 우리말샘

주17

제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 태양, 별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8

일식과 월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9

고대 중국의 우주 구조에 관한 대표적인 학설. 천동설의 하나로 우주를 달걀 모양에 견주어 하늘은 밖에서 노른자위인 땅을 싸고 있으면서 돌고, 껍데기의 겉에는 끝이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고 하였다. 기원전 4세기경에 비롯하여 후한(後漢)의 장형(張衡)이 체계화하였는데, 이 우주관에 기초하여 혼천의를 만들었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20

넓이와 높이를 가진 물건이 공간에서 차지하는 크기. 우리말샘

주21

중국의 우주관의 하나. 하늘은 삿갓처럼 생겨 지상 80만 리 위에서 지구를 덮고 있으며, 북극 부분이 갓의 중심이고, 하늘에 있는 태양이나 그 밖의 모든 천체는 북극을 중심으로 하는 원 위로 움직인다고 생각했으며, 밤과 낮이 생기는 원인은 태양과의 거리가 멀고 가까움에 있다고 생각했다. 우리말샘

주22

이탈리아의 예수회 선교사(1552~1610). 중국 이름은 이마두(利瑪竇). 명나라 만력제(萬曆帝)로부터 베이징(北京) 정주를 허가받고, 중국에 가톨릭 포교의 기초를 쌓았다. ≪기하학 원론≫, ≪곤여 만국 전도≫ 따위의 서양 학술을 소개하였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