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실소장법 ()

과학기술
개념
1태양년의 길이인 세실(歲實)을 과거로 소급할 때는 늘리고, 미래는 줄이는 계산 방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세실소장법은 1태양년의 길이인 세실(歲實)을 과거로 소급할 때는 늘리고, 미래는 줄이는 계산 방법이다. 세실이 세월에 따라 점점 짧아짐에 따라, 역(曆) 계산의 기점인 역원(曆元)으로부터 과거는 세실의 길이를 늘이고 미래는 줄이는 계산 방법, 즉 세실의 소장(消長)을 역계산에 고려하는 방법을 말한다.

정의
1태양년의 길이인 세실(歲實)을 과거로 소급할 때는 늘리고, 미래는 줄이는 계산 방법.
주천과 세실

주천(周天)주1이란 태양이 주2을 기준으로 주3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을 말하며, 1항성년(一恒星年)의 길이와 같다. 이에 비해 세실(歲實)은 주7 길이에 대한 옛 표현으로 태양이 주4 또는 주5을 기준으로 황도를 한 바퀴 돌아 춘분점 또는 동지점에 이를 때까지의 시간을 말하며 1태양년의 길이와 같다. 1태양년은 주6이라고도 하며 사계절의 변화와 일치하는 주기이다. 그러나 1태양년의 길이는 태양과 달 등에 의한 지구의 세차 주8으로 인하여 춘분점이 매년 50.2″씩 서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태양이 항성을 기준으로 황도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일수인 주9보다 평균 1.4×10-7일(즉, 50.2″)이 짧다. 이처럼 1태양년의 길이가 서서히 짧아지고 있는 물리학적 이유는 지구가 태양과 달의 주10을 받을 때 생기는 조석 마찰(tidal 주11에 의해 지구 주12의 에너지가 감소하므로 지구가 과거보다 느린 속도로 자전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1년의 길이가 계속 변화함에 따라 그 변화율을 역 계산에 고려한 방법이 세실소장법(歲實消長法)이다.

세실소장법과 변화율

중국 역법(曆法)에서 세실소장법을 처음으로 도입한 역법은 주13의 『통천력(統天曆)』이다. 이어서 주14『수시력(授時曆)』이 『통천력』을 따라 1년의 길이를 365.2425일로 정하고 세실소장법을 역 계산에 도입하였다. 그러나 『통천력』은 세실이 100년에 약 2분씩 짧아지는 것으로 계산한 반면, 『수시력』은 100년에 약 1분 50초씩 짧아지는 것으로 계산하였다. 『수시력』은 1일을 10,000분으로 하여 1태양년의 길이인 365.2425일은 365만 2,425분이 된다. 그리고 1항성년의 주15 주16는 365도 25분 75초로 정하여, 주천 일수(日數)는 365일 2,575분이 된다. 그런데 1항성년과 1태양년의 도수와 길이는 1년에는 0.015분씩, 100년에는 1분 50초씩 차이가 나므로 100년에 1분 50초씩 짧아지는 변화율을 역 계산에 고려하였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은희, 『칠정산내편의 연구』 (학술기술정보, 2017)
한영호, 이은희, 강민정 역주, 『해와 달, 다섯 행성의 천문학, 칠정산내편 1』 (한국고전번역원, 2016)
藪內淸, 『宋元時代の科學技術史』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1967)
Zeilik, M & Smith, E. P., 『Introducto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Saunders Collage Publishing: Philadelphia,1987)
주석
주1

천체(天體)가 각기의 궤도를 따라 한 바퀴 도는 일. 우리말샘

주2

천구 위에서 서로의 상대 위치를 바꾸지 아니하고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별 가운데 행성, 위성, 혜성 따위를 제외한 별 모두가 해당되는데, 이들은 중심부의 핵융합 반응으로 스스로 빛을 내며, 고유 운동을 한다. 북극성, 북두칠성, 삼태성, 견우성, 직녀성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3

태양의 둘레를 도는 지구의 궤도가 천구(天球)에 투영된 궤도. 천구의 적도면(赤道面)에 대하여 황도는 약 23도 27분 기울어져 있으며, 적도와 만나는 두 점을 각각 춘분점, 추분점이라 한다. 우리말샘

주4

태양이 황도를 따라 남쪽에서 북쪽으로 지나가면서 하늘의 적도와 만나는 점. 우리말샘

주5

춘분점(春分點)에서 황도(黃道)를 따라 서쪽으로 90도 되는 점. 적도(赤道)에서 남반구 쪽으로 가장 먼 점이며 동지 때 태양이 이 점에 이른다. 우리말샘

주6

태양이 황도상의 춘분점을 출발하여 다시 춘분점에 돌아올 때까지 걸리는 시간. 365일 5시간 48분 46초이다. 우리말샘

주7

태양이 어떤 기준점에 대하여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 근점년, 회귀년, 항성년 따위를 포함한다. 우리말샘

주8

물체의 회전축이 회전을 하는 운동. 기울어진 팽이의 회전축이 만드는 원뿔형의 운동. 우리말샘

주9

태양이 어떤 항성과 같은 황경(黃經)에서 출발하여 다시 그 자리에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 365일 6시간 9분 9.5초로, 지구의 공전 주기와 같고, 태양년보다는 약 20분 길다. 우리말샘

주10

해수면의 높이의 차이를 일으키는 힘. 달과 태양의 인력과 지구의 원심력이 상호 작용을 한 결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달의 것이 태양의 것보다 두 배 이상 크다. 우리말샘

주11

조석의 영향으로 생긴 조류와 해저 사이, 또는 조류의 내부에 생기는 마찰. 이에 의하여 지구의 회전 에너지가 줄어들어 지구의 자전 속도를 100년에 1,000분의 1초 미만으로 늦춘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12

저절로 돎. 우리말샘

주13

중국의 송나라가 1127년 금나라에 밀려 남쪽으로 내려가 임안(臨安)으로 천도한 때부터 1279년 원나라에 망할 때까지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4

1271년에 몽고 제국의 제5대 황제 쿠빌라이가 대도(大都)에 도읍하고 세운 나라. 1279년에 남송을 멸망시키고, 중국 본토를 중심으로 몽고, 티베트를 영유하여 몽고 지상주의 입장에서 민족적 신분제를 세웠으나 1368년에 주원장을 중심으로 한 한족의 봉기로 망하였다. 우리말샘

주15

천체(天體)가 각기의 궤도를 따라 한 바퀴 도는 일. 우리말샘

주16

각도, 온도, 광도 따위의 크기를 나타내는 수.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