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시력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1898년(광무 2)부터 1908년(융희 2)까지, 간행된 대한제국의 역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명시력(明時曆)은 1898년(광무 2)부터 1908년(융희 2)까지 간행된 대한제국의 역서이다. 고종 34년인 1897년(광무 1)에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연호를 광무(光武)로 고치고 역서의 이름도 종래의 『시헌력(時憲曆)』에서 『명시력』으로 바꾸었다. 『명시력』은 대한제국에서 1898년부터 1908년까지 11년간 사용된 역서이다.

목차
정의
1898년(광무 2)부터 1908년(융희 2)까지, 간행된 대한제국의 역서.
내용

조선은 1896년(고종 33) 1월부터 태양력(太陽曆)을 사용하였다. 이 해는 역명(曆名)을 『시헌서(時憲書)』에서 다시 『시헌력(時憲曆)』으로 바꾼 때로, 처음으로 건양(建陽)이라는 독자 연호도 함께 사용하였다. 그러나 다음 해인 1897년(광무 1) 8월에 연호를 다시 광무(光武)로 바꾸고 역서(曆書)의 이름도 『시헌력』에서 『명시력(明時曆)』으로 바꾸었다.

『명시력』은 『시헌력』과 다를 바 없는 역서지만, 역명을 고친 이유는 독립 국가로서 민심을 새롭게 하기 위한 것이라 보고 있다. 『명시력』 시대는 태양력 보급에 박차를 가한 때로서 한반도 정세의 변화가 심한 때였다. 이 때 『시헌서』와 같은 체재의 역서가 학부관상소(學部觀象所)에서 『명시력』이라는 이름으로 1908년(융희 2)까지 출간되었다. 『명시력』이 이전의 역서와 다른 점은 역서 하단에 각 음력(陰曆) 일(日)에 해당하는 양력(陽曆) 일과 요일(曜日)을 함께 표시한 것이다. 이러한 표기는 1896년 1월부터 태양력이 공식적으로 채택되면서 태양력에 의한 역서는 음력 일과, 같이 사용하던 『시헌력』에 의한 역서는 양력 일과 비교하였다. 즉, 태양력이 공식적으로 채택되기는 하였으나 오랫동안 사용하던 태음 주1의 관습을 쉽게 바꾸지는 못하여 1896년 이후의 역서는 태양력과 『시헌력』에 의한 2가지 종류가 간행되었다. 당시에 간행된 태양력 역서는 이 전의 역서와 달리 12달의 주2을 양력 일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냈으며, 각 양력 일에 해당하는 요일과 음력 일 및 음력 일의 간지(干支)를 역서의 중단에 표시하였다. 그리고 주3, 현(弦), 주4일의 시각을 해당 양력 일 밑에 나타냈으며 24 절기의 입기(入氣) 시각과 일출입 및 주야각의 시간을 해당 양력 일 사이에 표시하였다. 그리고 태양력이 채택된 1896년 이후의 『시헌력서』는 이전의 역서와 달리 역서 하단에 음력 일에 해당하는 양력 일과 요일을 표시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나라에서 공식적으로 태양력을 채택하고 있었으므로 음력 일을 기준으로 제작된 『시헌력서』에 태양력 일과의 비교가 필요하기 때문이었다. 『명시력』은 1909년(융희 3)에는 ‘대한 융희 3년력(大韓隆熙三年曆)’, 1910년에는 ‘대한 융희 4년력(大韓隆熙四年曆)’으로 바뀌어 발행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단행본

이은성, 『역법의 원리분석』 (정음사, 1985)

논문

이은희, 「조선시대의 역서」 (『한국천문력 및 고천문학』, 한국천문연구원, 1996)
주석
주1

달의 위상이 변하는 주기를 기준으로 한 달을 정하고, 계절 변화의 주기에 맞게 2~3년마다 윤달을 두어 1년이 열두 달 또는 열세 달이 되는 역법. 우리나라의 음력, 유대력, 중국력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2

일 년 동안의 월일, 해와 달의 운행, 월식과 일식, 절기, 특별한 기상 변동 따위를 날의 순서에 따라 적은 책. 우리말샘

주3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에 들어가 일직선을 이루는 때. 달이 빛을 반사하지 않아 보이지 않으며, 흔히 일식 현상이 일어난다. 우리말샘

주4

태양, 지구, 달이 순서대로 한 직선 위에 놓이는 때. 또는 그때의 달. 달의 반구(半球) 전체가 햇빛을 받아 밝게 빛난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