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수대명력 ()

목차
관련 정보
과학기술
개념
1171년(명종 1), 금나라의 조지미가 양급의 『대명력(大明曆)』을 중수하여 편찬한 역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중수대명력은 1171년(명종 1) 금나라의 조지미가 양급의 『대명력(大明曆)』을 중수하여 편찬한 역법이다. 요나라 가준의 『대명력』과 북송의 『기원력(紀元曆)』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금에서는 1182년(명종 12)부터 1234년(고종 21)까지 사용되었다. 또한 몽골은 1215년(고종 2)부터 이 역법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몽골을 이은 원에서는 『수시력(授時曆)』이 시행되기 전인 1280년까지 사용되었다.

목차
정의
1171년(명종 1), 금나라의 조지미가 양급의 『대명력(大明曆)』을 중수하여 편찬한 역법.
내용

금(金)나라는 개국 초기인 1125년(인종 3) 요(遼, 9161125)를 멸하고 요의 역법(曆法)이었던 가준(賈俊)의 『대명력(大明曆)』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1127년(인종 5) 정강(靖康)의 변(變) 때에 북송(北宋, 9601127)의 수도를 공략하여, 그곳에 있던 역서와 천문의기(天文儀器)들을 모두 몰수하여 가져간 후 북송에서 얻은 『기원력(紀元曆)』을 바탕으로 금의 역법을 정비하였다. 이 역법이 바로 양급(楊級)에 의해 편찬된 『대명력』인데 후에 이 역법을 다시 보수하여 만든 역법이 『금사(金史)』에 전하는 조지미(趙知微)의 『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이다. 양급의 『대명력』은 1137년(인종 15)부터 조지미의 『중수대명력』이 시행되기 전인 1181년(명종 11)까지 사용되었다. 『중수대명력』의 서문(序文)에 의하면 양급의 『대명력』은 북송의 『기원력』을 바탕으로 만들었다고 기술되어 있고, 『원사(元史)』 「유병충전(劉秉忠傳)」과 「역지(曆志)」에는 양급과 조지미의 『대명력』은 요나라 가준의 역법에서 나왔으며, 양급의 『대명력』은 천문을 새로 관측하지 않은 채 『기원력』을 약간 손을 본 정도라고 전한다. 그러므로 금의 『중수대명력』은 요나라 가준의 『대명력』과 북송의 『기원력』의 영향을 모두 받았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몽골은 금나라 연경(燕京: 현, 북경)을 정복한 1215년(고종 2)부터 『중수대명력』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이 역법은 몽골 제국 내의 모든 울루스(Ulus) 국가의 지배 계층에서도 사용되었으며 원(元, 12601368)에서는 1281년 『수시력(授時曆)』이 시행되기 이전까지 사용되었다. 『중수대명력』은 원나라의 『경오원력(庚午元曆)』과 『수시력』 뿐만 아니라, 일한국(Ilkhanid, 12561335)에서 제작된 『키타이력(Kitai calendar)』의 편찬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선(朝鮮)으로 전해진 『중수대명력』은 세종(世宗) 때 천문학자(天文學者)인 이순지(李純之, 14061465)김담(金淡, 14161464)의 연구 교정을 거쳐 1444년(세종 26)에 갑인자(甲寅字)로 재간행되다. 이후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 『칠정산외편(七政算外篇)』과 더불어 일식(日蝕) · 월식(月蝕) 계산의 삼편법(三篇法)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1654년(효종 5) 『시헌력(時憲曆)』이 시행된 이후로는 사편법(四篇法)에 편입되어 19세기까지 일 · 월식 계산에 활용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
『원사(元史)』 「역지(曆志)」
『사여전도통궤(四餘躔度通軌)』

단행본

이은희, 『칠정산내편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17)
藪內淸, 『宋元時代の科學技術史』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1967)

논문

이은희, 최고은, 민병희, 「몽골제국의 위구르력과 『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 (『한국과학사학회지』 43-3, 한국과학사학회, 2021)
최고은, 「중수대명력(重修大明曆)의 분석과 일식 계산의 현대적 비교」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