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화문(梅花文)
특히, 매화는 선비의 아취를, 대나무는 대장부의 기백을 지녔다 하여 주로 같이 나타내고 있는데, 고려청자에 보이는 매죽 무늬는 매우 간결하지만 흔하지가 않아 청자상감 매죽수금문 매병(靑磁象嵌梅竹水禽文梅甁) 등에서 살펴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초기 청화백자(靑華白磁)에 수묵 문인화풍의 매화무늬가 장식되며, 후기에 가서는 식기류와 연적·지통(紙筒) 및 담배합 같은 선비의 문방구류 등에 간략한 양각 무늬로 많이 나타낸 특징을 보이고 있다. - 「한국묵매화(韓國墨梅畵)의 연구(硏究)」(범효춘, 홍익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0) - 「한국묵매화(韓國墨梅畵)에 관한 연구」(허영환, 『문화재』11, 문화재관리국, 19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