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누문동 유적 ( )

목차
선사문화
유적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암막새 · 기와 · 토기 관련 건물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광주광역시 북구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암막새 · 기와 · 토기 관련 건물터.
내용

1994년광주제일고등학교에서 생활관을 신축하는 과정에서 기와와 토기편들이 발견됨에 따라 전남대학교박물관에서 긴급수습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된 유구는 두 건물이 중첩되어 있으며, 앞 시기의 유구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뒷 시기의 유구는 서북∼동남을 장축으로 한 정면 3칸, 측면 1칸의 소형 건물지로서 일부 적심을 남기고 있으며 그 간격은 3.6m이다. 두 건물지의 연대는 모두 8∼9세기에 걸치는 통일신라 초기에 해당하며, 두 건물지간의 시기차는 그다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유물은 통일신라시대의 토기와 기와가 주류를 이룬다. 건물지 주변에서는 백제시대의 삼족토기편을 비롯해 고려시대의 토기·기와·청자, 조선시대 분청사기·백자 등이 출토되었다.

통일신라시대의 기와는 당초문 암막새를 비롯한 선조문 방격문 평기와들이 대부분이다. 그 중에는 ‘國城(국성)’이라는 명문이 있는 것도 있다. 통일신라시대의 토기는 인화문이 시문된 것으로서 안압지나 충효리고분 출토품과 유사하다. 그 외에도 통일신라시대로 추정되는 원형의 토제벼루 2점이 출토되었다.

이 유적은 광주 시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통일신라시대의 건물지이다. 이것은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오는 통일신라시대의 ‘무진도독고성(武珍都督古城)’과 관련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는 백제 이래 무주(武州) 또는 무진주(武珍州)로 불렸다.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와 9주 5소경의 지방제도가 갖춰지면서 문무왕 18년(678년)에 아찬(阿0xC89F) 천훈(天訓)이 무진주도독으로 파견되었고, 경덕왕 16년(757년)에는 무주로 개편되었다. 그러나 그 치소에 해당하는 ‘무진도독성’에 대한 단서를 전혀 찾지 못하고 있었다.

이 누문동 유적은 통일신라 초기의 건물지이고, 이 유적이 있는 누문동과 북동 일대는 고대도시에 보이는 입지조건과 도로망을 갖추고 있다. 그 외곽에는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걸치는 여러 사찰터에 석탑이나 석불, 석등이 남아 있다. 따라서 통일신라의 건물지가 집중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누문동과 북동 일대는 무진도독성이 자리잡고 있었던 지역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세종실록지리지』
「광주누문동통일신라건물지수습조사보고」(임영진·황호균·서현주, 『호남고고학보』 2, 1995)
집필자
임영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