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대봉동 고인돌 ( 고인돌)

목차
관련 정보
대구 대봉동 지석묘 제2구 발굴 상태
대구 대봉동 지석묘 제2구 발굴 상태
선사문화
유적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 유지석식과 무지석식 구조로 구분되는 고인돌. 지석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일대에 있는 청동기시대 유지석식과 무지석식 구조로 구분되는 고인돌. 지석묘.
개설

1927년 일본인학자 고이즈미(小泉顯夫)와 사와(澤俊一)에 의해 처음으로 조사된 이래, 1936·1938·1940년 등 네 차례에 걸쳐 모두 17기에 대한 발굴이 이루어졌다. 이 중 1927년의 조사내용은 보고되지 않았으나 나머지 세 차례의 조사결과는 보고되었다.

내용

대봉동고인돌은 대체로 남북 일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고인돌의 장축도 모두 남북으로 되어 있다. 굄돌〔支石〕의 유무에 의해 유지석식(有支石式)과 무지석식(無支石式)으로 구분된다. 구조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유형은 편평한 덮개돌을 4개의 굄돌로 지탱하게 하고 그 아래는 자갈을 깔아놓은 이른바 바둑판식 고인돌이다. 제4구의 제3호고인돌이 이에 해당된다.

둘째 유형은 편평한 덮개돌을 굄돌 없이 자갈을 깐 땅 위에 바로 놓은 것이다. 제1구의 제2호고인돌과 제5구의 제3호고인돌 및 옛 대구사범학교 앞 고인돌이 여기에 속한다. 셋째 유형은 편평하지 않은 덮개돌을 굄돌 없이 자갈을 깐 땅 위에 바로 놓은 것이다. 제1구의 제1호고인돌, 제4구의 제1·2호고인돌, 제5구의 제1·2호고인돌이 이에 해당된다.

한편, 지하구조물은 자갈을 몇 겹 깔아 만든 묘역(墓域) 안에 분포되어 있다. 대체로 한 개 또는 몇 개의 돌널〔石棺〕이나 돌덧널〔石槨〕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몇 개의 돌널이나 돌덧널이 있는 고인돌의 덮개돌은 단순히 지상의 표지 구실을 하는 것으로서 특이하다.

출토유물은 돌검·돌살촉·토기 등이 있다. 돌검은 점판암을 정교하게 갈아서 만든 것으로서 유병식(有柄式)과 이단병식(二段柄式)의 2가지가 있다. 돌살촉 또한 점판암제로서 모두 유경식(有莖式)에 속하는 것들이다. 토기는 적갈색 민무늬토기와 붉은간토기가 출토되었다.

의의와 평가

대봉동고인돌은 최초의 학술적 조사를 거쳐 구조가 밝혀진 고인돌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구조가 다양하고 강돌을 깔거나 표지적인 하나의 덮개돌 아래 몇 개의 매장부가 있는 점은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것으로서 학술적인 가치가 매우 높다.

참고문헌

「大邱大鳳洞支石墓群について」(榧本杜人, 『朝鮮の考古學』, 1980)
「大邱の支石墓群と古代南鮮社會」(三上次男, 『滿鮮原始墳墓の硏究』, 1967)
「大邱大鳳洞支石墓調査」(藤田亮策, 『朝鮮考古學硏究』, 1948)
「大邱大鳳洞支石墓調査」(藤田亮策, 『1938年度古蹟調査報告』, 1940)
「大邱大鳳洞支石墓調査」(藤田亮策, 『1936年度古蹟調査報告』, 1937)
집필자
임영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