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순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한인사회당, 고려공산당, 코민테른 등에서 활동한 사회주의운동가.
이칭
이명
박춘우(朴春宇), 박춘우(朴春雨), 이반 표도로비치 박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7년(고종 34)
사망 연도
1938년
출생지
러시아 연해주
주요 경력
한인사회당 중앙위원|코민테른 중앙집행위원|고려공산당 중앙위원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2006)
내용 요약

박진순은 한국 최초의 사회주의 정당인 한인사회당의 중앙위원 겸 제2비서로 활동한 사회주의운동가이다. 코민테른 제2차 대회에서 코민테른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고려공산당 창립대회에서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37년 테러 조직에 가담한 혐의로 총살되었다가 복권되었다.

정의
일제강점기 한인사회당, 고려공산당, 코민테른 등에서 활동한 사회주의운동가.
인적 사항

박진순(朴鎭淳)은 주1 니콜라예프카 마을에서 출생하였다. 이명은 춘우(春宇, 春雨)이다. 부농인 아버지에게서 한학을 배운 후, 블라디미르-알렉산드로프스크 시에 있는 상급학교에 입학하였다. 1916년 졸업과 동시에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였고, 블라디보스토크 인근의 한인 학교에서 교사로 재직하였다.

주요 활동

1917년 러시아 2월혁명 이후 혁명운동에 참여하였는데, 그해 11월 활동지를 하바롭스크로 옮겼다. 1918년 4월 28일 한국 최초의 사회주의 정당인 한인사회당 창립대회에서 중앙위원 겸 제2비서로 선출되었다. 1919년 4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된 한인사회당 제2차 대회에서는 군사부장으로 선임되었다. 7월애는 주2에 파견할 한인사회당 대표 3인으로 선임되어 모스크바로 갔다. 모스크바에서 코민테른의 기관지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에 「조선에서의 사회주의운동」, 「혁명적 동방과 코민테른의 다음 과제」 등을 기고하였다.

1920년 7월 코민테른 제2차 대회에 한인사회당 대표로 참석하였다. 민족 · 식민지분과위원으로 활동하였고, 코민테른 중앙집행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21년 5월 상하이에서 한인사회당 제3차 대회를 개최하고, 그 당을 고려공산당으로 개조하였다. 고려공산당 창립대회에서 중앙위원 겸 코민테른 파견 대표단의 일원으로 선임되었다. 같은 해 11월 고려공산당 대표단의 일원으로 레닌과 회견하였다. 1922년 4월 상하이파 고려공산당과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의 분쟁에 대한 책임을 지고 시한부 당무 정지 처분을 받았다.

1922년에서 1925년 모스크바대학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공부하였다. 1927년에서 1928년에 모스크바의 고등교육기관에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을 강의하였다. 모스크바의 외국인노동자출판부에서 조선분과 검열 담당 편집인으로 근무하던 중 테러 조직에 가담한 혐의로 1937년 12월 15일 체포되었다. 1938년 3월 19일 소련 최고법원 군사재판부로부터 총살형을 선고받은 당일에 형이 집행되었다. 1956년 7월 18일 소련 최고법원 군사재판부의 판결로 복권되었다.

상훈과 추모

2006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스탈린 시대 정치탄압 고려인 희생자들』 1(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9)
강만길·성대경 편, 『한국사회주의운동인명사전』(창작과비평사, 1996)
마뜨베이 찌모예비치 김, 이준형 역, 『일제하 극동 시베리아의 한인 사회주의자들』(역사비평사, 1990)

논문

임경석, 「이탈리아어판 『코민테른인명사전』에 실린 한국인들 1」 (『내일을 여는 역사』 76, 2019)
권희영, 「고려공산당 이론가 박진순의 생애와 사상」 (『역사비평』 1989년 봄)
주석
주1

러시아의 동남쪽 끝에 있는 지방. 우리나라 동해에 접하여 있으며 두만강을 사이로 우리나라와 국경을 이루고 있다. 아연ㆍ석탄 따위의 지하자원이 많고 나무를 가공하는 산업이 발달하였다. 중심 도시는 블라디보스토크이다. 면적은 16만 5900㎢.    우리말샘

주2

공산당의 통일적인 국제 조직. 1919년에 레닌의 주도 아래 소련 공산당과 독일 사회 민주당 좌파를 중심으로 창립되어 국제 공산주의 운동을 지도하다가 1943년에 해산되었다.    우리말샘

집필자
박종린(한남대 교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