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기. 높이 각 3.8m. 1982년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단층기단에 3층 탑신(塔身)을 올린 형식으로서 두 탑의 규모와 형식이 거의 같다.
지복석(地覆石)은 두개의 판석을 접합시켜 깔았으며 기단면석에는 탱주(撑柱 : 받침기둥) 1개,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 2개씩을 조각했고, 갑석(甲石)에는 부연(副椽 : 탑의 기단의 갑석 하부에 두른 쇠시리)과 2단의 굄을 조각하였다. 옥신(屋身)의 옥개(屋蓋)는 모두 1개의 돌로서 옥신면석에는 우주 2개씩을 조각하고 옥개에는 4단받침과 1단의 굄을 조각하였다.
기단부가 단층이라는 점과 면석의 탱주가 1개이고, 또 갑석 상면이 심한 경사를 이루고 있는 점은 이 탑이 고려시대에 조성되었음을 말해준다. 이 두 탑은 원래 제2층 옥개까지만 남아 있었고, 제2층 이상 3층옥신, 옥개는 매몰되었거나 주변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81년 보수, 정화하여 지금의 상태로 보존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