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지방에서 불리던 유희요(遊戱謠)의 하나. 곡명은 “에이야 듸야 에헤에 에야 에야라 듸여라 산아지로구나.”라는 노랫말 후렴구에서 따왔으나 그 뜻은 알 수 없다. 선율의 구성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에 의한다면, 미·라·시 3음의 계면조(界面調)로 되어 있다.
‘미’는 떨어주고, ‘시’는 꺾어주고 있다. 강원도 민요 <아라리타령>의 가락이 여러 형태로 변형되어 불리듯이, 이 곡에서도 여러 전라도민요가 나왔다고 할 수 있다. 즉, <물레타령>·<진도아리랑> 등은 이 곡에서 변형된 것으로 보인다.
메기는 소리에 여러 가지가 있는 토속적인 이 곡은, 성적(性的)인 묘사가 지나친 해학요·풍자요에 속한다고도 할 수 있다. 전라도 민요의 대표적인 계면조적 가락이 집약된 곡이라 할 수 있는 구성진 멋과 단순한 멋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