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난고종택 ( )

목차
관련 정보
영덕 영해 난고종가 정침 전경
영덕 영해 난고종가 정침 전경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에 있는 조선후기 안분당 남길과 손자 남로명 관련 주택.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영덕 난고종택(盈德 蘭皐宗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가민속문화유산(2012년 04월 13일 지정)
소재지
경상북도 영덕군 원구1길 13-11 (영해면, 영해난종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에 있는 조선후기 안분당 남길과 손자 남로명 관련 주택.
내용

2012년 국가민속문화재(현, 국가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입향조이며 임진 선무원종공신삼등(宣武原從功臣三等) 군기시판관인 남의록(南義祿)의 손자이자 난고(蘭皐) 남경훈(南慶薰)의 아들인 안분당(安分堂) 남길(南佶)이 1624년(인조 2)에 정침과 가묘를 창건하였다. 이후 남길의 손자인 남로명(南老明)이 만취헌(晩翠軒)을 지었으며, 남로명의 현손(玄孫) 남두양(南斗陽)이 만취헌을 증수하였다.

경내에는 종가 정침 · 태묘 · 별묘 · 만취헌과 난고정(蘭皐亭) 및 주사(廚舍)가 있고 교지 51건 과 전적 13점을 비롯한 유물이 다수 있다. 『남종통기(南宗通記)』를 비롯한 전적은 경상북도의 유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영해에서 창수로 가는 영양행 신작로에 연한 기와집촌 길갓집으로 자리 잡고 있다. 마당에 들어서면 안채, 우측에 만취헌, 그 뒤로 대묘와 별묘, 간격을 두고 뒤쪽으로 주사와 난고정이 배치되어 있다. 난고정을 제외하곤 자좌오향(子坐午向: 정남방으로 앉음.)하였다.

안채인 정침(正寢)은 □자형 평면이다. 정면 5칸 측면 6칸의 규모인데 안마당도 정방형으로 반듯하다. 정면 중앙이 문간, 우측으로 사랑방과 마루로 꺾이면서 책방인데 각 1칸씩, 이어 고방 2칸 그리고 안채인데 대청이 6칸이다. 그 중 동북쪽에 상방 1칸, 서북쪽으로는 고방에 이어 도장방이고, 그 남쪽으로 2칸 안방인데 서쪽 날개로 1칸이 걸쳤다. 부엌과 헛간이 계속되다 꺾이면서 외양간과 마구간이 있어 중문간에 이어진다.

사랑방 안벽에 고미다락이 있는데 한쪽에 구멍이 있고 화창(火窓)을 설치해서 안마당을 밝힐 수 있게 하였다. 구조물로서 구성이나 표현 기법에 학술적인 의의가 있어 높이 평가되는 집이다.

만취헌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두리기둥을 사용한 홑처마 팔작지붕의 집이다. 난고정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다락집형이다. 다락에 오르는 계단이 있고 가장자리에 난간을 설치하고, 주칠을 하였다. 난고정의 주사는 건축적으로 흥미 있는 평면 구성을 하였다. 까치구멍집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대묘(大廟)는 따로 일곽을 이루로 있는데 3칸 건물이며, 별묘(別廟)는 단칸 건물이다.

참고문헌

『만곡선생문집(晩谷先生文集)』
『경상북도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경상북도, 1982)
『지방문화재대관』(경상북도, 198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