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중교 ()

유중교 영정
유중교 영정
유교
인물
개항기 때, 스승인 이항로의 심설(心說)에 대해 또 다른 스승인 김평묵과 논쟁을 벌였으며, 「옥계조」, 「현가궤범」, 『성재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이칭
치정(穉程)
성재(省齋)
시호
문간(文簡)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32년(순조 32)
사망 연도
1893년(고종 30)
본관
고흥(高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때, 스승인 이항로의 심설(心說)에 대해 또 다른 스승인 김평묵과 논쟁을 벌였으며, 「옥계조」, 「현가궤범」, 『성재문집』 등을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고흥(高興). 초명은 맹교(孟敎). 자는 치정(穉程), 호는 성재(省齋). 아버지는 진사 유조(柳鼂)이며, 어머니는 한산이씨(韓山李氏)로 이희복(李羲復)의 딸이다.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으로, 이항로의 사후에는 김평묵(金平默)을 스승으로 섬겼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52년(철종 3) 이항로의 명에 의해 『송원화동사합편강목(宋元華東史合編綱目)』을 편수하였다. 그러나 원나라 지원(至元) 25년까지만 편수하고, 그 뒤는 유중교의 선조 유청신(柳淸臣)과 관계된 기사가 있는 관계로 김평묵이 완성하였다.

1876년(고종 13)과 1882년에는 선공감가감역(繕工監假監役)과 사헌부지평에 각각 제수되었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다. 1881년 김홍집(金弘集)이 일본을 다녀와서 미국과 연합하고 서양의 기술 등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계책을 세우자, 유중교는 김평묵과 함께 척사위정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1886년 이항로의 심설(心說)에 대해 김평묵에게 「논조보화서선생심설(論調補華西先生心說)」을 보냄으로써 사칠논쟁(四七論爭)이나 호락논쟁(湖洛論爭)에 버금가는 대논쟁이 이항로 문하에서 일어나게 되었다. 즉 유중교는 심(心)을 기(氣)로 규정하고 이항로 및 김평묵은 심을 이(理)로 규정함으로써, 스승의 설과 정면충돌하게 되었다. 여기에 문인들이 두 갈래로 나누어져 논쟁은 더욱 확대되고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1888년에는 두 설을 절충해 「화서선생심설정안(華西先生心說正案)」을 김평묵에게 보냄으로써 잠정적으로 심설 논쟁은 중단되었다. 그러나 유중교의 임종 직전에 문인들에게 정안(正案)의 문자(文字)는 ‘다시 생각해보니 사실과 도리에 모두 맞지 않는다.’ 하여 거두어들일 것을 명함으로써 결국 두 설은 합일을 보지 못한 과제로 남게 되었다.

유중교는 음악에도 조예가 깊어서 「자양금조후사(紫陽琴調候詞)」 · 「옥계조(玉溪操)」 · 「현가궤범(絃歌軌範)」 등을 저술하였다. 유중교는 특히 공자가 도(道)를 가르치는 데에는 악(樂)을 사용했는데, 지금은 고악(古樂)은 이미 없어지고 속악(俗樂)은 법(法)이 없어, 도를 배우는 이가 거문고 등에 종사하고자 해도 시작할 터가 없다고 한탄하였다. 저서로는 『성재문집(省齋文集)』 60권이 있다.

상훈과 추모

제학에 추증되었고, 고산(高山)의 삼현서원(三賢書院)에 봉향되었다.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참고문헌

「화서학파의 심성논쟁에 대한 고찰」(오석원, 『도원유승국박사화갑기념논문집』, 198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