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 ()

옥산시고
옥산시고
회화
인물
조선시대 「설중매죽도」, 「수과초충도」, 「포도도」 등을 그린 서화가.
이칭
계헌(季獻)
옥산(玉山), 기와(寄窩)
이칭
죽와(竹窩)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42년(중종 37)
사망 연도
1609년(광해군 1)
본관
덕수(德水)
주요 관직
비안현감|괴산군수|고부군수|군자감정
정의
조선시대 「설중매죽도」, 「수과초충도」, 「포도도」 등을 그린 서화가.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이름은 이위(李瑋) 또는 이후(李珝). 자는 계헌(季獻), 호는 옥산(玉山)·죽와(竹窩)·기와(寄窩). 이원수(李元秀)의 아들이며, 이이(李珥)의 동생으로, 어머니는 사임당 신씨(師任堂申氏)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567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비안현감과 괴산·고부군수를 거쳐 군자감정에 이르렀다. 시(詩)·서(書)·화(畫)·금(琴)을 다 잘하여 4절(四絶)이라 불렸다. 그림은 초충(草蟲)·사군자·포도 등을 다 잘 그렸는데, 어머니의 화풍을 따랐다. 아들 경절(景節)도 가법(家法)을 이어 서·화·금에 능하여 3절이라는 말을 들었다.

그가 초충을 그려 길에 던지면 닭이 와서 쪼았다는 일화가 있을 만큼 화훼초충(花卉草蟲)을 잘 그렸다고 한다. 묵매화(墨梅畫)는 주로 횡관식구도(橫貫式構圖)로 힘차게 묘사하였다. 유작으로는 「설중매죽도(雪中梅竹圖)」(개인 소장)·「노매도(老梅圖)」·「수과초충도(水瓜草蟲圖)」(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포도도(葡萄圖)」 등이 전하고 있다. 개인 문집으로 『옥산시고(玉山詩稿)』가 있으며, 초서 필적으로는 「옥산서병(玉山書屛)」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옥산시고(玉山詩稿)』
『한국회화대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집필자
허영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