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귀나무

목차
관련 정보
식물
생물
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소교목.
이칭
이칭
합환수(合歡樹)
목차
정의
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소교목.
내용

학명은 Albizzia julibrissin DURAZZ 이다. 높이는 7m 정도로 자라며 잎은 어긋나고 짝수 2회 주1이다. 작은잎은 낫같이 원줄기 쪽으로 굽고 너비 2.5∼4㎜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양성이며 15∼20개의 꽃이 우산모양으로 달린다. 꽃받침과 꽃잎은 녹색이지만 수술은 길이 3㎝ 정도로 윗부분이 붉고 밑부분이 하얗다. 꼬투리는 편평하고 길이 15㎝ 정도로 9∼10월에 익는다.

수평적으로는 중부 이남의 서해안변에 주로 많이 나타나며 수직적으로는 높이 50∼700m 사이에 분포한다. 산록 및 계곡의 토심이 깊은 건조한 곳을 좋아한다. 중부 이북지방에서는 추위에 약하기 때문에 경제적 성장이 어렵고 보호, 월동하여야 한다. 병충해와 공해에 강하기 때문에 도심지에 식재하면 좋다.

밤이면 잎이 오므라들어 서로를 포옹한다고 하여 합환수(合歡樹)로 불리며, 정원에 심어놓으면 부부금실이 좋아진다는 속신이 있다. 콩과식물은 대부분 밤의 수분증산을 억제하기 위하여 총엽병(總葉柄)의 기부(基部) 물주머니를 수축시켜 잎을 접고 핀다. 농촌에서는 가을배추 재배시 잎이 달린 자귀나무 가지를 꽂아 그늘을 만들어주고, 잎이 진 다음에는 거름으로 사용하며 아울러 제초효과도 보고 있다.

번식은 가을에 익은 꼬투리를 따서 종자만을 얻은 다음 벌레가 먹지 못하도록 소독을 철저히 하여 보관하였다가, 이른 봄 씨뿌리기 하루 전에 끓인 물을 양동이에 붓고 그 물 속에 씨앗을 넣고 골고루 저은 다음 그 이튿날 뿌린다. 뿌린 종자는 마르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밭이 건조하면 발아가 되지 않는다. 자귀나무는 곧은 뿌리가 있고 잔뿌리가 없어서 이식이 잘되지 않으므로 잔뿌리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한방에서는 주2를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평(平)하고 감(甘)하며, 주3 · 진정(鎭靜) · 주4 · 주5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경쇠약 · 불면 등의 증상과 임파선염 · 인후염 · 골절상 등에 치료제로 사용하며 구충제로도 이용한다.

참고문헌

『천연약물대사전』상(김재길, 남산당, 1984)
『대한식물도감』(이창복, 향문사, 1982)
주석
주1

잎자루의 양쪽에 여러 개의 작은 잎이 새의 깃 모양처럼 붙어 있는 잎. 가시나무, 고비, 고사리, 아카시아의 잎 따위이다. 우리말샘

주2

나무의 껍질. 줄기의 코르크 형성층 바깥쪽에 있는 조직이다. 우리말샘

주3

혈액 순환이 원활하도록 하는 일. 또는 그런 치료법. 우리말샘

주4

부은 종기나 상처를 치료함. 또는 그런 방법. 우리말샘

주5

사람의 배 속에 있는 아홉 가지 기생충. 복충(伏蟲), 회충(回蟲), 백충(白蟲), 요충(蟯蟲), 약충(弱蟲), 폐충(肺蟲), 위충(胃蟲), 육충(肉蟲), 적충(赤蟲)을 이른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조무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