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공산 ()

팔공산
팔공산
자연지리
지명
대구광역시 동구와 군위군 부계면,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칠곡군, 경산시에 걸쳐 있는 산.
이칭
이칭
공산, 부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대구광역시 동구와 군위군 부계면,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칠곡군, 경산시에 걸쳐 있는 산.
개설

팔공산(1,192.3m)은 태백산맥의 보현산(普賢山, 1,124m)에서 서남쪽으로 연결된 산이다. 최고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봉(東峰)과 서봉(西峰)이 양 날개를 펴고 있는 모습으로 솟아 있다. 팔공산을 중심으로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의 경계에 형성된 환상(環狀)의 산지는 이른바 팔공산맥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대구분지의 북부를 병풍처럼 가리고 있다.

산맥은 남동쪽의 초례봉(醮禮峰, 648m)에서 시작하여 환성산(環城山, 811m) · 인봉(印峰, 887m) · 팔공산을 거쳐 북서부의 가산(架山, 902m)에 이른다. 인봉에서 가산까지는 팔공산맥의 주형으로 길이가 약 20㎞이다.

명칭 유래

팔공산의 옛 이름은 공산 · 부악(父岳)이었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중악(中岳)에 비겨 중사(中祠)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후삼국시대 견훤(甄萱)이 서라벌을 공략할 때에 고려 태조가 5,000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후백제군을 정벌하러 나섰다가 공산(公山) 동수(桐藪)에서 견훤을 만나 포위를 당하였다. 그 때 신숭겸(申崇謙)이 태조로 가장하여 수레를 타고 적진에 뛰어들어 전사함으로써 태조가 겨우 목숨을 구하였다고 한다. 당시에 신숭겸과 김락(金樂) 등 8명의 장수가 모두 전사하여 팔공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외에도 팔공산 유래에 대해서는 중국 안휘성(安徽省)의 팔공산 지명 차용설 등 몇 가지 설이 있다.

자연환경

팔공산은 전체 배열이 주변의 구릉지와는 달리 종상의 산형을 이루고 있다. 지질은 주변에 넓게 분포한 경상누층군(慶尙累層郡)에 불국사화강암(佛國寺花岡岩)이 관입하여 돔(dome) 지형을 형성하였다. 그 뒤 침식작용으로 상부의 퇴적암은 제거되고 그 밑의 화강암이 노출되어 현재와 같은 모습을 띠게 되었다.

팔공산의 북쪽에는 위천(渭川)의 상류인 남천(南川)과 여러 계류(溪流)가 흐르고, 동쪽에는 한천(漢川)과 신령천(新寧川) 등이 흐른다. 산의 남쪽은 완만하여 응해산(鷹蟹山, 526m) · 응봉(456m) 등의 구릉성 산지가 솟아 있고, 그 사이사이에 하천이 남류하여 동화천(桐華川)에 모인 후, 금호강(琴湖江)으로 흘러든다.

팔공산에는 조류 24종, 포유류 14종, 식물 118과 464속 858종 4아종 193변종 25품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다.

현황

1980년 5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2023년 5월 제138차 국립공원위원회의 의결에 의하여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다.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로 43년만이다. 2017년 태백산국립공원이 의결된 이후로 따지면 7년만에 새롭게 지정된 우리나라 23번째 국립공원으로서 계곡이 아름답고 산봉이 웅자하다. 동화사(桐華寺) · 은해사(銀海寺) · 송림사(松林寺) 등 사찰도 많이 분포하여 사적지로서도 위상이 높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의 본사인 동화사는 삼국시대에 창건된 고찰로 임진왜란 때는 유정(惟政)이 승군을 지휘하였던 곳이다. 동화사 입구에 위치한 동화사 마애여래좌상(보물, 1963년 지정)을 비롯한 많은 문화유산이 소장되어 있다. 또 팔공산 등산로의 거점이 되며, 사찰 가까이에 간장병에 효험이 있다는 구세약수(求世藥水)가 있다.

영천 방면에 있는 은해사에는 1962년 국보로 지정된 거조사 영산전(居祖寺靈山殿)을 비롯하여 2점의 보물이 있다. 동화사의 말사(末寺)인 칠곡 송림사에는 1963년 보물로 지정된 오층전탑(五層塼塔)이 있다. 이 밖에 고려대장경 판본을 한때 소장하였던 부인사(符仁寺)를 비롯하여 파계사(把溪寺) · 관암사(冠巖寺) 등이 있다. 또한 비로(毘盧) · 부도(浮屠) · 양진(養眞) · 염불(念佛) · 거조(居祖) · 백흥(白興) · 운부(雲浮) · 묘봉(妙峰) · 중암(中岩) · 내원(內院) 등의 암자가 곳곳에 분포한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한국관광자원총람』(한국관광공사, 1985)
『한국지지』지방편Ⅲ(건설부국립지리원, 1985)
『한국의 발견』(뿌리깊은나무, 1983)
팔공산도립공원(gbpalgong.go.kr)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