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군곡리 패총 ( )

선사문화
유적
국가유산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초기 철기시대 집터와 토기 가마터 등이 발굴된 조개더미 유적.
이칭
이칭
해남군곡리유적, 해남군곡리조개더미
약칭
군곡리패총
유적
건립 시기
청동기시대 후기
관련 국가
마한, 백제
면적
83,557㎡
소재지
전라남도 해남군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해남 군곡리 패총(海南 郡谷里 貝塚)
분류
유적건조물/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육상유물산포지/선사유물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사적(2003년 07월 02일 지정)
소재지
전남 해남군 송지면 군곡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해남군곡리패총(海南郡谷里貝塚)은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초기 철기시대 집터와 토기 가마터 등이 발굴된 조개더미 유적이다. 생활유적의 연대 추정은 청동기시대 후기부터 삼국시대로 보고 있다. 이 유적은 14개의 층을 5개의 문화층으로 설정하여 호남 지역 고고학적 편년 연구의 기준이 된다. 토기 가마 등 생산과 관련된 유구도 확인되어 철기시대부터 취락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유적 내 출토된 화천과 현무암 태토의 토기는 영산강 유역-해남반도-제주도의 문화 교류 양상을 추정하게 한다.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에 있는 초기 철기시대 집터와 토기 가마터 등이 발굴된 조개더미 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육지의 최남단인 땅끝(토말)과 인접한 곳으로 가공산 서쪽 기슭의 낮은 구릉에 자리한다. 유적이 있는 구릉은 과거 바다였던 백포만 방향으로 돌출되었는데, 비교적 평탄한 구릉 사면에 문화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릉의 말단은 급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1983년 처음 확인된 이후, 1986년부터 1988년까지 3차에 걸쳐 목포대학교박물관에 의해서 발굴되었다. 3차에 걸친 발굴 조사에 근거하여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2003년 7월 2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형태와 특징

해남군곡리패총은 표토층과 기반층을 제외하고 14개의 문화층으로 구분된다. 보고서에서는 Ⅰ~Ⅴ기층으로 묶어 설명하였다.

Ⅰ기층(12-14층)은 덧띠토기 등이 출토된 층으로 청동기시대 후기에 속한다. Ⅱ기층(9-11층)은 경질민무늬토기가 화천(貨泉), 철기, 골각기(骨角器) 등과 함께 출토되는 층으로 조개껍데기의 퇴적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Ⅲ기층(8층)은 토제 곱구슬과 점뼈가 많이 출토되었으며, Ⅳ기층(5-7층)에서는 경질찰문토기와 회색연질토기가 출토되었다. Ⅴ기층(1-4층)은 타날문토기가 출토되는 시기이다.

이와 같은 층서적 현상에 근거하여 해남군곡리패총은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사회와 대형 독무덤 사회의 중간 시기에 해당하는 유적임이 확인되었다.

해남군곡리패총에서 확인된 토기 가마는 지하에 굴을 파고 만든 지하식 굴가마로서 평면 형태는 장타원형이다. 이것은 고정된 상부 구조를 갖춘 토기 가마가 사용되기 시작하는 3세기 대 가마로 본다.

해남군곡리패총의 토기 가마는 해상 교역로의 거점 지역이라는 지정학적 위치에 기초하여 외부를 통해 자연스럽게 전달된 지하 굴착식 축조 기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토착적 가마 구조의 특징도 남아 있어 토착적 가마 구조에 선진 기술이 가미되어 이 유적에서 일시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의의 및 평가

해남군곡리패총에서는 중국 신(新)나라의 화폐 화천이 출토되어 호남 지역 철기시대의 연대를 비정하는 기준이 된다. 최근 광주복룡동유적에서 화천이 출토됨에 따라 해남군곡리패총과의 문화적 교류를 상정하기도 한다. 화천을 비롯한 중국의 화폐는 서남해안 연안에서 출토되는데, 출토 위치가 명확한 해남군곡리패총의 화천은 중국과 한반도, 일본 열도에 이르는 동북아시아 해양 교류의 시점을 추정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또한, 해남군곡리패총에서는 현무암과 관련된 태토의 토기가 출토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나주수문패총에서는 현무암 덩어리가 확인된 바 있다. 단정할 수 없지만 두 유적 내 제주산 현무암과 관련된 사례를 통해 영산강 유역-해남반도-제주도로 이어지는 문화 교류 양상을 추정할 수 있다.

최근 발간된 4~5차 조사보고서에서는 삼국시대 주거지가 8기 확인되었다. 조사가 완료된 6차 조사에서는 높은 중첩률을 보이는 삼국시대 주거지가 밀집된 현상이 관찰된다. 이를 통해 이곳이 청동기시대 후기부터 철기시대, 삼국시대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취락임을 알 수 있다. 추후 최근 조사 결과까지 반영된다면, 서남해안 내 철기시대에서 삼국시대로 이어지는 취락의 이행 과정을 점검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해남 군곡리 패총』 Ⅴ(목포대학교박물관, 2021)
『해남 군곡리 패총』 Ⅳ(목포대학교박물관, 2019)
『광주 월전동 하선 · 복룡동 · 하산동유적』(동북아지석묘연구소, 2018)
『나주 장동리 수문패총』(국립광주박물관, 2010)
『해남 군곡리 패총』 Ⅲ(목포대학교박물관, 1989)
『해남 군곡리 패총』 Ⅱ(목포대학교박물관, 1988)
『해남 군곡리 패총』 Ⅰ(목포대학교박물관, 1987)

논문

박충원, 「화천을 통한 영산강 내륙 교역 가설 검토」(『군곡리 패총 동아시아 해양교류의 시작』, 목포대학교박물관, 2019)
이지영, 「해남 군곡리 토기가마의 성격」(『군곡리 패총 동아시아 해양교류의 시작』, 목포대학교박물관, 2019)
최성락, 「해남 군곡리 패총의 발굴조사 성과와 의의」(『군곡리 패총 동아시아 해양교류의 시작』, 목포대학교박물관, 2019)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