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철부는 중국 전국시대와 관련된 주조(鑄造) 제품이다. 평안북도 위원 용연동유적에서는 철제이기(鐵製利器) 등과 함께 주조철부 두 점이 함께 출토되었다. 이 유적에서는 철기와 함께 전국시대의 화폐인 명도전(明刀錢)이 출토되고 있어 전국시대 연나라와 관련성이 추정되지만, 주조철부의 측면에 융기선이 있는 등 전형적인 연나라의 그것과는 차이가 난다.
한반도 남부 지역인 부여 합송리, 장수 남양리, 완주 갈동유적 등에서 이른바 전국계라고 보는 주조철부가 출토된다. 주조철부는 철기의 등장과 함께 가장 많이 출토되는 기종의 하나로 주조괭이, 자귀, 쌍날따비의 날 등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보이고 있다.
주조철부 삽입부인 공부(銎部)의 횡단면 형태가 긴 네모꼴인 것과 사다리꼴인 것으로 구분한다. 공부의 횡단면이 긴 네모꼴인 것은 두 면에 외형을 새긴 거푸집을 겹쳐 제작하므로 양날을 띠며, 사다리꼴인 것은 한 면에 외형을 새긴 것으로 외날을 형성한다. 주조철부는 외날과 양날을 살펴 그 기능과 명칭을 달리하기도 한다.
이러한 한반도에서 발견되는 주조철부는 공부의 횡단면 형태에 따라 출현 시기가 다르다. 긴 네모꼴인 것은 이른바 세죽리 · 연화보문화라고 칭해지는 요동 북부~서북한 지역에 이르는 철기 문화에 영향을 받아 서기전 3세기경에서 서기전 2세기경에 나타나며, 사다리꼴인 것은 서기전 1세기 이후 출현하여 삼국시대까지 폭넓게 사용된다.
이후 중국 한나라의 영향을 받아 많은 기종의 단조(鍛造)제품이 등장하는데, 단조철부는 서기전 2세기에서 서기전 1세기에 출현한다. 초기의 단조철부는 길이 10㎝ 내외의 소형이지만, 이후 크기와 형태를 달리하며 삼국시대까지 성행한다.
단조철부는 자루와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도끼, 자귀와 같은 농공구의 하나로 활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지지만,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는 날의 너비가 넓은 양날의 도끼가 의장 병기로 사용되고 있어, 자루의 결합 방식을 달리한 단조철부는 무기의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경주 조양동 5호, 창원 다호리 1호묘 등에서는 평면 형태가 긴 네모꼴이나 긴 사다리꼴의 형태를 납작하게 누른 판 모양의 판상철부가 출현한다. 철부에 자루를 삽입하여 고정한 주조철부, 단조철부 자루와 달리, 자루의 철부를 끼우거나 걸친 상태로 묶어 고정한다. 이 같은 판상철부의 자루 결합 방식은 창원 다호리 1호묘 내 부장된 자루가 결합된 판상철부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
판상철부는 연하도(燕下都)에서 출토된 박인도(薄刃刀)와 비교하며 그 조형을 찾기도 하지만, 이러한 철부는 서기전 1세기~서기 1세기 대 한반도 동남부 지역 내 가장 성행한 철부였다. 2세기 대 이후 경주 사라리 130호 목곽묘와 같이 10매씩 70점을 바닥에 깐 사례, 묶음 상태로 부장되는 사례, 날이 가공되지 않은 사례가 증가한다.
이러한 현상은 판상철부가 도구로서의 실용성이 사라지며 나타나는 현상으로 납작한 철판 모양이라는 공통적 요소만을 지닌 채 판상철부형 철정으로 이어지는 연속적인 변화를 겪는다.
반면, 판상철부는 지역에 따라 2세기 후반 김해 양동리 162호 목곽묘에서 출토된 두께가 두껍고 날이 무뎌진 봉상철부(棒狀鐵斧)와 같은 형태로 전환되기도 하는데, 이때부터는 도구로서의 기능이 아닌 철기 제작 소재로의 역할을 하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