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적 ()

불교
인물
신라 말 고려 초에, 활동했던 굴산선문의 선승.
이칭
시호
낭공대사(朗空大師)
백월서운(白月栖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832년
사망 연도
916년
주요 관직
국사
내용 요약

행적(行寂)은 신라 하대에 형성된 선종 산문의 하나인 굴산선문의 선승이다. 그는 출가 후에 화엄학을 배웠으며, 굴산선문 통효대사의 제자가 되었다. 이후 당에 유학하여 석두계 석상경제(石霜慶諸)의 가르침을 받고 깨달음을 얻었다. 신라에 돌아와 소율희의 도움으로 김해에서 머물렀고, 태조의 귀의를 받기도 하였다.

정의
신라 말 고려 초에, 활동했던 굴산선문의 선승.
가계 및 인적사항

행적(行寂, 832~916)은 신라 하대에 형성된 선종 산문의 하나인 굴산선문의 선승이다. 행적은 법명이고, 시호는 낭공대사(朗空大師), 탑호가 백월서운(白月栖雲)이다. 아버지는 하동(河東) 최패상(崔佩常)이며, 어머니는 설씨이다.

그는 출가 후에 가야산 주1에서 주2을 배웠다. 847년(문성왕 9)에 복천사(福泉寺)에서 구족계를 받은 뒤 굴산사(掘山寺)의 통효대사(通曉大師)를 찾아가 수년 동안 수행하였다. 870년(경문왕 10)에 당에 유학하여 보당사(寶堂寺) 공작왕원(孔雀王院)에 머물렀다. 당 의종의 생일을 맞아 입궐한 행적은 당에 온 포부와 목적을 의종에게 밝혀 신임을 얻었다. 그 후 오대산 화엄사로 가 문수보살(文殊菩薩) 앞에서 홀연히 주3을 만나 남방으로 갈 것을 권유받았다. 875년(헌강왕 1)에 성도(成都) 정중정사(靜衆精舍)에 가서 신라 무상대사(無相大師)의 주4에 절하였고, 석두계의 석상경제(石霜慶諸)에게 가르침을 받고 깨달음을 얻었다. 선지식(善知識)을 두루 찾아 중국 선종의 제6조인 조계(曹溪: 육조 혜능(六祖慧能))의 육조탑(六祖塔)에 절을 하기도 했다.

행적은 885년(헌강왕 11)에 신라에 돌아와 통효대사의 법맥을 이었다. 처음에 그는 김해부의 소충자(蘇忠子), 소율희(蘇律熙)의 후원을 받았다. 897년 효공왕이 즉위하자, 왕이 그를 경주로 불러들여 국사로 예우하였다. 915년(신덕왕 4)에 남산 실제사(實際寺)에 머무를 당시, 주5이 행적을 방문하였다. 이후 명요부인(明瑤夫人)의 요청으로 석남산사(石南山寺, 봉화 太子寺)에 머물다가 입적하였다. 제자로 신종(信宗), 주해(周解), 임엄(林儼) 등 500여 명이 있었다.

학문과 저술

행적은 당에 유학하여 석두계의 석두희천(石頭希遷)-약산유엄(藥山惟儼)-도오원지(道吾圓智)-석상경제(石霜慶諸)로 이어지는 법맥을 계승하였다. 따라서 행적의 선은 마조계가 아닌 석두계의 선에 해당한다.

당대(唐代) 선을 대표하는 마조도일(馬祖道一)은 마음이 곧 부처(卽心是佛)라고 주장하였다. 그는 '수행에 의해 미혹한 마음을 부처의 마음으로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일상의 마음이 도(平常心是道)'라고 하였다. '일상의 모든 행위가 불성이 드러난 것(作用卽性)'이라고 본 것이다. 이와 같이 수행이 필요 없고, 있는 그대로의 일상을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사고는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이상적 상태로 간주하는 평상무사(平常無事)의 사상을 도출하였다. 그런데 당의 선종계에서는 이러한 마조선의 이념이 절대화되면서 수행을 경시하거나 부정하는 폐단이 늘어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마음(心)의 실체화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비판은 주로 청원 계통 석두희천(石頭希遷)으로부터 이루어졌다. 석두계는 현실태와는 다른 차원의 본래성을 지향했다. 따라서 석두 계통의 선사들은 법성(法性), 불성(佛性) 등의 본래성과 모든 일상의 행위인 현실태(現實態)의 작용을 마음(心) 아래에 관계없이 연결했던 마조선을 비판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조당집』
최인연(崔仁滾),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명(太子寺朗空大師白月栖雲塔碑銘)」(『조선금석총람』 상, 조선총독부, 1919)

단행본

김두진, 『신라 하대 선종 사상사 연구』(일조각, 2007)
추만호, 『나말 여초 선종 사상사 연구』(이론과 실천, 1992)
忽滑谷快天, 『朝鮮禪敎史』(春秋社, 1930)

논문

구산우, 「신라 말 고려 초 김해 창원 지역의 호족과 봉림산문」(『한국중세사 연구』 25, 2008)
최병헌, 「신라 말 김해 지방의 호족 세력과 선종」(『한국사론』 4, 1978)
주석
주1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가야산에 있는 절. 신라 애장왕 3년(802)에 순응, 이정 두 대사가 세웠다. 수다라전(修多羅殿), 법보전(法寶殿)에 8만 1258매의 대장경 경판을 소장하고 있다. 지금의 건물은 조선 후기에 중건한 것이다.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12교구 본사로 되어 있다. 우리말샘

주2

화엄종의 교의(敎義)를 연구하는 학문. 우리말샘

주3

신과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한 종파의 조사(祖師)나 한 절의 창시자, 또는 덕이 높은 승려의 화상(畫像)을 모신 집. 우리말샘

주5

고려의 제1대 왕인 ‘태조’의 본명.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