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공왕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인물
통일신라의 제36대(재위: 765년~780년) 왕.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758년
사망 연도
780년
내용 요약

혜공왕은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6대 왕이다. 재위 기간은 765~780년이며, 8세에 즉위하여 왕태후가 섭정했다. 태종무열왕의 직계손으로 계승된 신라 중대왕실의 마지막 왕이다. 전제왕권에 대한 귀족들의 반란이 잇달아 일어나 귀족중심사회로 전환되는 양상을 보였다. 재위 16년 동안 11회의 사절단을 당에 보내 왕권회복을 위해 힘썼으나 오히려 777년 상대등 김양상의 신랄한 비판을 받기에 이르렀다. 친혜공왕파가 김양상 일파를 제거하기 위해 반란을 일으켰으나 난을 진압하는 와중에 왕비와 함께 살해되고 김양상이 선덕왕으로 즉위했다.

목차
정의
통일신라의 제36대(재위: 765년~780년) 왕.
개설

재위 765∼780. 성은 김씨(金氏). 이름은 건운(乾運). 경덕왕의 적자(嫡子)로서 760년(경덕왕 19)에 태자로 책봉되었다. 어머니는 서불한(舒弗邯) 의충(義忠)의 딸 만월부인(滿月夫人) 김씨이다. 비는 이찬 유성(維誠)의 딸인 신보왕후(新寶王后)가 원비(元妃), 이찬 김장(金璋)의 딸인 창창부인(昌昌夫人)이 차비(次妃)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혜공왕은 태종무열왕의 직계손으로 계승된 신라 중대왕실(中代王室)의 마지막 왕이다. 즉위했던 때의 나이가 8세였으므로 왕태후가 섭정하였다.

혜공왕대에는 집사부(執事部) 중시(中侍 또는 侍中)를 중심으로 강력한 전제왕권체제를 구축했던 신라 중대사회의 모순이 본격적으로 노정되었다. 즉, 전제왕권의 견제하에 있던 귀족세력들이 정치일선에 등장해 정권쟁탈전을 전개함으로써 정치적으로 불안정하였다. 따라서 혜공왕의 재위 16년 동안에는 많은 정치적 반란사건이 있었다.

먼저 일길찬(一吉飡) 대공(大恭)과 그의 동생 아찬(阿飡) 대렴(大廉)이 768년(혜공왕 4)에 반란을 일으켰으나, 왕의 측근인물인 이찬(伊飡) 김은거(金隱居)를 비롯한 왕군(王軍)에 의해서 토멸되었다.

이 반란은 경덕왕에 이어서 중대의 전제왕권체제를 유지하려는 혜공왕 초년의 정치적 성격을 부인하려는 최초의 정치적 움직임이었다. 김은거는 이 반란의 진압에 대한 공로로 그 해에 시중에 임명되었으며, 이찬 신유(神猷)는 상대등에 임명되었다.

그리고 769년에 왕은 임해전(臨海殿)에서 조신들에게 연회를 베풀고, 인재를 천거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인재들로써 전제왕권체제를 강화하려 하였다.

그러나 770년에는 대아찬 김융(金融)이 반란을 일으켰다. 이 반란도 대공의 반란과 마찬가지로 반혜공왕적 성격을 띠었다. 이로 인해 김은거가 시중에서 물러나고 이찬 정문(正門)이 임명되었다.

혜공왕대의 정치적 사건 중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774년 주1이 상대등에 임명된 사실이다. 즉, 김양상은 경덕왕대에 시중을 역임했으나, 768년에 있었던 대공의 난에 연루되어 시중직에서 물러나고 왕의 측근인 김은거에게 시중직을 물려주었다. 이를 보면 김양상은 적어도 친혜공왕적인 인물은 아니었다.

그런데 김양상이 다시 귀족세력을 대표하는 상대등에 임명되었다는 사실은 반혜공왕적인 귀족세력이 정권을 장악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것은 전제왕권 중심의 중대사회에서 귀족 중심의 사회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775년에는 김은거 및 이찬 염상(廉相)정문의 모반이 두 차례에 걸쳐 있었다. 이들은 모두 전제왕권 유지를 지지하는 세력으로서 귀족세력인 김양상의 대두에 반대해 반란을 일으켰으나 모두 진압됨으로써 김양상 중심의 정치세력은 더욱 공고해질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혜공왕 일파는 실질적인 정치권력은 상실하고 명목상의 왕위만을 보전하고 있는 상태가 되었다. 그러나 이들이 정권회복에 대한 노력을 포기한 것은 아니었다. 혜공왕은 재위 16년 동안 11회의 조공(朝貢) · 주2 · 주3의 사절을 중국 당나라에 파견하였다.

이 중에서 8회는 혜공왕 9년(773)에서 12년(776)에 이르는 4년 동안에 이루어졌다. 이것은 매년 2회씩 파견된 것으로서 774년에 있었던 김양상의 상대등 임명에 따른 신라내정에 있어서의 정권변동과 무관하지 않다. 즉, 보다 친당적(親唐的)인 혜공왕 일파가 정권회복을 위해 당나라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했던 것이다.

그러나 혜공왕 일파의 이와 같은 외교적인 노력도 777년 상대등 김양상의 상소(上疏)에 의해 신랄한 비판을 받게 되었다. 상소를 통한 김양상의 혜공왕 일파에 대한 정치적 경고는 친혜공왕파를 자극하게 되어, 780년에 김양상 일파를 제거하려는 이찬 주4의 반란이 있었다.

그러나 오히려 김양상과 이찬 김경신(金敬信)[^5]에 의해 진압되고 말았다. 이 반란의 와중에서 혜공왕과 왕비는 살해되었다. 그리고 김경신의 추대에 의해 김양상 자신이 제37대 선덕왕으로 즉위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신라 혜공왕대(惠恭王代)의 정치적변혁」(이기백, 『사회과학』 2, 1958)
「상대등고(上大等考)」(이기백, 『역사학보』 19, 1962)
「무열왕권의 성립과 활동」(신형식, 『한국사논총』 2, 1977)
「新羅政治體制の變遷過程」(井上秀雄, 『新羅史基礎硏究』, 東出版, 1974)
주석
주1

신라 제37대 왕 ‘선덕왕’의 본명.    우리말샘

주2

새해를 축하함.    우리말샘

주3

받은 은혜에 대하여 감사히 여겨 사례함.    우리말샘

주4

신라의 왕족(?~780). 780년에 반란을 일으켜 왕궁을 포위하고 혜공왕과 왕후를 죽였으나 김양상, 김경신(金敬信) 등에게 패하여 죽었다.    우리말샘

주5

신라 제38대 왕 ‘원성왕’의 본명.    우리말샘

집필자
김영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