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우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도승지, 한성부좌윤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자명(子明)
동곡(東谷)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10년(광해군 2)
사망 연도
1675년(숙종 1)
본관
안동(安東)
주요 관직
도승지|한성부좌윤
정의
조선 후기에, 도승지, 한성부좌윤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명(子明), 호는 동곡(東谷). 권희윤(權禧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권결(權潔)이고, 아버지는 권확(權鑊)이며, 어머니는 안사흠(安士欽)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29년(인조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주서·봉교를 거쳐, 1636년 부수찬이 되었다. 그 뒤 지평·교리·정언 등 청환직(淸宦職)을 역임하였다. 1650년(효종 1) 홍문관응교로서 『인조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사인·집의·보덕·사간을 거쳐, 1651년 사은사(謝恩使)의 서장관으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54년 경상도관찰사로 나가 경상도의 속오급보법(束伍給保法)을 정하도록 요청하였다.

이듬해 충청도관찰사, 1657년부터 1659년까지 대사간·전라도관찰사·함경도병마절도사·함경도관찰사 등 외관을 지내면서, 지방 민정의 어려움을 해결하는데 노력하였다.

즉, 함경도병마절도사를 지낼 때는 북로소복책(北路蘇復策)을 진언하기도 하였다.

1662년(현종 3)에는 내관으로 들어와 예조참판이 되었고, 이듬해에 도승지·강화유수가 되었으나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당하였다.

1665년에 다시 기용되어 장악원정(掌樂院正)이 되었는데, 이때 권우는 묘악(廟樂)을 정리하도록 지시하여 음률의 체제를 정비하는 데 힘썼다.

1668년에 부호군(副護軍), 1671년에 판결사(判決事), 이듬해 한성부좌윤을 거쳐 1674년 사은사 김수항(金壽恒)의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675년(숙종 1) 7월 서울의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인조실록(仁祖實錄)』
『효종실록(孝宗實錄)』
『현종실록(顯宗實錄)』
『숙종실록(肅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집필자
김동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