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행가사 ()

목차
관련 정보
금강산유산록
금강산유산록
고전시가
개념
여행을 통하여 얻은 체험이나 견문 · 감상 등을 중심으로 기술한 가사. 기행문학.
목차
정의
여행을 통하여 얻은 체험이나 견문 · 감상 등을 중심으로 기술한 가사. 기행문학.
내용

현전 기행가사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조선 명종 때에 백광홍(白光弘)이 평안도평사(平安道評事)를 제수받아 관서지방을 두루 돌아다니고서, 1556년(명종 11)에 지은 「관서별곡(關西別曲)」이다.

그 다음은 정철(鄭澈)이 「관서별곡」의 영향을 받아 지은 「관동별곡(關東別曲)」으로, 이 두 작품은 뒤에 후세 사람들이 기행가사 작품을 짓는 데에 본보기가 되었다.

구성이 기사(起詞)·승사(承詞)·전사(轉詞)·결사(結詞) 등 4단계로 짜여진 작품들이 있는가 하면 서사(序詞)·본사(本詞)·결사(結詞) 등 3단계로 구성된 작품들도 있다.

4단계로 구성된 작품들을 보면, 기사에서는 여행을 떠나는 여행동기 및 그 행장에 관하여 먼저 언급한다. 승사에서는 목적지까지의 노정과 그 노정에서 얻은 견문과 소감을 적고, 전사에서는 목적지에서의 생활·견문·소감 등을 표현한다. 결사에서는 돌아오는 과정 전후의 느낌과 지은 동기, 또는 다른 지역을 구경한 느낌이나 술을 마시면서 즐기는 광경 등을 밝히고 있다.

한편, 3단계로 구성된 작품들은 서사에서 결사까지의 내용이 4단계 작품의 전사까지와 같다. 다만 4단계 작품의 결사부분에 해당하는 회정(回程) 및 저술동기 등에 대한 언급이 없다.

형식은 대체로 3·4조와 4·4조로, 문장표현이 간결하면서도 함축미를 지니고 있다. 같은 기행가사 작품이라도 잘 정돈된 형식미를 갖춘 작품은 그 작품의 내용이 대부분 서정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형식미가 많이 파괴되어 조잡한 율조를 보이는 작품은 이야기적인 성격이 짙다.

이들 기행가사는 그 여행동기에 따라 유람 또는 관유가사(觀遊歌辭)·유배가사(流配歌辭)·사행가사(使行歌辭) 등 세 유형으로 나뉜다. 관유가사는 나라 안팎의 산천·명승지 등을 두루 유람하거나 타향에서의 생활경험을 노정과 함께 묘사한 것이다. 정철의 「관동별곡」, 박순우(朴淳愚)의 「금강별곡(金剛別曲)」, 권섭(權燮)의 「영삼별곡(寧三別曲)」 등이 여기에 속한다.

유배가사는 귀양살이라는 유배형(流配刑)을 여행의 동기로 하여 새로이 얻은 경험과 견문을 가사로 읊은 것이다. 송주석(宋疇錫)의 「북관곡(北關曲)」, 안조원(安肇源)의 「만언사(萬言詞)」, 이광명(李匡明)의 「북찬가(北竄歌)」, 이방익(李邦翊)의 「홍리가(鴻罹歌)」, 김진형(金鎭衡)의 「북천가(北遷歌)」, 채귀연(蔡龜衍)의 「채환재적가(蔡宦再謫歌)」 등이 있다.

사행가사는 사신행차의 일원으로 공식·비공식의 자격에 관계 없이 외국을 여행하면서 듣고 본 경치와 느낌을 기록한 가사를 말한다. 이 작품의 보기는 중국을 다녀와서 지은 실명씨의 「연행별곡(燕行別曲)」, 박권(朴權)의 「서정별곡(西征別曲)」, 김지수(金芝叟)의 「서행록」, 홍순학(洪淳學)의 「연행가(燕行歌)」, 유인목(柳寅睦)의 「북행가(北行歌)」 등이 있다. 일본을 다녀와서 지은 김인겸(金仁謙)의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이태직(李台稙)의 「유일록(遊日錄)」 등도 사행가사이다.

이 밖에도 순조 때 함경도지방의 암행어사로 다녀와서 지은 구강(具康)의 「북새곡(北塞曲)」과 대한제국 때 아메리카합중국 하와이 주차 조선영사관협회의 서기 생활을 하고 돌아와 지은 김한홍(金漢弘)의 「해유가(海遊歌)」(일명 西遊歌) 등도 있다.

이들 기행가사의 작자들은 거의가 유학자 계층과 벼슬아치들이다. 기행가사 작품들의 역사적 전개양상을 가사문학사와 견주어 정리하면 제1기(958∼1443)에는 기행가사가 없다.

제2기(1444∼1591)에 와서야 비로소 기행가사가 등장하여 벼슬아치들의 순행(巡行)을 빌미로 한 관유가사가 주축을 이룬다. 제3기(1592∼1720)에는 관유가사도 있지만, 유배가사와 사행가사가 등장한다. 제4기(1721∼1893)에도 관유^유배^사행 가사 모두가 보이는데, 관유가사는 개인의 기호에 따른 여행 내용으로 많이 바뀌고, 동시에 작품이 길어지는 특성을 보이기도 한다.

제5기(1894∼현재)에는 유배가사가 전혀 나타나지 아니하고, 개인 기호에 따른 관유가사만이 보인다. 대표적인 작품은 최송설당(崔松雪堂)의 「한양성중유람(漢陽城中遊覽)」, 장학고(張鶴皐)의 「대지유람가(大地遊覽歌)」, 문재근(文宰根)의 「경주고적관람기(慶州古蹟觀覽記)」·「안의용추사탐승기(安義龍湫寺探勝記)」·「삼각산하우이동소풍기(三角山下牛耳洞逍風記)」 등이 있다.

이 밖에도 금강산을 다녀오고서 지은 장일상(張一相)의 「금강산유람기」나 이명칠(李明七)의 「금강산유람록(金剛山遊覽錄)」, 조애영(趙愛泳)의 「금강산기행가(金剛山紀行歌)」 등도 읽어 볼 만하다. 지금까지 학계에 알려진 조선시대 기행가사 작품은 다음의 [표]와 같다.

[표]조선시대의기행가사

작품명 제작연대 작자 수록문헌(소장처) 분량
1 관서별곡 1556년 백광홍(白光弘, 1511-1556) 『기봉집(岐峰集)』 172
2 관동별곡 1580년 정철(鄭澈, 1536-1593) 『송강가사(松江歌辭)』 294
3 출새곡 1617년경 조우인(曺友仁, 1561-1625) 『봉재영언(蓬齋詠言)』 166
4 관동속별곡 1623년경 조우인(曺友仁, 1561-1625) 『봉재영언(蓬齋詠言)』 210
5 북관곡 1675년 송주석(宋疇錫, 1650-1692) 『은보집략(恩譜輯略)』 232
6 연행별곡 1694년 작자미상 『가사선(歌辭選)』(고려대학교) 198
7 서정별곡 1695년 박권(朴權, 1658-1715) 사본(朴泳九) 324
8 천풍가 1698년경 노명선(盧明善, 1647-1715) 『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 332
9 영삼별곡 1704년 권섭(權燮, 1671-1759) 『옥소고(玉所稿)』(朴堯順) 224
10 금당별곡 1707년이전 위세직(魏世稷, 1655-1721) 『삼족당가첩(三足堂歌帖)』 200
11 속사미인곡 1726년경 이진유(李眞儒, 1669-1730) 『가사(歌詞)』(가람문고) 374
12 피역가 1727년 황전(黃廛, 1704-1771) 『만은집(晩隱集)』 95(낙구)
13 명촌 금강별곡 1739년 박순우(朴淳愚, 1686-1759) 『명촌유고(明村遺稿)』 400
14 탐라별곡 1750년경 정언유(鄭彦儒, 1687-1764) 『우헌집(迂軒集)』 240
15 단산별곡 1752년경 신광수(申光洙, 1712-1775) 사본(金一根) 198
16 북찬가 1756년경 이광명(李匡明, 1701-1778) 『증참의공적소시가(贈參議公謫所詩歌)』 280
17 일동장유가 1764년 김인겸(金仁謙, 1707-1772) 사본(校合本) 8,243
18 북정가 1776년 이용(李溶, 영조 때) 『적의(適宜)』(국립중앙도서관) 260
19 홍리가 1783년 이방익(李邦翊, 영조 때) 사본(安春根) 262
20 표해가 1797년 이방익(李邦翼, 1757-?) 『청춘 1호』(1914) 604
21 만언사 1800년이전 안조원(정조 때) 사본(서울대학교) 1,425
22 부여노정기 1802년 연안 이씨(延安李氏, 1737-1815) 사본(校合本) 235
23 북새곡 1812년 구강(具康, 1757-1832) 『북새곡(北塞曲)』 1,941
24 병자 금강산가 1816년 작자미상 『장편가집(長篇歌集)』(서울대학교) 705
25 교주별곡 1820년 구강(具康, 1757-1832) 『북새곡(北塞曲)』 190
26 금강곡 1820년 구강(具康, 1757-1832) 『북새곡(北塞曲)』 104
27 총석가 1820년 구강(具康, 1757-1832) 『북새곡(北塞曲)』 114
28 서행록 1828년 김지마(金芝馬, 순조 때) 사본(林基中) 2,710
29 금행일기 1845년 은진 송씨(恩津宋氏, 1803-1860) 사본(史在東) 1,526
30 팔역가 1850년경 나내석(羅乃碩, ?) 사본(吳京錫) 2,976
31 북천가 1854년 김진형(金鎭衡, 1801-1865) 사본(崔康賢) 1,041
32 지헌금강산유산록 1855년 박희현(朴熺鉉, 1814-1880) 『여리편)』 1,228
33 병진 금강별곡 1856년경 작자미상 사본(姜銓瓏) 1,124
34 관동장유가 1859년경 작자미상 사본(서울대학교) 1,611
35 동유가 1862년 홍정유(洪鼎裕, 1829-1904) 사본(하바드大) 2,186
36 채환재적가 1870년 채구연(蔡龜淵, 철종 때) 사본(金榮洙) 866
37 연행가 1866년 홍순학(洪淳學, 1842-1892) 사본(陶南本) 3,782
38 북행가 1866년 류인목(柳寅睦, 1839-1900) 사본(李東英) 1,962
39 봉래별곡 1869년 정현덕(鄭顯德, 1810-1883) 사본(李周洪) 117
40 포쇄일기 1871년 박정양(朴定陽, 1841-1905) 『박정양전집(朴定陽全集)』 권 5 4,732
41 도해기 1875년 조희백(趙熙百, 1825-1900) 『관동장유가』 240
42 관동신곡 1894년 조윤희(趙胤熙, 1854-1931) 사본(秦東赫) 1,238
43 유일록 1902년 이태식(李台植, 1859-1903) 사본(李胤求) 3,256
44 해유가 1908년 김한홍(金漢弘, 1877-1943) 사본(金大斗) 944
45 금강산완경록(1) 연대미상 작자미상 사본(鄭炳昱) 774
46 금강산완경록(2) 연대미상 작자미상 『궁중잡록(宮中雜錄)』(국립중앙도서관) 304
47 금강산유산록(1) 연대미상 작자미상 사본(연세대학교) 636
48 금강산유산록(2) 연대미상 작자미상 『악부(樂府)』(고려대학교) 423
49 기성별곡 연대미상 작자미상 사본(李周洪) 206
50 봉래청기 연대미상 작자미상 『악부(樂府)』(고려대학교) 766
51 숭양별곡 연대미상 작자미상 사본(가람문고) 226
52 척주가 연대미상 작자미상 사본(金馹起) 198
53 향산록 연대미상 작자미상 목판(국립중앙도서관) 192
54 향산별곡 연대미상 작자미상 사본(李周洪) 330
참고문헌

『한국문학의 고증적 연구』(최강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96)
『한국기행문학작품연구』(최강현, 국학자료원, 1996)
『기행가사선집』 1(최강현, 국학자료원, 1996)
『한국기행문학연구』(최강현, 일지사, 1982)
『고전문학정수』(정병욱·이석래, 경인문화사, 1976)
『은촌내방가사집』(조애영, 금강출판사, 1971)
『오현금(五絃琴)』(문재근, 경천애인사, 1961)
「계미통신사의 일본관」(박태순, 『일본평론』 4, 1991)
「18세기의 한 체험-일동장유가를 중심으로-」(소재영, 『숭실대논문집』 18, 1988)
「연행가사의 연구」(임기중, 『한국문학연구』 10, 1987)
「朝鮮通信使の路程記」(임성철, 『외대논총』 5, 부산외국어대학교, 1987)
「사행가사를 비교하여 살핌」(최강현, 『여행과 체험의 문학』-중국편-, 민족문화문고간행회, 1985)
「이방익의 표해가에 대하여」(강전섭, 『한국언어문학』 20, 형설출판사, 1981)
「기행가사의 유형적 고찰」(최강현, 『홍대논총』 12, 1981)
「기행가사의 연구사고」(최강현, 『홍대논총』 10, 1978)
「기행가사에 대하여」(김국소, 『명지어문학』 7, 명지대학교, 1975)
「기행문학으로서의 일동장유가」(장덕순, 『국어국문학』 24, 1962)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최강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