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검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송국리 석관묘 출토 비파형 동검
부여 송국리 석관묘 출토 비파형 동검
선사문화
유물
구리와 주석, 아연, 납 등을 섞어 녹여 부은 청동으로 만들어진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의 무기.
목차
정의
구리와 주석, 아연, 납 등을 섞어 녹여 부은 청동으로 만들어진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의 무기.
내용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동검의 종류로는 중국식 동검[桃氏劍], 오르도스식 동검, 요령식 동검(遼寧式銅劍)과 세형 동검이 있다.

이 중 요령식 동검과 세형 동검을 제외하고는 모두 발견된 예가 적고 분포지역도 제한되어 있으며 반출유물, 유구(遺構)와의 관계도 명확하지 않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동검이라고 하면 요령식 동검과 세형 동검의 두 형식만을 뜻하게 된다.

요령식 동검은 중국의 랴오허(遼河)를 중심으로 한 요령 지방에 주로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만주식 동검, 부여식 동검, 비파형 동검(琵琶形銅劍)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함경도지방을 제외한 거의 전역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주로 서부지방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유적의 분포가 중국의 동북 지방과 한반도 서부 지방에 조밀한 것은 당시에 이 지역이 동일 문화지대에 속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동검의 특징은 중국식 검이나 오르도스식 동검과는 달리, 검신(劍身)과 검파(劍把)가 따로 주조되어 결합하도록 된 조립식이라는 점이다.

세형 동검은 일본의 평형 동검에 비해 검신이 좁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연해주와 서일본지역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이 동검은 요령식 동검을 조형으로 하였으나 그 형식은 우리나라에서 성립되었고, 분포권이 중국의 동북 지방과는 거의 관계가 없기 때문에 우리나라 고유의 청동 단검으로 볼 수 있다. 형태는 기본적으로 요령식 동검과 같지만 가장 큰 차이점은 검신이 직선화되고 예리해진 점이다.

의의와 평가

동경(銅鏡) 및 곡옥(曲玉) 등과 함께 출토되는 경우가 많아, 일본의 신화에서와 같이 의기적(儀器的)인 성격도 지닌 것으로 보인다. 서기전 1세기 후반경에 이르면 한(漢)나라의 철기문화의 영향으로 인해 철검으로 대치된다.

참고문헌

「한국청동유물의 연구」(윤무병, 『백산학보』12, 1972)
「좁은 놋단검의 형태와 그 변천」(정찬영, 『문화유산』1962년 3호)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이건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