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시 ()

목차
관련 정보
서시 / 윤동주
서시 / 윤동주
현대문학
작품
윤동주(尹東柱)가 지은 시.
목차
정의
윤동주(尹東柱)가 지은 시.
내용

윤동주(尹東柱)가 지은 시. 1941년 11월 20일에 창작되었고 그의 유고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1948)에 수록되어 있다. 이 시는 윤동주의 생애와 시의 전모를 단적으로 암시해주는 상징적인 작품이다.

왜냐하면, 이 시는 윤동주의 좌우명격 시인 동시에 절명시에 해당하며, 또한 ‘하늘’과 ‘바람’과 ‘별’의 세 가지 천체적 심상(心像)이 서로 조응되어 윤동주 서정의 한 극점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서시」는 내용적인 면에서 세 연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 연은 ‘하늘-부끄럼’, 둘째 연은 ‘바람-괴로움', 셋째 연은 ‘별-사랑'을 중심으로 각각 짜여져 있다.

첫째 연에서는 하늘의 이미지가 표상하듯이 천상적인 세계를 지향하는 순결 의지가 드러난다. 바라는 것, 이념적인 것과 실존적인 것, 한계적인 것 사이의 갈등과 부조화 속에서 오는 부끄러움의 정조가 두드러진다.

둘째 연에는 대지적 질서 속에서의 삶의 고뇌와 함께 섬세한 감수성의 울림이 드러난다.

셋째 연에는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서의 ‘진실한 마음, 착한 마음, 아름다운 마음’을 바탕으로 한 운명애의 정신이 핵심을 이룬다.

특히, “그리고 나한테 주어진 길을 걸어가야겠다.”라는 구절은 운명애에 대한 확고하면서도 신념에 찬 결의를 다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자신에게 주어진 운명에 대한 결의는 험난한 현실을 도피하지 않고 그에 맞서 절망을 극복하려는 자기 구원과 사랑이 최선이라고 할 수 있다. 절망의 환경일수록 자기자신만이 스스로를 구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시인은 운명에 대한 긍정과 따뜻한 사랑을 선택한 것이다.

그러나, 이 운명애의 길은 관념적으로 도출된 것이 아니라 진솔한 자아 성찰과 통렬한 참회의 과정을 겪으면서 변증법적 자기 극복과 초월의 노력에 의해 마침내 획득한 것이라는 점에서 참된 생명력을 지닌다. 단순한 운명의 순응이 아니라 그 극복과 초월에 목표를 둔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의 서시인 이 작품은 시집의 전체적인 내용을 개략적으로 암시하고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또한 존재론적 고뇌를 투명한 서정으로 이끌어 올림으로써 광복 후 혼란한 시대에 방황하는 당시의 많은 젊은이들은 물론이고 세월을 뛰어넘어 지금까지 따뜻한 위안과 아름다운 감동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참고문헌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정음사, 1948)
『한국현대시인연구』(김재홍, 일지사, 1986)
「윤동주론」(김렬규, 『국어국문학』 27, 1964)
「윤동주론」(김흥규, 『창작과 비평』 33, 1974)
「윤동주의 문학사적 위치」(오세영, 『현대문학』 244, 1975)
『나라사랑』 23-윤동주 특집(1976)
「윤동주시와 시론의 반성」(홍정선 외, 『현대시』 1,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재홍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