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선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세종~세조 대에 활동한 문신.
이칭
망세정(忘世亭), 망세당(忘世堂)
윤부(潤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467년 9월 20일
본관
청송(靑松)
주요 관직
관찰사(觀察使)
내용 요약

심선은 조선 전기 세종~세조 대에 활동한 문신이다. 1435년(세종 17)에 진사시에 입격하였다. 세조가 즉위한 1455년(세조 1년)에 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 .예조참의를 거쳐 경기관찰사, 황해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세조 대 공신인 홍윤성과 사돈 관계를 맺었다.

정의
조선 전기 세종~세조 대에 활동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심선(沈璿)의 자는 윤부(潤夫), 본관은 청송(靑松), 호는 망세정(忘世亭) 또는 망세당(忘世堂)이다. 생년은 미상이며, 1467년(세조 13년) 9월 20일에 사망하였다. 증조할아버지는 좌의정 심덕부(沈德符), 할아버지는 인수부윤 심징(沈澄)이다. 종조부는 지성주사 심계년(沈繼年), 동지총제 심정, 태조의 사위인 청원군(靑原君) 심종(沈淙), 세종비 소헌왕후의 아버지인 영의정 심온(沈溫), 심도생(沈道生), 판사 심의귀(沈義龜), 도총제 심인봉(沈仁鳳)이다.

아버지는 호조판서에 추증된 군자감판관 심석준(沈石雋), 어머니는 군위나씨는 삼사우사(三司右使) 나윤재(羅允材)의 후손이다. 부인은 초계정씨로 판중추원사 정발(鄭發)의 딸이며, 외할아버지는 대장군 정갱(鄭賡)이다.

심선의 혈육과 그 혼인 관계를 살펴보면, 부인 정씨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인 병마사 심안인(沈安仁)은 태종의 서녀 사위인 파원위 윤평(尹泙)의 딸과 혼인하였다. 심안인의 아들 심담(沈淡)이 세조 대 공신인 홍윤성(洪允成)의 딸과 혼인하면서 심선과 홍윤성은 사돈 관계가 되었다.

심선의 둘째 아들인 청성위(靑城尉) 심안의(沈安義)는 세종의 서녀인 정안옹주와, 첨정 심안례(沈安禮)는 여흥민씨 중추 민건의 딸과, 부장 심안지(沈安智)는 경주김씨 녹사 김종직(金從直)의 딸과, 봉사 심안신(沈安信)은 고성이씨 주부 이희진(李希振)의 딸과 혼인하였다. 또한 심선과 정씨 사이에서 난 첫째 딸은 세종의 서손인 영원군(寧原君) 이례(李澧)와, 둘째 딸은 평양조씨 충의위 조강(趙綱)과 혼인했다. 이 밖에도 심선의 서자로는 심안실(沈安實)이 있다.

심선의 묘지명은 그의 후손인 심정진(沈定鎭)이 찬하였는데, 『제헌집(霽軒集)』 권 6에 실린 선조망세정부군묘지명(先祖忘世亭府君墓誌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주요 활동

1435년(세종 17)에 주1에 입격하였고 1443년(세종 25년)에 감찰에 제수되었다. 이때 매부인 하제명의 첩을 간통한 혐의로 사헌부에서 심선을 탄핵하여 옥에 갇혔다가 석방되는 사건이 있었다.

1452년(단종 즉위년)에는 현감을 역임한 것이 확인되며, 이후 판사로 승진하였다. 세조가 즉위한 1455년(세조 1년)에는 원종공신 3등에 녹훈되었다. 1463년(세조 9년)에는 공조참의, 이듬해에는 예조참의, 첨지중추원사를 거쳐 경기 관찰사에 제수되었다. 관찰사 재임 기간에는 양근군사 남희(南暿)에 대한 주2이 문제가 되어 탄핵을 당하였으나 처벌을 받지는 않았다.

1465년(세조 11년)에는 경기 지역의 도적 문제를 조정에 보고하였다. 같은 해 5월에 관찰사의 직위를 남용해 이천감무 윤서(尹瑞)의 무덤을 파낸 혐의로 탄핵을 당하여 행 첨지중추원사(行僉知中樞院事)로 좌천되었다. 실록에는 이 사건에 덧붙여 심선의 부정한 행적을 묘사하는 사론이 수록되어 있다.

같은 해 11월에는 주3로 명에 파견되었다. 세조 12년 6월에는 황해도 관찰사에 제수되었고, 같은 해 11월에는 형옥에 대한 치적을 인정받아 종2품 가정대부로 승진하였다. 이듬해 9월에 사망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문화유씨가정보(文化柳氏嘉靖譜)』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紀略)』
『씨족원류(氏族源流)』
『안동권씨성화보(安東權氏成化譜)』
『제헌집(霽軒集)』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인터넷 자료

청송심씨대종회: 청송심씨대동세보(靑松沈氏大同世譜) (http://yesjokbo7.com/jokboroot/new_default.asp)
주석
주1

‘국자감시’를 달리 이르던 말. 국자감시에 합격한 사람을 진사라고 하였기 때문에 이렇게 이른다.    우리말샘

주2

옳고 그름이나 선하고 악함을 판단하여 결정함.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해마다 정월 초하룻날 새해를 축하하러 중국으로 가던 사신. 동지와 정월이 가까이 있으므로 동지사(冬至使)가 정조사를 겸하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