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형제곡 ()

악장가사 / 연형제곡
악장가사 / 연형제곡
고전시가
작품
조선 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정의
조선 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경기체가.
개설

『악장가사』에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 권57 세종14년조에 예조(禮曹)에서 이 노래를 악부(樂部)에 올려달라는 요청이 있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예조의 관원들이 주관하여 세종 때 지은 작품으로 추정된다. 세종이 형제간의 우애가 바탕이 되어 백성을 잘 다스리니, 나라가 아름다운 풍속을 이루었으며, 태평성대를 노래하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총 5장(章)으로 된 연장체(聯章體)로서, 경기체가의 가장 전형적인 율격과 구조로 짜여 있다. 즉, 전대절(前大節)의 음수율인 ‘3·3·4, 3·3·4, 4·4·4’가 철저히 지켜지고, 후소절(後小節)의 음수율인 ‘4·4, 4·4’ 역시 예외 없이 지켜졌다. 또한 각 절이 끝날 때마다 ‘위 ∼경(景) 긔 엇더ᄒᆞ니잇고’라는 엽(葉)이 붙는 것도 철저히 지켜지는 정연한 형식을 보인다.

내용

1장에서는 형제간에 서로 돈독히 사랑을 나누는 광경과, 하늘이 부여해 준 지혜와 재능에 따라 각자가 본성을 따라 행동한다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2장에서는 서로 배움에 힘쓰고 덕을 기르는 모습을 노래했으며, 3장에서는 형제간의 천륜(天倫)을 두터이 하면서 평생 좋게 지내는 모습을 담아 냈다.

4장은 동생인 세종이 덕이 있어 왕위에 올라, 형들에게 우애를 다하고, 형들도 또한 공경하고 삼가며 신하의 직분을 바로 지키니, 사랑과 질서가 아울러 온전하게 지켜졌다는 내용을 읊은 것이다. 5장은 세종이 백성을 편안하게 잘 다스려 온 나라가 태평한 세상을 맞게 되었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동생으로 왕위에 오른 세종이 양녕·효녕 대군 두 형님을 받들면서 그 우애를 돈독히 하고, 그 형들은 동생인 왕에게 신하로서 충성과 공경을 다했다는 왕실의 화목함을 작품의 제작배경으로 깔고 있다. 결국 이 노래는 왕실의 화목함과 조화로운 질서를 감격해 하면서 이를 경기체가 특유의 어법을 통해 자랑스럽게 과시한 노래라 하겠다.

참고문헌

『선초악장문학연구(鮮初樂章文學硏究)(조규익, 숭실대학교출판부, 1990)
『고려가요(高麗歌謠)의 연구(硏究)』(이명구, 신아사, 1974)
「유교도덕악장고(儒敎道德樂章考)」(김창규, 『최정석박사회갑기념논총』, 효성여자대학교출판부,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학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