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 동본리 석조 여래 입상 ( )

목차
관련 정보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
예천 동본리 석조여래입상
조각
유적
문화재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석조 불상. 보물.
목차
정의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석조 불상. 보물.
내용

1965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높이 3.46m, 어깨 너비 1.14m, 머리 높이 95㎝. 이 석불입상은 단판복련(單瓣覆蓮)이 새겨진 원형 연화좌 위에 직립하고 있다. 하나의 돌로 조각된 독립상으로 평판적인 신체, 큰 머리 등 전체적으로 둔중하며 괴량감에 넘친 모습이다. 현재는 목 주위에 보수한 흔적이 보인다.

크고 넓적한 육계(肉髻)가 정수리에 솟아 있으며, 네모반듯하고 풍만한 얼굴에 반쯤 뜬 눈, 넓적한 코, 지그시 웃는 입 등의 모습은 자비로운 모습을 잃지 않고 있다. 그러나 8세기의 이상화된 얼굴 모습보다는 현저하게 현실적이고 인간적인 모습으로 보인다.

큰 얼굴에 비하여 상체는 작은 편으로 비례가 썩 좋지는 않다. 굵고 짧은 목과 좁은 어깨, 짧은 팔 등이 평판적인 가슴과 함께 움츠린 듯하여 다소 위축감이 느껴진다. 오른팔은 옆으로 내려 몸에 붙인 채 옷자락을 살짝 잡고 있다. 그리고 왼손은 앞으로 들어 새끼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을 안으로 굽히고 있다.

앙어깨를 감싸고 거의 평행을 유지하며 복부까지 내려오는 통견(通肩) 형식의 대의는 허벅지에서 Y자형으로 갈라진다. 그리고 양다리에서 타원형의 동심원을 형성하며 흐르는데, 둔중하고 도식화된 평행한 옷주름 선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형식은 이 불상의 조성 시기를 짐작하게 하여 준다.

이른바 우전왕상식(憂塡王像式) 불상 양식이다. 우전왕상식이란 불상의 옷주름 표현 양식으로 대의 옷주름이 허벅지에서 Y자형으로 갈라져 양다리 표면에서 반원형의 주름을 대칭적으로 표현한 것을 말하는데, 이 상에서는 오랜 답습을 통하여 도식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우전왕상식의 양식은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국보, 1962년 지정)과 국립경주박물관 소장의 사암불입상(砂岩佛立像) 또는 선산(지금의 구미) 출토의 금동여래입상(국보, 1976년 지정) 등을 대표 작품으로 한다. 8세기에 대유행을 보게 된다.

가슴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승각기(僧脚岐), 군의(裙衣)의 3단 주름, 반듯이 자른 듯한 옷깃 표현 등도 역시 변화 없이 도식적인 평행선을 이룬다. 이러한 양식은 입상은 아니지만 경상북도 봉화 축서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목조광배(보물, 1989년 지정)에서부터 보이는 9세기 중엽 이후 불상 양식의 특징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대의 아래 치마인 군(裙)의 밑단에 보이는 규칙적인 세로줄 무늬에서도 확실히 드러난다. 뒷면에는 얕은 음각으로 몇 가닥의 옷주름을 좌우대칭으로 선각했을 뿐이다.

이상과 같은 특징을 지니는 이 불상과 비교하여 볼 수 있는 독립된 석불입상으로서는 거창 양평리 석조여래입상(보물, 1963년 지정)을 들 수 있겠지만, 동본동불상이 훨씬 더 형식화되어 시대의 하강을 직감하게 된다. 즉, 가슴을 깊게 드러내면서 내려가는 옷주름이 양다리에서 긴 타원형의 의문을 형성하는 모습은 같은 계열의 양식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둔중하게 정지된 모습, 양감 없이 괴량감이 강조되어 있는 신체, 그러면서도 아직 경직화되지는 않은 얼굴 모습, 무겁게 흐르는 옷주름 선 등은 이 불상이 이상화의 길을 추구하던 8세기 통일신라 불상 양식의 수법을 답습하면서 고려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을 보여 준다. 즉 형식화된 통일신라 말기의 조각 수법을 드러내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5 보물 3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대학당, 1986)
집필자
박도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