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왕맞이 (맞이)

목차
관련 정보
민간신앙
의례·행사
제주도 무당굿에서 용왕신을 모시는 굿거리.
내용 요약

용왕맞이는 제주도 무당굿에서 용왕신을 모시는 굿거리이다. 제주도에서는 ‘요왕맞이’라고 한다. 요왕맞이 제당은 메(밥), 시루떡, 도래떡, 계란, 채소, 과일, 쌀, 술 등을 올리는데, 바닷고기는 올리지 않는다. 제상차림이 완료되면 수심방(큰 무당)이 초감제부터 시작한다. 이후에 군문열림, 요왕질침, 요왕다리 놓기, 요왕문열림 등을 차례대로 행한다. 풍어를 비는 요왕맞이는 이로써 중심 제차가 끝난다. 익사자의 혼을 달래기 위한 요왕맞이에는 익사한 혼을 건져오는 ‘초매장’을 한다. 끝으로 저승으로 가는 길을 닦아 영혼을 위무하여 보내는 행사를 하고 제를 마친다.

목차
정의
제주도 무당굿에서 용왕신을 모시는 굿거리.
내용

바다를 차지한 용왕을 맞아들여 축원하는 굿으로 제주도에서는 ‘요왕맞이’라고 한다. 큰굿의 한 제차로 하기도 하고, 바다에서 익사한 영혼을 건져내어 저승으로 고이 보내거나 풍어를 빌기 위하여 하기도 한다. 어느 경우이든 그 중심 제차는 용왕이 오는 길을 치워 맞아들이고 소원을 비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용왕은 무가(巫歌)에서는 동해 청룡왕, 서해 백룡왕, 남해 적룡왕, 북해 흑룡왕, 중앙 황룡왕 등 방위에 따라 다른 용왕이 있다. 그 아래 여러 관원과 용왕차사(龍王差使)가 있는 것으로 창되나, 요왕맞이를 할 때의 제상차림이나 제차에는 이러한 여러 용왕의 구분이 하나로 다루어진다.

요왕맞이 제당은 시왕맞이 때와 같이 차려 메(밥) · 시루떡 · 도래떡 · 계란 · 채소 · 과일 · 쌀 · 술 등 여러 가지를 올리는데, 바닷고기를 올리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 설쇠 · 장구 등 모든 악기가 소요됨은 다른 굿과 같다.

제상차림이 완료되면 정장한 수심방(큰 무당)이 초감제부터 시작한다. 천지개벽으로부터 시작하여 지리적 · 역사적 사실의 형성을 설명하는 베포도업침, 굿하는 날짜와 장소를 설명하는 날과 국섬김을 하고, 굿하는 사유를 설명하는 집안연유닦음을 한 뒤 군문열림으로 들어간다. 수심방이 서서 한 단락 한 단락을 노래하면 소미[小巫]가 전 악기를 쳐 울리고, 수심방이 여기에 맞추어 춤을 추며 집행하여 가는 것이다.

군문열림은 용왕이 오도록 요왕문[龍王門]을 여는 대목으로 요령과 감상기를 들고 노래와 요란한 춤으로써 시행하고, 문이 열리면 신칼과 산판으로 점을 쳐서 용왕이 흔쾌히 문을 열고 오는가 여부를 제주(祭主)에게 전달하는 분부사룀을 한다. 이로써 초감제를 끝마치고 다음은 요왕질침으로 들어간다.

요왕질침이란 용왕이 오는 길을 치워 맞아들이는 제차이다. 요왕질침을 하려면 먼저 푸른 잎이 붙은 대나무가지 여섯 개씩을 2열로 나란히 지면에 꽂는다. 이를 요왕문이라 하는데, 2열의 대나무가지 사이의 공간은 요왕국[龍王國]으로 가는 길을 상징한다. 요왕문의 설비가 끝나면 용왕이 오는 길을 치워 닦는데, 익사자의 영혼을 위한 굿이면 영혼이 오는 길도 함께 치워 닦는다.

용왕질침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요왕님이 오려는데 요왕문을 돌아보자는 내용의 노래를 부르고, 요왕문을 돌아보는 춤을 춘다. 요왕문을 돌아보니 각종 해조류가 무성하여 요왕님이 못 오겠으니 베어 버리자고 노래하여 신칼로 베는 시늉을 하며 춤을 춘다. 베어 놓고 보니 태산같이 쌓인 해조류를 작대기로 치워야겠다고 노래하고, 작대기를 들어 치우는 시늉을 하며, 춤을 추며 돈다. 치우고 보니 바위가 거칠어 못 쓰겠다고 하여 바위를 깨는 시늉을 하며, 춤을 추며 돈다.

이번에는 굵은 돌과 잔돌을 모두 치우자고 노래하고, 요왕문 사이로 돌멩이를 몇 개 굴린다. 돌을 치우고 보니 지면이 울퉁불퉁하여 못 쓰겠다 하여 평평하게 밀어 고르자고 노래하고, 신칼을 들어 고르는 시늉을 하며 춤을 춘다.

다음은 요왕다리를 놓자고 하여 긴 무명을 요왕문 사이에 깔아놓고, 요왕차사의 다리를 놓자고 하여 그 옆에 다시 긴 무명을 깔아놓는다. 다음은 올구멍 · 실구멍이 솜솜하여 못 쓰겠다 하여 쌀을 무명 위에 조금 뿌리고, 홍마음(말방울)다리도 놓으러 가자고 하여 요령을 말방울 울리듯 흔들어 소리내며 돌아다닌다. 용왕이 말을 타고 오는 것을 상징하는 것이다.

이렇게 길을 닦아 신을 모셔들이는 신청궤를 한 다음, 신이 즐거이 왕림하였는가 여부를 신칼과 산판으로 점치고 그 결과를 제주에게 전달하는 분부사룀을 한다.

다음은 요왕문열림이다. 용왕에게 소원을 빌고 “초군문도 열어 가십시오.”, “이 군문도 열어 가십시오.” 하면서 지면에 꽂아놓은 대나무가지, 곧 요왕문을 하나하나 차례로 뽑아 정리하는 것이다. 정리한 대나무가지는 요왕길인 무명으로 말아서 불태워 버린다.

풍어를 비는 요왕맞이는 이로써 중심 제차가 끝나는데, 익사자의 주1을 위한 요왕맞이 때에는 계속하여 익사한 혼을 건져오는 ‘초매장’으로 들어간다. 초매장을 할 때에는 먼저 짚으로 허수아비처럼 만들어 고인이 입던 옷을 입혀서 가시체(假屍體)를 만들어둔다. 이 가시체를 ‘메치메장’이라 한다.

심방이 이 가시체를 업고 유족들과 같이 바닷가로 내려간다. 심방은 가시체를 업은 채 바닷물에 종아리를 적시며 들어가서 고인이 입던 저고리를 흔들며 “언제 어떻게 하여 수중고혼이 된 아무개 보.” 하고 세 번 혼을 부른 다음 뭍으로 올라와 적당한 장소에 메치메장을 눕혀서 시체를 염습하는 시늉을 하여, 수의를 입히고 주2을 놓고 하여 정말 시체 다루듯 한다.

그리고 메치메장 옆에 물그릇을 놓아 “삼혼신은 물가로 올라왔으나 육신은 요왕국에 잠자는지, 어느 바위틈에 갔는지, 어느 모래밭에 올렸는지 모릅니다. 요왕황제국에서 천문[巫占具]으로 판단하여 주십시오.” 하는 내용을 창하고, 천문을 물그릇 위에서 수직으로 떨어뜨린다.

천문이 물그릇 바깥으로 떨어지면 시체가 육지에 떠오른 것이라 하고, 물그릇 속에 떨어져 자빠지면 요왕국 좋은 곳에 간 것이라 하고, 만일 천문이 엎어지면 허허 바다 깊고 험한 곳에 간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시체의 행방을 점친 뒤, 상여노래를 부르며 메치메장을 운구하여 제장으로 돌아와 메치메장을 시체 다루듯 안치한다.

그런 다음 원미죽을 올리고, 시왕맞이 때의 영혼을 위로하고 시왕에게 빌듯이 ‘방광침’을 한다. 한편, 안치한 메치메장에는 이불을 덮고 그 위에 접시를 놓아 쌀가루를 뿌려둔다. 이를 ‘영가루 친다’고 하는데, 나중에 그 가루가 가라앉은 모습을 보고 시체의 행방과 무엇으로 환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이로써 요왕맞이의 중심 제차는 끝난다. 그 뒤는 시왕맞이 때 질침(차사영맞이)을 하듯, 저승으로 가는 길을 치워 닦아 영혼을 위무하여 저승으로 보내는 행사를 하고 부수적인 제차를 하여 끝마친다.

참고문헌

『제주도무속자료사전(濟州島巫俗資料事典)』(현용준, 신구문화사, 1980)
주석
주1

혼을 달램.

주2

두 고를 내고 맞죄어 매는 매듭. 납폐(納幣)에 쓰는 실이나 염습(殮襲)의 띠를 매는 매듭 따위에 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현용준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