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고 ()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응양용호군중랑장, 대장군위위경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71년(명종 1)
주요 관직
응양용호군중랑장|대장군위위경겸집주|벽상공신
관련 사건
무신의 난
목차
정의
고려후기 응양용호군중랑장, 대장군위위경 등을 역임한 관리. 무신.
생애 및 활동사항

무신란이 일어났던 의종 때는 고려 전기의 사회경제 체제의 모순 등으로 무신들과 군인들 그리고 일반 농민들까지 불만이 팽배해 있었다. 이고는 1170년(의종 24) 왕이 화평재(和平齋)에 행차했을 때 산원(散員) 이의방(李義方)과 함께 대장군 정중부(鄭仲夫)에게 거사할 뜻을 비추었고 정중부의 동의를 얻었다.

그러나 화평재에서는 거사를 실현에 옮기지 못하였다. 뒤에 왕이 연복정(延福亭)에서 흥왕사로 행차할 때 왕이 만약 환궁하지 않고 경기도 장단 소재 보현원(普賢院)으로 행차를 옮기면 난을 일으키기로 정중부와 약속하였다.

마침 왕의 행차는 보현원으로 옮기게 되었다. 이 때 왕은 오문(五門)에 이르러 무신들을 위무하고자 오병수박희(五兵手搏戱)를 하게 했는데 대장군 이소응(李紹膺)이 상대를 이기지 못하고 달아나자, 젊은 문신 한뢰(韓賴)가 이소응의 뺨을 쳐서 계단 아래로 떨어뜨렸다. 이 광경을 바라보다가 칼을 빼어 난을 일으키려 했으나 정중부의 만류로 그만두었다.

날이 저물어 왕의 수레가 문으로 들어서자 난을 일으켜 주1했던 문신들을 모두 죽이고, 개성에 들어가 궁궐과 태자궁을 휩쓸면서 대소의 문관 50여명을 죽였다. 이에 왕이 크게 두려워해 이고를 응양용호군(鷹揚龍虎軍)의 중랑장에 임명하였다. 그러나 다시 정중부 등과 함께 의종을 내몰고 명종을 맞아 무신정권을 수립하고, 정중부, 이의방과 함께 의종의 사저인 관북택(館北宅) · 천동택(泉洞宅) · 곽정동택(藿井洞宅)을 나누어 차지하였다.

그 뒤 대장군 위위경(大將軍衛尉卿)에 임명되었고, 이의방과 함께 집주(執奏)를 겸하였다. 벽상공신(壁上功臣)이 되어 그 형상을 각상(閣上)에 그렸다. 정중부 · 이의방 등과 더불어 반란을 일으키고, 많은 문신을 학살하고 나머지 문신들도 모두 잡아 죽이자고 주장했으나 정중부의 만류로 중지하였다.

1171년에 대장군 한순(韓順), 장군 한공(韓恭) · 신대예(申大譽) · 사직재(史直哉) · 차중규(車仲規) 등이 무신들이 함부로 주2을 죽이는 것을 비난하자, 이의방과 함께 이들을 모두 잡아 죽였다. 오직 차중규만은 이의방과 친교가 있어 죽이지 않고 주3으로 귀양보냈다.

정권을 독단하고자 비밀스럽게 주4들과 법운사(法雲寺)의 중 수혜(修惠), 개국사(開國寺)의 중 현소(玄素) 등과 결탁해, 밤낮으로 술을 마시며 '만약 큰 일이 성공하면 너희들은 모두 높은 벼슬에 오를 것'이라며 거짓 주5까지 만들자 이의방의 미움을 사게 되었다.

태자(太子)가 관례(冠禮)를 치르게 되어 왕이 여정궁(麗正宮)에서 잔치를 베풀었는데, 이 때 선화사(宣花使)가 되어 잔치에 참여하였다. 현소로 하여금 악소를 수혜의 방에 모아 향연을 베풀고 칼을 소매 속에 품게 해 난을 일으키기로 하였다. 그러나 이 사실을 이고의 주6이던 교위(校尉) 김대용(金大用)의 아들이 아버지에게 고하고, 김대용은 다시 이를 내시장군(內侍將軍) 채원(蔡元)과 함께 고변하였다.

이에 이고를 미워하던 이의방이 궁문 밖에서 기다리다가 철퇴(鐵槌)로 쳐 죽이고, 순검군을 풀어 이고의 어머니와 잔당을 잡아 죽였다. 이고의 아버지는 일찍이 이고를 불초자식으로 여겨 미워하고 자식으로 여기지 않았기 때문에 귀양보내는 것으로 그쳤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주석
주1

임금이 탄 수레를 호위하여 따르던 일. 또는 그런 사람. 우리말샘

주2

조정에서 벼슬살이를 하고 있는 신하. 우리말샘

주3

서울 이외의 지방. 우리말샘

주4

불량소년

주5

임금의 명령을 일반에게 알릴 목적으로 적은 문서. 우리말샘

주6

노복

집필자
민병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