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재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대한제국기 외부대신, 농상공부대신, 궁내부특진관 등을 역임한 관료.
이칭
성일(聖一)
심재(心齋), 운정(篔汀)
시호
문정(文貞)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8년(헌종 14)
사망 연도
1909년(순종 2)
본관
연안(延安 : 황해도 연백)
출생지
서울
정의
대한제국기 외부대신, 농상공부대신, 궁내부특진관 등을 역임한 관료.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성일(聖一), 호는 심재(心齋) · 운정(篔汀). 서울 출신. 아버지는 이명익(李溟翼)이었으나 이건익(李建翼)에게 입양되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82년(고종 19) 생원으로서 정시문과에 주1로 급제, 홍문관부수찬에 임명되었다.

이듬해 6월 경상좌도암행어사, 10월 강원도암행어사를 거쳐 승정원동부승지에 주2, 1884년 참의군국사무(參議軍國事務) · 강원도독련어사(江原道督鍊御史) · 좌부승지를 역임하고 이조참의가 되었다.

1885년 성균관대사성을 거쳐 1886년 호군으로 재임 중 사대수구파에 의해 고금도에 유배, 주3되었다.

1894년 갑오개혁으로 개화파 정부가 수립되자 풀려나와 공무협판으로 군국기무처의원(軍國機務處議員)이 되었고, 이어 전라도관찰사로 부임, 그 해 12월 동학농민군 지도자 전봉준(全琫準)을 순창에서 사로잡아 서울로 압송하였다.

이듬해 5월 지방 관제개혁에 따라 전주부관찰사가 되고, 이어 부장으로 군부대신에 임용, 곧이어 학부대신으로 바뀌었으나 단발령이 강행되자 이에 반대, 사직하였다.

1896년 동로선유사(東路宣諭使)로 특파, 강원도 지방 의병의 선유에 나섰고, 이어 중추원의관을 거쳐 궁내부특진관이 되었다. 1898년 외부대신 · 비서원경(秘書院卿)을 거쳐 농상공부대신이 되어 그 해 7월에 설치된 양지아문(量地衙門)의 총재관을 겸임하였다.

10월에 다시 학부대신이 되어 비서원경을 겸하고 지석영(池錫永)의 건의를 들어 한성의학교 설치를 인가,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의학 교육기관을 세우는 데 기여하였다. 이어 내부대신서리 · 궁내부특진관을 거쳐 경효전제조(景孝殿提調)가 되었다.

1899년 법부대신이 되어 고등재판소재판장을 겸하고, 이어 의정부찬정(議政府贊政) · 귀족원경을 거쳐 1900년 7월 평안북도관찰사에 발령, 1902년 3월까지 근무하였다. 그 뒤 재차 시종원경(侍從院卿) · 궁내부특진관을 거쳐 그 해 11월 홍문관학사, 12월 육군부장(陸軍副將)으로 철도원총재가 되었다.

1903년 초 외부대신, 그 해 말에 평안북도관찰사, 1904년 충청남도관찰사를 거쳐 내부대신 · 표훈원의정관(表勳院議定官)을 역임하고 다시 농상공부대신에 임명되었으며 1905년 다시 내부대신에 발령되었다. 경상북도 · 평안남도 · 충청남도 · 전라북도 · 충청남도 · 전라남도관찰사를 차례로 역임하였다.

1906년 8월 그 동안의 공적으로 태극장(太極章)을 서훈받고, 그 뒤 장례원경 · 시종원경에 임명되었으나 1907년 7월 총리대신 이완용의 모함으로 박영효 등과 함께 주4 당하였다. 글씨에 뛰어났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순종실록(純宗實錄)』
『매천야록(梅泉野錄)』
『대한계년사(大韓季年史)』
『음청사(陰晴史)』
『속음청사(續陰晴史)』
『증보대동기년(增補大東紀年)』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과거 합격자를 성적에 따라 나누던 세 등급 가운데 셋째 등급. 문과(文科)에서는 23명, 무과(武科)에서는 20명을 뽑아 정구품의 품계를 주었으며, 성균관ㆍ승문원ㆍ교서관의 임시직인 권지(權知)에 임명하였다. 우리말샘

주2

임금의 특별한 명으로 벼슬을 시킴.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귀양 간 사람에게 형벌을 가하던 일. 귀양살이하는 죄인의 집 둘레에 가시나무를 둘러서 왕래를 하지 못하게 하였다. 우리말샘

주4

죄인을 잡아다 심문하여 죄를 정하던 일. 우리말샘

집필자
이완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