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종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시대, 24대 임금 헌종의 부친이며 추존왕.
이칭
본명
이영(李旲)
덕인(德寅)
아호
경헌(敬軒), 학석(鶴石), 담여헌(淡如軒)
시호
효명(孝明)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09년(순조 9)
사망 연도
1830년(순조 30)
본관
전주
주요 저서
경헌시초(敬軒詩抄) | 학석집(鶴石集)|담여헌시집(淡如軒詩集) | 경헌집(敬軒集) | 열성어제(列聖御製)
주요 관직
문조(文祖) 익황제(翼皇帝)
내용 요약

익종은 조선시대, 24대 임금 헌종의 부친이며 추존왕이다. 효명세자로 더 알려져 있다. 4세에 왕세자로 책봉되었으며, 11세에 관례를 치렀고 같은 해에 조만영의 딸과 혼인하였다. 외척 세력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려는 순조의 뜻에 따라 19세에 대리청정을 시작하였다. 이때 자신의 측근을 인사와 경제 관서에 포진하고, 백성들의 청원에도 귀를 기울였다. 1827년에 순조와 순원왕후에게 존호를 올리고 순조 등극 30주년을 맞이하여 연향을 베풀면서 악장을 친히 짓고 정재를 재정비하였다.

정의
조선시대, 24대 임금 헌종의 부친이며 추존왕.
가계 및 인적사항

1809년(순조 9)에 순조순원왕후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다. 태어난 당일에 원자로 호가 정해졌고, 4세에 왕세자에 책봉되었다. 이름은 영(旲), 자는 덕인(德寅), 호는 경헌(敬軒), 학석(鶴石), 담여헌(淡如軒), 시호는 효명(孝明)이다. 1817년 9세에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11세에 경희궁 경현당에서 관례를 치르고, 부사직 조만영의 딸을 주1으로 맞이해서 아들(후일의 헌종)을 두었다. 1830년(순조 30)에 22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

그의 아들 주2은 조부인 순조가 사망하자 왕위에 올라 부친인 효명세자를 임금으로 주3하고 묘호를 익종으로 하였다. 익종의 형제로는 모친 순원왕후가 낳은 3명의 누이가 있었는데, 주4, 주5, 주6다.

익종은 왕세자로 생을 마쳤으나 그의 아들이 순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자 임금으로 추존되었다. 이후 익종비인 신정왕후고종을 양자로 삼음으로써 대한제국이 수립된 이후에는 문조(文祖) 익황제(翼皇帝)로 추존되었다.

주요 활동

1827년(순조 27)에 19세의 나이로 외척 안동 김씨 세력을 견제하고 왕권을 강화하려는 순조의 뜻에 따라 주7을 하였다. 대리청정 초에 자신이 주8을 주도할 수 있게 정치세력을 재편하여 측근들을 이조 · 병조 · 호조 · 선혜청 등 인사와 경제를 담당하는 관서에 포진하였다.

또 새로운 인재 육성에도 관심을 두어 과거 시험의 주9을 엄금하고 주10, 강(講), 주11 등의 시험 횟수를 늘렸다. 군사력 확보를 위해 군영의 군관과 군병에 대한 주12를 꾸준히 시행하고, 군사 훈련을 겸한 주13도 1년에 평균 2회 정도 거행하였다. 오래된 주14의 폐단을 줄이기 위해서 상언주15을 다시 활성화하여 백성의 소리에 귀를 기울였다.

다른 한편으로 왕실의 권위와 정통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1827년(순조 27)에는 원손 탄생을 계기로 순조와 순조비에게 존호를 올렸다. 1829년에는 순종 등극 30주년과 40세를 축하하여 주16 · 진찬례 등의 연향에 사용되는 악장을 친히 짓고 정재를 재정비하였다. 또 조부 정조와 마찬가지로 궁궐의 주17에도 힘을 기울였다. 상세하게 세부 묘사를 한 동궐도를 만들었고, 의두합(倚斗閤)과 주18 등을 영건하였다.

학문과 저술

익종이 지은 시, 악장, 치사 등이 그의 문집인 『경헌시초(敬軒詩抄)』, 『 학석집(鶴石集)』, 『담여헌시집(淡如軒詩集)』, 『 경헌집(敬軒集)』, 『 열성어제(列聖御製)』 등에 실려 있다.

참고문헌

원전

『선원계보기략』
『순조실록』

논문

김문식, 「효명세자의 대리청정」(『문헌과 해석』 56, 태학사, 2010)
이민아, 「효명세자·헌종대 궁궐 영건의 정치사적 의의」(『한국사론』 54,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08)
이종묵, 「효명세자의 저술과 문학」(『한국한시연구』 10, 한국한시학회, 2002)
김명숙, 「19세기 반외척세력의 정치동향: 순조조 효명세자의 대리청정 예를 중심으로」(『조선시대사학보』 3, 조선시대사학회, 1997)
주석
주1

왕세자의 아내.    우리말샘

주2

아직 왕세손으로 책봉되지 아니한 왕세자의 맏아들. 또는 자리에서 물러난 임금의 맏손자.    우리말샘

주3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죽은 이에게 임금의 칭호를 주던 일.    우리말샘

주4

조선 순조의 딸(1810~1832). 순원 왕후의 소생으로, 김한순(金漢淳)의 아들 김현근(金賢根)에게 하가하였다.    우리말샘

주5

조선 순조의 딸(1818~1832). 순원 왕후의 소생으로, 김연근(金淵根)의 아들 김병주(金炳疇)와 혼인하였다. 슬하에 자녀는 없다.    우리말샘

주6

조선 순조의 딸(1822~1844). 순원 왕후 김씨(金氏)의 소생으로, 판관을 지낸 윤치승(尹致承)의 아들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에게 하가하였다. 조선 왕조에서, 왕과 왕비 사이에서 태어난 마지막 공주이다.    우리말샘

주7

왕이 병이 들거나 나이가 들어 정사를 제대로 돌볼 수 없게 되었을 때에 세자나 세제가 왕 대신 정사를 돌봄. 또는 그런 일.    우리말샘

주8

정치의 국면. 또는 정치계의 형편.    우리말샘

주9

어떤 일이나 행동에서 나타나는 옳지 못한 경향이나 해로운 현상.    우리말샘

주10

임금의 특명으로 임시로 치르던 과거.    우리말샘

주11

시나 글을 지음.    우리말샘

주12

재주를 시험하여 봄.    우리말샘

주13

임금이 능에 거둥함.    우리말샘

주14

예전에, 백성이 악정에 시달려 생활하는 데 겪던 고통.    우리말샘

주15

징이나 꽹과리를 침.    우리말샘

주16

제사 때에, 술잔을 올림.    우리말샘

주17

집이나 건물을 지음.    우리말샘

주18

창덕궁 비원에 있는 건물.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상류 주택의 양식으로 지었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