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검색창
주메뉴
연표보기
경제·산업
경제
교통
산업
통신
과학
과학기술
동물
식물
의약학
교육
교육
문학
고전산문
고전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현대문학
사회
가족
사회구조
촌락
생활
민속·인류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언론·출판
언론·방송
출판
언어
언어·문자
역사
선사문화
고대사
고려시대사
조선시대사
근대사
현대사
예술·체육
건축
공예
국악
대중음악
무용
서예
연극
영화
조각
체육
현대음악
회화
정치·법제
국방
법제·행정
북한
외교
정치
종교·철학
개신교
대종교
도교
민간신앙
불교
신종교
원불교
유교
천도교
천주교
지리
인문지리
자연지리
인물
지명
개념/용어
문화재
유물
단체
작품
문헌
사건
물품
제도
놀이
유적
의식/행사
동/식물
경제·산업
경제
교통
산업
통신
과학
과학기술
동물
식물
의약학
교육
교육
문학
고전산문
고전시가
구비문학
한문학
현대문학
사회
가족
사회구조
촌락
생활
민속·인류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언론·출판
언론·방송
출판
언어
언어·문자
역사
선사문화
고대사
고려시대사
조선시대사
근대사
현대사
예술·체육
건축
공예
국악
대중음악
무용
서예
연극
영화
조각
체육
현대음악
회화
정치·법제
국방
법제·행정
북한
외교
정치
종교·철학
개신교
대종교
도교
민간신앙
불교
신종교
원불교
유교
천도교
천주교
지리
인문지리
자연지리
인물
지명
개념/용어
문화재
유물
단체
작품
문헌
사건
물품
제도
놀이
유적
의식/행사
동/식물
장
목차
버튼
기본정보
정의
개설
내용 및 평가
바로가기
참고문헌
관련 항목
내 검색어
장
(章)
한문학
개념용어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의 한문문체.
확대하기
축소하기
프린트
URL
의견제시
트위터
페이스북
의견제시
항목명
장
이메일
올바른 형식의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
의견
10자 이상 상세히 작성해 주세요.
첨부파일
파일선택
분야
한문학
유형
개념용어
정의
신하가 임금에게 올리는 글의 한문문체.
키워드
주
표
박의
개설
유협(劉勰)이 이른바 ‘장자명야(章者明也)’에서 취한 것으로, 그 목적이 사리를 들어내어 밝히는 데 있다. 한나라에서 신하가 임금에 올리는 글로 장 이외에 주(奏)·표(表)·박의(駁議)가 있었다.
내용 및 평가
장은 산체(散體)로 한나라에서 신하가 임금께 사은(謝恩)하는 데만 쓰이는 글체이던 것이 후한(後漢)에 와서는 그 사용범위가 넓어져서 논간(論諫)이나 경송(慶頌)의 글체로도 애용되었다.
그러나 당나라에 와서는 그 문체 자체가 없어지고 말았다. 그런 관계로 우리 나라에는 장체(章體)의 명목도 전래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동문선(東文選)
『문체명변(文體明辯)』(서사증)
집필자
집필 (1997년)
김도련
관련항목
장달
조선시대 세자가 섭정한 경우 관원이 세자에게 올리는 문서.
고추장
메줏가루에 질게 지은 밥이나 떡가루, 또는 되게 쑨 죽을 버무리고 고춧가루와 소금을 섞어서 만든 장.
장
조선시대 오위(五衛)·내금위(內禁衛)·겸사복(兼司僕)·우림위(羽林衛)의 우두머리.
장계
전라북도 장수지역의 옛 지명.
장
10척이나 미터법의 3.
장
콩을 주원료로 발효시켜 만든 조미료.
장
수납장의 총칭.
사업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관직.
장
고려시대에 존재한 일종의 특수한 장원.